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정맥 개념
2. 부정맥 발생기전
3. 부정맥 증상
4. 부정맥 진단 및 검사
5. 부정맥 치료법
(1) 약물치료
(2) 전기적 치료
(3) 수술치료
2. 부정맥 발생기전
3. 부정맥 증상
4. 부정맥 진단 및 검사
5. 부정맥 치료법
(1) 약물치료
(2) 전기적 치료
(3) 수술치료
본문내용
계 부작용, 경련
-간에서 대사되므로 반감기는 간의 혈류량 또는심박출량과 정비례한다.
-경구투약은 치료효과 약하고, 간 독성 강함
2) Quinidine
-심방성 부정맥의치료
-심장리듬전화 시에 정상리듬을 유지위해 투여
-식욕감퇴, 구토, 간 독성, 발열
-심근수축력을 저하시키므로 주로 경구투여함
3) Procainamide
-만성심실성 부정맥 치료제,경구투여
-심근수축력 저하작용
-만성심실성 부정맥환자의약50%에서 효과
-quinidine, mexiletine과 바꾸어 사용 가능
4) Disopyramide
-lidocaine, procainamide에 듣지 않는 경우 사용
-심근의 수축력을 저하시키는 부작용/심부전 주의
-IV, IM 가능
5) Mexiletine
-lidocaine과 작용이 비슷하며 경구 투약 가능
-심근수축력 저하도 경미해 심부전증 환자에 안심하고 사용 가능
-소화장애, 구토, CNS 부작용(진전, 현기증, 운동실조증)
-procainamide, quinidine,disopyramide 에 반응없는 경우 사용
6) Verapamil
-칼슘 차단제로서 PAT, PJT등의 상심실성 빈맥에 유효
-경구로 장기 투여 시 효과가 떨어짐
(2) 전기적 치료
1) 세동제거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을 제거하고 심장흥분의 재진입 회로를 차단하며 동성리듬을 되찾기위해 심장에 전류를 전달하는 응급시술
2) 심장리듬 전환술
선택적인 시술로 전기충격을 이용,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부정맥을 정상 동성리듬으로 전환시키는 방법
3) 전도 통로의 제거
항부정맥제 사용으로 비정상적인 리듬이 정상으로 전환되지 않을 때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정상전도 조직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어 시술시 인공심박동기를 준비한다.
4) 인공심박동기
심박동 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심장 근육에 반복적인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기구로서 심장의 공방결절에 위치한 생리적인 심박조절자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 인공심박동기가 이를 대심하여 반복적으로 심박동을 시작해 주는 기능을 한다.
(3) 수술치료
1) 경피적 전극도자절제술
-항부정맥제나 인공심박동기로 치료되지않는경우시행
-전극도자를 정맥을 통해 심장내로 진입시킨후전기생리학적검사실시
-부정맥 부위를 찾아내어 치료하는 전기 에너지 소작 방법
-전신마취가 필요 없음
2) 냉동절제술
-개심술로 심장을노출시킨후전기생리학적검사실시
-정확한 병소를 찾아내-60도로 냉동절제함
-간에서 대사되므로 반감기는 간의 혈류량 또는심박출량과 정비례한다.
-경구투약은 치료효과 약하고, 간 독성 강함
2) Quinidine
-심방성 부정맥의치료
-심장리듬전화 시에 정상리듬을 유지위해 투여
-식욕감퇴, 구토, 간 독성, 발열
-심근수축력을 저하시키므로 주로 경구투여함
3) Procainamide
-만성심실성 부정맥 치료제,경구투여
-심근수축력 저하작용
-만성심실성 부정맥환자의약50%에서 효과
-quinidine, mexiletine과 바꾸어 사용 가능
4) Disopyramide
-lidocaine, procainamide에 듣지 않는 경우 사용
-심근의 수축력을 저하시키는 부작용/심부전 주의
-IV, IM 가능
5) Mexiletine
-lidocaine과 작용이 비슷하며 경구 투약 가능
-심근수축력 저하도 경미해 심부전증 환자에 안심하고 사용 가능
-소화장애, 구토, CNS 부작용(진전, 현기증, 운동실조증)
-procainamide, quinidine,disopyramide 에 반응없는 경우 사용
6) Verapamil
-칼슘 차단제로서 PAT, PJT등의 상심실성 빈맥에 유효
-경구로 장기 투여 시 효과가 떨어짐
(2) 전기적 치료
1) 세동제거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을 제거하고 심장흥분의 재진입 회로를 차단하며 동성리듬을 되찾기위해 심장에 전류를 전달하는 응급시술
2) 심장리듬 전환술
선택적인 시술로 전기충격을 이용,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부정맥을 정상 동성리듬으로 전환시키는 방법
3) 전도 통로의 제거
항부정맥제 사용으로 비정상적인 리듬이 정상으로 전환되지 않을 때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정상전도 조직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어 시술시 인공심박동기를 준비한다.
4) 인공심박동기
심박동 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심장 근육에 반복적인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기구로서 심장의 공방결절에 위치한 생리적인 심박조절자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 인공심박동기가 이를 대심하여 반복적으로 심박동을 시작해 주는 기능을 한다.
(3) 수술치료
1) 경피적 전극도자절제술
-항부정맥제나 인공심박동기로 치료되지않는경우시행
-전극도자를 정맥을 통해 심장내로 진입시킨후전기생리학적검사실시
-부정맥 부위를 찾아내어 치료하는 전기 에너지 소작 방법
-전신마취가 필요 없음
2) 냉동절제술
-개심술로 심장을노출시킨후전기생리학적검사실시
-정확한 병소를 찾아내-60도로 냉동절제함
추천자료
장애복지(내부장애)
경피적 관상동맥확장술(PTCA)의 정의, 적응증, 시술방법, 합병증, 최신치료법, 시술 전&#...
[식사요법]호흡기 질환의 발생현황과 원인, 치료 및 영양관리 방법
공황장애
[협심증][협심증 개념][협심증 원인][협심증 종류][협심증 증상][협심증 징후][협심증 진단][...
[뇌졸중]뇌졸중의 개념, 뇌졸중의 원인, 뇌졸중의 병태생리, 뇌졸중의 분류와 뇌졸중의 증상,...
심장질환(심장병, 심혈관계질환) 부정맥질환, 관상동맥질환, 심장질환(심장병,심혈관계질환) ...
Pneumonia 폐렴케이스 스터디(폐렴케이스, 폐렴간호과정, 폐렴, 폐렴 사례연구, 폐렴실습, 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