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단원의 전개 계획>
<교수학습 과정안>
◆ 문제 파악
- 동기 유발하기
- 공부할 문제 확인하기
◆ 문제 추구 및 해결
- 학습 순서 확인하기
- 해결 방법 예상하기
- 실험 방법 확인 및 실험하기 1 : 소금과 흙의 혼합물 거르기
- 실험 방법 확인 및 실험하기 2 : 소금물 증발시키기
- 실험 결과 정리하기
- 거름과 증발의 개념 확인
◆ 적용 및 발전
- 소금과 전통장 만드는 방법
◆ 정리
- 알게 된 점 및 차시 예고
<평가 관점>
<핵심 판서>
<교수학습 과정안>
◆ 문제 파악
- 동기 유발하기
- 공부할 문제 확인하기
◆ 문제 추구 및 해결
- 학습 순서 확인하기
- 해결 방법 예상하기
- 실험 방법 확인 및 실험하기 1 : 소금과 흙의 혼합물 거르기
- 실험 방법 확인 및 실험하기 2 : 소금물 증발시키기
- 실험 결과 정리하기
- 거름과 증발의 개념 확인
◆ 적용 및 발전
- 소금과 전통장 만드는 방법
◆ 정리
- 알게 된 점 및 차시 예고
<평가 관점>
<핵심 판서>
본문내용
질은 무엇인가요?
Sn, 소금입니다.
T, 왜 소금이라고 생각하였나요?
S, 모래는 거름종이에 걸러지고 소금물은 비커로 빠져나왔습니다.
S, 소금물을 가열하면 물이 날아가기 때문에 소금만 남았습니다.
T, 실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실험결과>
1) 모래와 소금을 물로 녹인 혼합물을 거름종이로 거 르면 소금물이 거름종이를 통과하여 모래가 걸러진다.
2) 소금물을 증발접시에 넣고 가열하면 물은 증발되고 소금이 남는다.
Sn, (실험 결과를 확인한다.)
전체적으로 실험이 끝나고 실험의 결과를 정리해 준다.
문제
추구
및
해결
(59‘)
거름과 증발의
개념 확인
T, 소금과 모래의 혼합물을 거를 때 이용한 성질을 무엇인 가요?
S, 소금은 물에 녹고 모래는 물에 녹지 않는 성질을 이용 하였습니다.
T, 소금물에서 소금을 얻을 때 이용한 성질을 무엇인가요?
S, 물이 끓어서 수증기로 변하는 것을 이용했습니다.
S, 물이 증발하는 성질을 이용했습니다.
T, 실험에서 소금과 모래의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해서 거름 과 증발이라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Sn, (거름과 증발의 개념과 방법을 이해 확인한다.)
증발과 끓음을 구분하여 지도하 지 않도록 한다.
적용
및
발전
(10‘)
소금과 전통장
만드는 방법
T, 우리 조상은 모래와 흙이 섞인 바닷물에서 어떻게 소금을 얻었을지 모둠원과 토의하여 발표해 봅시다.
S, 모래와 흙은 거름장치로 거르고 바닷물을 끓여 소금을 얻었을 것 같습니다.
T, 전통장을 만드는 방법도 비슷하다고 합니다. 메주를 소 금물에 넣고 시간이 지나서 천으로 거르면 물은 끊여서 간장으로 쓰고, 천에 남은 건더기는 된장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Sn, (거름과 증발을 이용한 전통장 만드는 방법을 확인한다.)
PPT
(조상들이 소금을 얻는 과정,
전통장 만드는 과정)
정리
(5‘)
알게 된 점
및
차시 예고
T, 오늘 수업을 통해 알게 된 점을 학습문제와 관련지어 발 표해 봅시다.
S, 걸러주는 방법과 가열시켜 증발하는 방법을 알았습니다.
S, 소금을 모래에서 분리하는 방법을 알았습니다.
S, 어떤 경우에 거름과 증발을 하는지 알았습니다.
T, 다음 시간에는 혼합물의 분리를 이용하여 재생 종이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Sn, (다음 시간 배울 내용을 확인한다.)
평가관점
평가시기
평가방법
소금과 모래를 분리하는 방법과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가?
소금과 모래를 분리하기 위해 거름 장치와 증발 장치를 꾸밀 수 있는가?
소금과 모래를 분리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수업 중
관찰 및 질문
핵 심 판 서
<공부할 문제>
: 소금을 모래에서 분리해 보자.
<학습 순서>
- 해결방법 예상하기
- 실험방법 확인하기
- 실험하기
- 실험결과 정리하기
단원 : 4. 자석의 성질
- 거름 : 소금이 물에 녹고 모래가 물에 녹지 않는 성질을 이용
- 증발 : 물이 액체에서 공기 중의 기체로 변하는 성질을 이용
- 소금과 모래의 혼합물→거름→소금물과 모래
- 소금물→ 증발→ 물을 증발시키고 소금을 얻음
Sn, 소금입니다.
T, 왜 소금이라고 생각하였나요?
S, 모래는 거름종이에 걸러지고 소금물은 비커로 빠져나왔습니다.
S, 소금물을 가열하면 물이 날아가기 때문에 소금만 남았습니다.
T, 실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실험결과>
1) 모래와 소금을 물로 녹인 혼합물을 거름종이로 거 르면 소금물이 거름종이를 통과하여 모래가 걸러진다.
2) 소금물을 증발접시에 넣고 가열하면 물은 증발되고 소금이 남는다.
Sn, (실험 결과를 확인한다.)
전체적으로 실험이 끝나고 실험의 결과를 정리해 준다.
문제
추구
및
해결
(59‘)
거름과 증발의
개념 확인
T, 소금과 모래의 혼합물을 거를 때 이용한 성질을 무엇인 가요?
S, 소금은 물에 녹고 모래는 물에 녹지 않는 성질을 이용 하였습니다.
T, 소금물에서 소금을 얻을 때 이용한 성질을 무엇인가요?
S, 물이 끓어서 수증기로 변하는 것을 이용했습니다.
S, 물이 증발하는 성질을 이용했습니다.
T, 실험에서 소금과 모래의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해서 거름 과 증발이라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Sn, (거름과 증발의 개념과 방법을 이해 확인한다.)
증발과 끓음을 구분하여 지도하 지 않도록 한다.
적용
및
발전
(10‘)
소금과 전통장
만드는 방법
T, 우리 조상은 모래와 흙이 섞인 바닷물에서 어떻게 소금을 얻었을지 모둠원과 토의하여 발표해 봅시다.
S, 모래와 흙은 거름장치로 거르고 바닷물을 끓여 소금을 얻었을 것 같습니다.
T, 전통장을 만드는 방법도 비슷하다고 합니다. 메주를 소 금물에 넣고 시간이 지나서 천으로 거르면 물은 끊여서 간장으로 쓰고, 천에 남은 건더기는 된장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Sn, (거름과 증발을 이용한 전통장 만드는 방법을 확인한다.)
PPT
(조상들이 소금을 얻는 과정,
전통장 만드는 과정)
정리
(5‘)
알게 된 점
및
차시 예고
T, 오늘 수업을 통해 알게 된 점을 학습문제와 관련지어 발 표해 봅시다.
S, 걸러주는 방법과 가열시켜 증발하는 방법을 알았습니다.
S, 소금을 모래에서 분리하는 방법을 알았습니다.
S, 어떤 경우에 거름과 증발을 하는지 알았습니다.
T, 다음 시간에는 혼합물의 분리를 이용하여 재생 종이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Sn, (다음 시간 배울 내용을 확인한다.)
평가관점
평가시기
평가방법
소금과 모래를 분리하는 방법과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가?
소금과 모래를 분리하기 위해 거름 장치와 증발 장치를 꾸밀 수 있는가?
소금과 모래를 분리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수업 중
관찰 및 질문
핵 심 판 서
<공부할 문제>
: 소금을 모래에서 분리해 보자.
<학습 순서>
- 해결방법 예상하기
- 실험방법 확인하기
- 실험하기
- 실험결과 정리하기
단원 : 4. 자석의 성질
- 거름 : 소금이 물에 녹고 모래가 물에 녹지 않는 성질을 이용
- 증발 : 물이 액체에서 공기 중의 기체로 변하는 성질을 이용
- 소금과 모래의 혼합물→거름→소금물과 모래
- 소금물→ 증발→ 물을 증발시키고 소금을 얻음
추천자료
교육과정의 발달사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배경,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본사항,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내...
[초등학교교육][초등교육]초등학교의 목표, 초등학교의 역할, 초등학교의 교육실태, 초등학교...
학교교육연차보고서(2012) - 송북초등학교
[초등도덕교육론] 콜버그 도덕성 발달 이론의 도덕교과에의 적용
콜버그 도덕성 발달 이론의 도덕교과에의 적용 - 선택이유 - 경험사례와 교수학적 변환 - 적용
물에 용해된 설탕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5학년 1학기 4단원, 2015개정 초등 과학 지도안
철로 된 물체로 나침반 만들기, 3학년 1학기 4단원, 2015개정 초등 과학과 지도안
압력의 변화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6학년 1학기 3단원, 2015개정 초등 과학 지도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