본문내용
3) 태국 방콕의 의료시설
태국의 병원은 크게 공공병원체계와 사립병원체계로 구분하여 전자는 공공의료보험
을 적용하고, 후자는 사의료보험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태국에서는 3개의 민간병원이 경쟁 중에 있고 (범룽랏 병원, 사미트벳병원, 방콕
General 병원) 그 중 범룽랏 병원은 민간병원으로서 방콕은행이 대주주이다.
의사진료시간은 아침 7시부터 저녁 8시까지이며, 의사진료는 1~2시간까지도 받을
수 있고,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진단과 골프투어를 통한 의료관광이 발전하였다.
3) 싱가포르의 교육 및 의료
(1) 싱가포르의 허브전략
싱가포르는 기존의 물류, 금융산업 외에 관광과 교육, 의료의 아시아 허브로 육성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였으며, 때문에 우수한 외국의 대학과 의료기관을 유치하여 국가경제
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2) 싱가포르의 교육정책
2003년까지 총 9개 해외대학 유치, 2008년까지 세계적 10개 대학유치완료계획을 가지고 있고 국
내에는 4년제 대학이 3개 있다. 싱가포르 경제에 대한 교육산업의 기여도는 2000년을
기준으로 19억S$(약 US$12억)로 싱가포르 GDP의 1.9% 점유하고 있고 미국과 유럽
명문대학의 아시아 메카로 급부상하고 있다.
또한 국가적 수준에서의 공격적 마케팅으로 외국의 교육기관을 가장 성공적으로 유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인시아드(INSEAD)의 MBA학위, 박사학위 등은 모두 싱가포르에서도 인정되고 외
국에서도 인정되고 있다.
(3) 레플즈 병원
포르 헬스케어서비스워킹그룹(HSWG)은 싱가포르의 의료허브 정책을 이끌고
있다.
레플즈병원은 외국 병원 설립을 허용하고, 외국의사에 대해 Medical Council에서 인정하는 경우 국내 의사자격 허용 (Medical Council에서 전 세계 85개국 의과대학 출신을 대상으로 우수 의료인을 선발하여 국내 의사면허 자격 인정)
(4) 존스홉킨스 인터내셔널 센터 (Johns Hopkins International Center)
존스홉킨스 병원은 미국 볼티모어에 위치한 최고의 병원으로서 싱가포르 존스홉킨스 인
터내셔널 센터는 미국의 전문 암 클리닉 센터로서 존스홉킨스 병원 최초로 미국외의 지
역으로 진출하였다. 존스홉킨스 인터내셔널 센터는 영리법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9.
11 테러 이후로 아랍계의 미국입국이 어려워지면서 싱가포르 존스홉킨스 암센터를 찾는
아랍계 환자가 전체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6. 이를 통한 올바른 방향
랑카위는 제주도와 비슷한 환경을 지니고 있는 섬으로 마하티르 총리는 리더십을
바탕으로 랑카위를 면세지역으로 지정하여 기업들이 들어선 관광산업 중심지로 변
모시켜 놓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제주도를 특별자치도로 만들기 위해서는 지
도자의 강력한 의지가 필요하며, 제주도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문화와 민족의 방문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언어와 음식, 외국 문화에 대한 존중과 환경조성을 위한 노력이
필수이다.
태국은 관광산업에 있어 서비스정신이 뛰어나며, 태국의 동남아 의료 허브의 성공 은 다국적 언어 소통이 가능한 인력을 고용하여 언어 문제의 해결, 외국인환자를 위한 출입국 비자 서비스 등 종교적, 문화적 배려에 있는 것처럼 제주특별자치도가 동북아 의료허브로 부상하기 위해서는 태국의 종교적, 문화적 바탕 위에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홍콩은 외국기업을 유치하기 위하여 홍콩정부에서 권한을 가지고 규제를 최소화하는 등 외국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내걸고 있으며, 제주특별자치도가 외국기업의 성공적인 투자가 이루어지려면 홍콩과 같은 경쟁상대와 비슷한 수준의 규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싱가포르는 교육, 의료 등의 허브 전략을 내세우며, 외국의 우수한 교육기관과 의료시설을 유치하는데 매우 적극적이며, 외국의 시설의 유치를 위하여 다양한 요건들을 인정하고 있다. 교육, 의료분야에 있어서 외국의 여러 학교와 의료시설을 유치하기 위해선 보다 적극적인 자세와 유치 전략을 세우는 것이라 하겠다.
Ⅲ. 결론
이처럼 제주특별자치도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추진되고 있는 현황, 장. 단점, 외국의 사례 등을 통하여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모색해 보았습니다. 현재 제주도는 많은 어려움 속에 특별자치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참여정부의 강한 의지와 제주도의 도민과 공무원들이 힘을 모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 중앙정부의 권한을 제주도로 이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 제주도는 광역단위의 제주형 자치경찰제를 도입할 예정이며, 특성에 맞게 경찰기능을 특성화 시킬 예정이고, 특별지방행정기관을 이전하는 등 중앙의 많은 권한을 지방에 이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방분권화를 이루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주도가 국제자유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면세점, 교육 및 의료시설 등의 허브로 자리잡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으며, 제주특별자치도가 성공하게 된다면 교육, 의료, 유통 등 동북아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혜택을 누릴 것이며, 지방분권의 성공적인 사례로서 벤치마킹의 대상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특별자치도가 성공하기에는 내. 외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주특별자치도를 추진하면서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외국의 성공적인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보다 성공의 가능성을 높여야 할 것이고 중앙정부의 설득을 통해 보다 많은 권한을 이전하여 특별자치도의 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입니다.
이처럼 제주도는 현실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한 단계 나은 위치로 올라가기 위한 첫 발을 내딛고 있습니다. 미래를 두려워하지 않고 많은 어려움 속에서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제주도의 모습에 가슴이 벅차 오릅니다. 고구려나 몽골같이 주변민족의 위협에 노출되어 위기의식을 느끼고 그러한 위기의식을 통해 보다 강해진 것처럼 기회는 위기 속에 존재하고, 위기를 잘 극복하였을 때 밝은 미래가 나타나는 것이며, 그러한 미래는 스스로 개척해 나가는 것이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제주도의 도전과 용기에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태국의 병원은 크게 공공병원체계와 사립병원체계로 구분하여 전자는 공공의료보험
을 적용하고, 후자는 사의료보험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태국에서는 3개의 민간병원이 경쟁 중에 있고 (범룽랏 병원, 사미트벳병원, 방콕
General 병원) 그 중 범룽랏 병원은 민간병원으로서 방콕은행이 대주주이다.
의사진료시간은 아침 7시부터 저녁 8시까지이며, 의사진료는 1~2시간까지도 받을
수 있고,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진단과 골프투어를 통한 의료관광이 발전하였다.
3) 싱가포르의 교육 및 의료
(1) 싱가포르의 허브전략
싱가포르는 기존의 물류, 금융산업 외에 관광과 교육, 의료의 아시아 허브로 육성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였으며, 때문에 우수한 외국의 대학과 의료기관을 유치하여 국가경제
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2) 싱가포르의 교육정책
2003년까지 총 9개 해외대학 유치, 2008년까지 세계적 10개 대학유치완료계획을 가지고 있고 국
내에는 4년제 대학이 3개 있다. 싱가포르 경제에 대한 교육산업의 기여도는 2000년을
기준으로 19억S$(약 US$12억)로 싱가포르 GDP의 1.9% 점유하고 있고 미국과 유럽
명문대학의 아시아 메카로 급부상하고 있다.
또한 국가적 수준에서의 공격적 마케팅으로 외국의 교육기관을 가장 성공적으로 유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인시아드(INSEAD)의 MBA학위, 박사학위 등은 모두 싱가포르에서도 인정되고 외
국에서도 인정되고 있다.
(3) 레플즈 병원
포르 헬스케어서비스워킹그룹(HSWG)은 싱가포르의 의료허브 정책을 이끌고
있다.
레플즈병원은 외국 병원 설립을 허용하고, 외국의사에 대해 Medical Council에서 인정하는 경우 국내 의사자격 허용 (Medical Council에서 전 세계 85개국 의과대학 출신을 대상으로 우수 의료인을 선발하여 국내 의사면허 자격 인정)
(4) 존스홉킨스 인터내셔널 센터 (Johns Hopkins International Center)
존스홉킨스 병원은 미국 볼티모어에 위치한 최고의 병원으로서 싱가포르 존스홉킨스 인
터내셔널 센터는 미국의 전문 암 클리닉 센터로서 존스홉킨스 병원 최초로 미국외의 지
역으로 진출하였다. 존스홉킨스 인터내셔널 센터는 영리법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9.
11 테러 이후로 아랍계의 미국입국이 어려워지면서 싱가포르 존스홉킨스 암센터를 찾는
아랍계 환자가 전체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6. 이를 통한 올바른 방향
랑카위는 제주도와 비슷한 환경을 지니고 있는 섬으로 마하티르 총리는 리더십을
바탕으로 랑카위를 면세지역으로 지정하여 기업들이 들어선 관광산업 중심지로 변
모시켜 놓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제주도를 특별자치도로 만들기 위해서는 지
도자의 강력한 의지가 필요하며, 제주도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문화와 민족의 방문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언어와 음식, 외국 문화에 대한 존중과 환경조성을 위한 노력이
필수이다.
태국은 관광산업에 있어 서비스정신이 뛰어나며, 태국의 동남아 의료 허브의 성공 은 다국적 언어 소통이 가능한 인력을 고용하여 언어 문제의 해결, 외국인환자를 위한 출입국 비자 서비스 등 종교적, 문화적 배려에 있는 것처럼 제주특별자치도가 동북아 의료허브로 부상하기 위해서는 태국의 종교적, 문화적 바탕 위에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홍콩은 외국기업을 유치하기 위하여 홍콩정부에서 권한을 가지고 규제를 최소화하는 등 외국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내걸고 있으며, 제주특별자치도가 외국기업의 성공적인 투자가 이루어지려면 홍콩과 같은 경쟁상대와 비슷한 수준의 규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싱가포르는 교육, 의료 등의 허브 전략을 내세우며, 외국의 우수한 교육기관과 의료시설을 유치하는데 매우 적극적이며, 외국의 시설의 유치를 위하여 다양한 요건들을 인정하고 있다. 교육, 의료분야에 있어서 외국의 여러 학교와 의료시설을 유치하기 위해선 보다 적극적인 자세와 유치 전략을 세우는 것이라 하겠다.
Ⅲ. 결론
이처럼 제주특별자치도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추진되고 있는 현황, 장. 단점, 외국의 사례 등을 통하여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모색해 보았습니다. 현재 제주도는 많은 어려움 속에 특별자치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참여정부의 강한 의지와 제주도의 도민과 공무원들이 힘을 모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 중앙정부의 권한을 제주도로 이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 제주도는 광역단위의 제주형 자치경찰제를 도입할 예정이며, 특성에 맞게 경찰기능을 특성화 시킬 예정이고, 특별지방행정기관을 이전하는 등 중앙의 많은 권한을 지방에 이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방분권화를 이루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주도가 국제자유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면세점, 교육 및 의료시설 등의 허브로 자리잡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으며, 제주특별자치도가 성공하게 된다면 교육, 의료, 유통 등 동북아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혜택을 누릴 것이며, 지방분권의 성공적인 사례로서 벤치마킹의 대상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특별자치도가 성공하기에는 내. 외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주특별자치도를 추진하면서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외국의 성공적인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보다 성공의 가능성을 높여야 할 것이고 중앙정부의 설득을 통해 보다 많은 권한을 이전하여 특별자치도의 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입니다.
이처럼 제주도는 현실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한 단계 나은 위치로 올라가기 위한 첫 발을 내딛고 있습니다. 미래를 두려워하지 않고 많은 어려움 속에서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제주도의 모습에 가슴이 벅차 오릅니다. 고구려나 몽골같이 주변민족의 위협에 노출되어 위기의식을 느끼고 그러한 위기의식을 통해 보다 강해진 것처럼 기회는 위기 속에 존재하고, 위기를 잘 극복하였을 때 밝은 미래가 나타나는 것이며, 그러한 미래는 스스로 개척해 나가는 것이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제주도의 도전과 용기에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