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경전달물질에 대해
2. 신경전달물질의 종류와 기능
3. 신경전달물질의 작용기전
2. 신경전달물질의 종류와 기능
3. 신경전달물질의 작용기전
본문내용
당
(3) 도파민
- 일반적으로 흥분성에 관여
- 복잡한 운동, 동기화, 인지, 감정적 반응의 조절 관련
- 파킨슨씨병 같은 운동 장애와 관련
- 정신분열병과 다른 여러 정신병에 관련
(4) 노르에피네프린
- 흥분성과 억제성 모두 관여함
- 농도는 수면과 각성 상태의 영향을 받음
- 주의력, 경계심에 중요한 역할
- 자극에 대한 반응 여부 결정과 기분의 조절에 관련
- 감정 장애, 불안 장애에 중요한 역할
(5) 글리신
- 척수, 뇌간, 시신경의 중추신경계에서 신경전달억제물질
- NMDA수용체 에서 글루탐산과 공동작용물질로 작용
- 직접적인 억제 작용 유도 시 말단부로부터 유리
(6) 글루타민산
- 구조적 및 기능적 단백질의 합성에 사용
- 시냅스의 소포에 저장되어 신경전달물질로 사용됨
- 흥분성에 관여
(7) 엔돌핀, 엔케팔린
- 일반적으로 억제성에 관여함
- 신경전달물질의 방출 차단(통증 감소)
(8) 물질 P
- 일반적으로 흥분성에 관여
- 물질 P의 방출이 차단되면 통증 감소
(9) 멜라토닌
- 계절적 감정 장애와 수면-각성 주기에 연관됨
(10) GABA
- 억제성에 관여
- 간질을 치료하고 수면을 유도하는데 사용
3. 신경전달물질의 작용기전
(1) 흥분성 시냅스후 전위 (EPSP)
시냅스후 세포의 자극에 의해 활동전위 생성
(2) 억제성 시냅수후 전위(IPSP):
흥분성 시냅스 전류: Na+, Ca2+, K+에 대한 투과성 증가
억제성 시냅스 전류: K+, Cl-에 대한 투과성 증가
(3) EPSP와 IPSP는 수상돌기에서 일어나고 활동전위를 형성하기 위해 축삭의 시작분절까지 전파: 합산
(3) 도파민
- 일반적으로 흥분성에 관여
- 복잡한 운동, 동기화, 인지, 감정적 반응의 조절 관련
- 파킨슨씨병 같은 운동 장애와 관련
- 정신분열병과 다른 여러 정신병에 관련
(4) 노르에피네프린
- 흥분성과 억제성 모두 관여함
- 농도는 수면과 각성 상태의 영향을 받음
- 주의력, 경계심에 중요한 역할
- 자극에 대한 반응 여부 결정과 기분의 조절에 관련
- 감정 장애, 불안 장애에 중요한 역할
(5) 글리신
- 척수, 뇌간, 시신경의 중추신경계에서 신경전달억제물질
- NMDA수용체 에서 글루탐산과 공동작용물질로 작용
- 직접적인 억제 작용 유도 시 말단부로부터 유리
(6) 글루타민산
- 구조적 및 기능적 단백질의 합성에 사용
- 시냅스의 소포에 저장되어 신경전달물질로 사용됨
- 흥분성에 관여
(7) 엔돌핀, 엔케팔린
- 일반적으로 억제성에 관여함
- 신경전달물질의 방출 차단(통증 감소)
(8) 물질 P
- 일반적으로 흥분성에 관여
- 물질 P의 방출이 차단되면 통증 감소
(9) 멜라토닌
- 계절적 감정 장애와 수면-각성 주기에 연관됨
(10) GABA
- 억제성에 관여
- 간질을 치료하고 수면을 유도하는데 사용
3. 신경전달물질의 작용기전
(1) 흥분성 시냅스후 전위 (EPSP)
시냅스후 세포의 자극에 의해 활동전위 생성
(2) 억제성 시냅수후 전위(IPSP):
흥분성 시냅스 전류: Na+, Ca2+, K+에 대한 투과성 증가
억제성 시냅스 전류: K+, Cl-에 대한 투과성 증가
(3) EPSP와 IPSP는 수상돌기에서 일어나고 활동전위를 형성하기 위해 축삭의 시작분절까지 전파: 합산
추천자료
Signal transduction (신호전달)
항우울제(Antidepressant)에 대해
[마취][흡입마취][정맥마취][전기마취][침술마취]마취의 개념, 흡입마취, 정맥마취(정맥마취...
뇌연구 촉진 시행계획에 관한 고찰
정신과 케이스 (case study)
[기분장애] 기분장애의 유형(분류) - 우울장애와 양극성 장애의 개념과 증상, 기분장애 발병...
정신건강간호학) 생물학적 치료 A+(약물의 정의, 역사, 의의, 종류)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
우울증 정의와 발병원인 증상분석과 우울증 치료방법연구 - 우울증 연구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