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연구대상 및 방법
Ⅱ.본론
A.문헌고찰
B.사례보고
1.간호사정
2.대상자 상례기록지
3.대상자의 약물요법
4.대상자의 특수검사
5.대상자의 수술
6.간호과정
Ⅲ.결론
*참고자료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연구대상 및 방법
Ⅱ.본론
A.문헌고찰
B.사례보고
1.간호사정
2.대상자 상례기록지
3.대상자의 약물요법
4.대상자의 특수검사
5.대상자의 수술
6.간호과정
Ⅲ.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의한다. 술을 삼가야 하며, 수면제, 안정제 등을 임의로 같이 복용하면 안된다. 입안이 심하게 마르는 경우에는 딱딱한 사탕이나 무설탕 껌,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된다.
가나톤정 50MG/TAB(중외제약)
하루3회,매식사후 30분에 1포(정)씩 복용
위장관 운동 조절제
이 이약은 1정씩 1일 3회 식사 전에 복용한다. 식사 전에 복용해야 가장 효과적이나 위장 장애가 있을 경우 식사 후에 복용할수 있다. 유즙 분비가 나타나면 즉시 의사나 약사에게 알린다.
디크놀주사 90MG/2ML/AMP(명문제약)
PRN:IM 근육주사
소염진통제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줄여준다
이상증상이 나타나면 의사와 상의한다.
2.대상자의 약물요법
4.대상자의 특수검사
(1)Chest P-A검사
[결론]
fibrotic change in RMLF.
otherwise no active lesion in lung.
(2)간염관련 검사
검사명
결과
단위
검사정의
참고치
HBsAg
0.03(IU/ml)/
negative
S/CO
혈액 검사로 HBs항원. 항체의
유무를 알아내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 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검사이며 HBs-Ag(항원), HBs-Ab(항체)는 다같이 음성이 정상이다. HBs-Ag (항원)가 양성이면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는 뜻으로 이때는 급성 간염이나 만성 간염등의 간 기능장애가 생각된다.
neg<0.05
(3)성병관련 검사검사명
결과
단위
검사정의
참고치
creatinine
0.80~S.B
mg/dl
크레아티닌은 혈액속으로 배출된후 신장에서 여과되어 소변으로 배출된다. 그 양이 일정하고 신장기능에 의해서만 변화가 되므로, 신장의 기능을 진단하는 주요지표가 되며, 근육에서 만들어지는 크레아니틴의 양과 근육의 양이 비례하므로 근육이 위축되는 질환의 진단에도 효과적.
성인0.60~1
BUN
9.8
mg/dl
요소질소는 간장에서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로 만들어지는데, 최종적으로 신장에서 여과되어 소변으로 배출된다. 신장의 배출기능이 저하되어 여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되면 혈액 속의 질소농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요소질소의 혈중 농도는 신장의 기능을 진단하는 주요 지표가 되며 , 소화기나 간장의 주요질병을 진단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8.0~20.0
(4)신장기능/지질 관련 검사
검사명
결과
검사정의
참고치
VDRL
non-reactive
매독은 Treponema pallidum에 의해 생기며 통상 성행위로 전파한다.spirochaeta는 피부의 극히 작은 상처를 통해서 침입하지만 정상 점막 면을통과하여 들어온다. spirochaeta는 침입한지 30분 이내에 림프조직에도달하고 혈류를 타고 전신으로 퍼진다. 전신파종은 매독의 초기감염병소,즉 경성하감이 출현하기 이전에 일어난다.
non-reactive
(5)간기능 관련 검사
검사명
결과
단위
검사정의
참고치
Total protein
7.2
g/dL
혈액속에 함유된 여러 가지 단백질을 혈청총단백이라고하며 혈청단백의 대부분은 간장에서 합성되고 오래되면 다시 간장에서 파괴된다. 따라서 혈청단백의 값을 조사해 간장이나 신장의 건강상태를 안다.
6.5~8.2
AST(SGOT)
26
IU/L
AST,ALT는 간세포 안에 존재하는 효소로서 간세포장애파괴로 이들 효소가 나온다.ALT는 간에 존재하는 것과 달리 AST는 근육과 심장,내장,뇌에도 분포하고 있어 간기능을 알아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증가비율이 서로 다른 것을 고려하여 간질환과 다른질환을 구별.
0~40
ALT(SGPT)
19
IU/L
0~40
ALP검사 (Alk. phosphatase)
225
IU/L
장기에 질환이 있는 경우 ALP가 증가가 관찰되는데 임상적으로 간과 담도의 이상이 있는 경우와 뼈의 질환이 있는 경우 관찰된다.
65~220
(6)Electrolyte battery serum S.B
검사명
결과
단위
검사목적
참고치
Na (sodium)
144
mEq/L
식이중의 나트륨섭취와 신장배설의 균형과 관계
135-145
K (potassium)
4.0
mEq/L
세포의 흥분성 신경조직의 막전압을 유지
3.5-5.5
Cl (Chloride)
104
mEq/L
혈액의 삼투압을 유지하여 혈액량과 혈압을 조절하는 전해질로서 산염기 불균형의 측정, 체액의 상태의 평가를 위해 측정
98-110
(7)Routine UriV.U
검사명
결과
검사정의
참고치
RBC
1~4/ HPF
적혈구 수의 감소되면 세포에 공급되는 산소량이 적어지므로 세포가 산소같이되는데 이를 “빈혈”이라고 하며, 적혈구 수가 증가되면 혈액의 흐름이 제대로 되지않는다. 이를 “적혈구증가증”이라고 하며, 이러한 경우 혈관이 쉽게 막힌다.
1~4
WBC
10~19/HPF
백혈구란 체내에 균이나 이물질이 침입하면 자신의 수를 늘려 균이나 물질을 분해시킨다. 백혈구의 증가는 체내의 어딘가에 염증이 생겼음을 의미한다. 장티푸스의 경우에는 감소한다. 백혈구 수 검사는 혈액속에 백혈구 수를 조사함으로써 질병의 유무를 판단한다.
1~4
Blood
+
negative
bilirubin
-
빌리루빈은 헤모단백이 이화된 것으로 담낭을 경유한 후 담즙에 섞여서 십이지장으로 나가는데, 간경변으로 간장의 처리능력이 저하되거나 폐색성 황달로 답즙이 역류하면 혈액속에 빌리루빈이 넘쳐나오게 된다. 이렇게 빌리루빈이 증가되면 황달이되어 피부가 노랗게 된다.
negative
Urobilinogen
+,-
담즙속에 함유된 빌리루빈이 장내 세균에 의해 분해되어 생기는 것으로 대변과 소변으로 배설된다. 그러므로 유로빌리노젠은 간이나 담도의 장애를 알 수 있다.
+,-
ketones body
neg
요중 케톤체는 당뇨병이 심한 환자가 치료를 제대로 하지 않았을 때 나타난다. 그러나 정상적인 사람에게서도 공복 시에는 양성반응이 나올 수 있다.
negative
albumin
neg
신장기능이 정상인 경우 요에 배설되는 단백양은 아주 미량이다. 신장에 이상등에 의해 많이 배출되는데 신장에 이상이 없더라도 과격한 운동이나 심한 스트레스등에 의해 요단백이 많아진다.
negative
nitrite
neg
nitrite는 음식물을 토
가나톤정 50MG/TAB(중외제약)
하루3회,매식사후 30분에 1포(정)씩 복용
위장관 운동 조절제
이 이약은 1정씩 1일 3회 식사 전에 복용한다. 식사 전에 복용해야 가장 효과적이나 위장 장애가 있을 경우 식사 후에 복용할수 있다. 유즙 분비가 나타나면 즉시 의사나 약사에게 알린다.
디크놀주사 90MG/2ML/AMP(명문제약)
PRN:IM 근육주사
소염진통제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줄여준다
이상증상이 나타나면 의사와 상의한다.
2.대상자의 약물요법
4.대상자의 특수검사
(1)Chest P-A검사
[결론]
fibrotic change in RMLF.
otherwise no active lesion in lung.
(2)간염관련 검사
검사명
결과
단위
검사정의
참고치
HBsAg
0.03(IU/ml)/
negative
S/CO
혈액 검사로 HBs항원. 항체의
유무를 알아내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 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검사이며 HBs-Ag(항원), HBs-Ab(항체)는 다같이 음성이 정상이다. HBs-Ag (항원)가 양성이면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는 뜻으로 이때는 급성 간염이나 만성 간염등의 간 기능장애가 생각된다.
neg<0.05
(3)성병관련 검사검사명
결과
단위
검사정의
참고치
creatinine
0.80~S.B
mg/dl
크레아티닌은 혈액속으로 배출된후 신장에서 여과되어 소변으로 배출된다. 그 양이 일정하고 신장기능에 의해서만 변화가 되므로, 신장의 기능을 진단하는 주요지표가 되며, 근육에서 만들어지는 크레아니틴의 양과 근육의 양이 비례하므로 근육이 위축되는 질환의 진단에도 효과적.
성인0.60~1
BUN
9.8
mg/dl
요소질소는 간장에서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로 만들어지는데, 최종적으로 신장에서 여과되어 소변으로 배출된다. 신장의 배출기능이 저하되어 여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되면 혈액 속의 질소농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요소질소의 혈중 농도는 신장의 기능을 진단하는 주요 지표가 되며 , 소화기나 간장의 주요질병을 진단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8.0~20.0
(4)신장기능/지질 관련 검사
검사명
결과
검사정의
참고치
VDRL
non-reactive
매독은 Treponema pallidum에 의해 생기며 통상 성행위로 전파한다.spirochaeta는 피부의 극히 작은 상처를 통해서 침입하지만 정상 점막 면을통과하여 들어온다. spirochaeta는 침입한지 30분 이내에 림프조직에도달하고 혈류를 타고 전신으로 퍼진다. 전신파종은 매독의 초기감염병소,즉 경성하감이 출현하기 이전에 일어난다.
non-reactive
(5)간기능 관련 검사
검사명
결과
단위
검사정의
참고치
Total protein
7.2
g/dL
혈액속에 함유된 여러 가지 단백질을 혈청총단백이라고하며 혈청단백의 대부분은 간장에서 합성되고 오래되면 다시 간장에서 파괴된다. 따라서 혈청단백의 값을 조사해 간장이나 신장의 건강상태를 안다.
6.5~8.2
AST(SGOT)
26
IU/L
AST,ALT는 간세포 안에 존재하는 효소로서 간세포장애파괴로 이들 효소가 나온다.ALT는 간에 존재하는 것과 달리 AST는 근육과 심장,내장,뇌에도 분포하고 있어 간기능을 알아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증가비율이 서로 다른 것을 고려하여 간질환과 다른질환을 구별.
0~40
ALT(SGPT)
19
IU/L
0~40
ALP검사 (Alk. phosphatase)
225
IU/L
장기에 질환이 있는 경우 ALP가 증가가 관찰되는데 임상적으로 간과 담도의 이상이 있는 경우와 뼈의 질환이 있는 경우 관찰된다.
65~220
(6)Electrolyte battery serum S.B
검사명
결과
단위
검사목적
참고치
Na (sodium)
144
mEq/L
식이중의 나트륨섭취와 신장배설의 균형과 관계
135-145
K (potassium)
4.0
mEq/L
세포의 흥분성 신경조직의 막전압을 유지
3.5-5.5
Cl (Chloride)
104
mEq/L
혈액의 삼투압을 유지하여 혈액량과 혈압을 조절하는 전해질로서 산염기 불균형의 측정, 체액의 상태의 평가를 위해 측정
98-110
(7)Routine UriV.U
검사명
결과
검사정의
참고치
RBC
1~4/ HPF
적혈구 수의 감소되면 세포에 공급되는 산소량이 적어지므로 세포가 산소같이되는데 이를 “빈혈”이라고 하며, 적혈구 수가 증가되면 혈액의 흐름이 제대로 되지않는다. 이를 “적혈구증가증”이라고 하며, 이러한 경우 혈관이 쉽게 막힌다.
1~4
WBC
10~19/HPF
백혈구란 체내에 균이나 이물질이 침입하면 자신의 수를 늘려 균이나 물질을 분해시킨다. 백혈구의 증가는 체내의 어딘가에 염증이 생겼음을 의미한다. 장티푸스의 경우에는 감소한다. 백혈구 수 검사는 혈액속에 백혈구 수를 조사함으로써 질병의 유무를 판단한다.
1~4
Blood
+
negative
bilirubin
-
빌리루빈은 헤모단백이 이화된 것으로 담낭을 경유한 후 담즙에 섞여서 십이지장으로 나가는데, 간경변으로 간장의 처리능력이 저하되거나 폐색성 황달로 답즙이 역류하면 혈액속에 빌리루빈이 넘쳐나오게 된다. 이렇게 빌리루빈이 증가되면 황달이되어 피부가 노랗게 된다.
negative
Urobilinogen
+,-
담즙속에 함유된 빌리루빈이 장내 세균에 의해 분해되어 생기는 것으로 대변과 소변으로 배설된다. 그러므로 유로빌리노젠은 간이나 담도의 장애를 알 수 있다.
+,-
ketones body
neg
요중 케톤체는 당뇨병이 심한 환자가 치료를 제대로 하지 않았을 때 나타난다. 그러나 정상적인 사람에게서도 공복 시에는 양성반응이 나올 수 있다.
negative
albumin
neg
신장기능이 정상인 경우 요에 배설되는 단백양은 아주 미량이다. 신장에 이상등에 의해 많이 배출되는데 신장에 이상이 없더라도 과격한 운동이나 심한 스트레스등에 의해 요단백이 많아진다.
negative
nitrite
neg
nitrite는 음식물을 토
키워드
추천자료
위암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로 구성됩...
척추결핵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간호진단은 3개 ...
척추관 협착증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 ...
난소암 케이스, 난소암 간호진단 3개, 난소암 간호과정 스터디
만성 중이염(chronic otitis media) 케이스 스터디 A+ (만성중이염 케이스 스터디, 만성 중이...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chronic renal failure 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3개 ...
골절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3개,간호과정3개
미숙아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3개,간호과정3개
폐렴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