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하층운(Low clouds, 下層雲)
1. 층운(Stratus, St)
2. 층적운(Stratocumulus, Sc)
3. 난층운(Nimbostratus, Ns)
2] 중층운(Middle clouds, 中層雲)
1. 고층운(Altostratus, As)
2. 고적운(Altocumulus, Ac)
3] 상층운(High level clouds, 上層雲)
1. 권운(Cirrus, Ci)
2. 권층운(Cirrostratus, Cs)
3. 권적운(Cirrocumulus, Cc)
4] 수직으로 발달하는 구름(Vertically developed clouds)
1. 적운(Cumulus, Cu)
2. 적란운(Cumulonimbus, Cb)
5] 기타 구름
1. 모자구름(Cap Cloud)
2. 비행운(Contrail, Condensation Trail)
3. 깔때기구름(Funnel Cloud)
4. 유방운(Mammatus)
5. 버섯구름(Mushroom Clouds)
6. 탑 모양의 고적운(Altocumulus Castellanus)
7. 야광운(Noctilucent Clouds)
8. 렌즈운(Lenticular Cloud)
9. 두루마리구름(Roll Clouds)
10. 아치구름(Arcus Cloud)
11. 거친물결모양구름(Undulatus Asperatus)
12. 꼬리구름(Virga, 미류운)
13. 깃발구름(Banner Cloud)
14. 방사구름(Radiatus)
15. 모루구름(Anvil Cloud)
16. 스콜구름(Squall Cloud)
1. 층운(Stratus, St)
2. 층적운(Stratocumulus, Sc)
3. 난층운(Nimbostratus, Ns)
2] 중층운(Middle clouds, 中層雲)
1. 고층운(Altostratus, As)
2. 고적운(Altocumulus, Ac)
3] 상층운(High level clouds, 上層雲)
1. 권운(Cirrus, Ci)
2. 권층운(Cirrostratus, Cs)
3. 권적운(Cirrocumulus, Cc)
4] 수직으로 발달하는 구름(Vertically developed clouds)
1. 적운(Cumulus, Cu)
2. 적란운(Cumulonimbus, Cb)
5] 기타 구름
1. 모자구름(Cap Cloud)
2. 비행운(Contrail, Condensation Trail)
3. 깔때기구름(Funnel Cloud)
4. 유방운(Mammatus)
5. 버섯구름(Mushroom Clouds)
6. 탑 모양의 고적운(Altocumulus Castellanus)
7. 야광운(Noctilucent Clouds)
8. 렌즈운(Lenticular Cloud)
9. 두루마리구름(Roll Clouds)
10. 아치구름(Arcus Cloud)
11. 거친물결모양구름(Undulatus Asperatus)
12. 꼬리구름(Virga, 미류운)
13. 깃발구름(Banner Cloud)
14. 방사구름(Radiatus)
15. 모루구름(Anvil Cloud)
16. 스콜구름(Squall Cloud)
본문내용
고 있고, 몇 층씩 겹쳐지는 일도 있다. 구름의 종류에는 고적운, 층적운, 또는 적운에 속하며, 조종 렌즈구름으로 될 때도 있다.
2. 비행운(Contrail, Condensation Trail)
· 한랭하고 습한 대기 속을 비행하는 항공기가 남기는 가늘고 긴 구름을 말한다. 비행기구름은 겨울철에 잘 나타나며, 항공기 연료가 연소된 후 연료 속에 포함되어 있던 수증기와 연료의 일부가 냉각되어 생긴다. 또한 빠른 속도로 비행하는 기체의 소용돌이가 원인이 되어 생기는 수도 있으며, 위의 두 요소가 복합되어 생기는 경우도 있다. 한편 비행기가 구름 속을 통과할 때는 비행기 구름이 나타나지 않는다.
3. 깔때기구름(Funnel Cloud)
· 토네이도에서 강력한 소용돌이로 인하여 구름밑면으로부터 지표면으로 내려오는 깔때기모양의 구름을 말한다.
4. 유방운(Mammatus)
· 이런 구름의 모양은 적운·고적운·층적운 및 적란운에 흔히 나타나는데, 세포 모양의 소용돌이의 하강기류 부분에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운의 운저 등에서도 흔히 볼 수 있지만, 모양 변화가 빠르고, 보통 1시간 내외에 소멸해 버리므로 이 구름 밑에서는 비가 오지 않는다
.
5. 버섯구름(Mushroom Clouds)
· 핵폭발 때 거대한 버섯형 구름이 발생한 것에 연유하여 이러한 명칭이 붙었다. 핵폭발로 생기는 강한 상승 기류에 따라 뭉게구름이 발생하여 성층권 부근까지 상승하면 옆으로 퍼져서 버섯 모양으로 된다. 이 구름 속에서는 적란운과 같이 천둥이 발생하거나 소나기가 쏟아지는 경우가 있으며, 구름 속이나 이 구름에서 내리는 비에는 다량의 방사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6. 탑 모양의 고적운(Altocumulus Castellanus)
· 물방울로 이루어지며, 2000~7000m 높이에 나타나며 작은 구름덩어리가 규칙적으로 늘어서 파상을 이루거나 양떼와 같이 뭉쳐있다. 주로 백색인데, 일부는 암회색으로 보이기도 한다.
7. 야광운(Noctilucent Clouds)
· 고위도 지방에서 80∼90km의 고도 부근에 여름에만 아주 드물게 나타나는 구름을 말한다. 야광운의 모양은 대부분 물결 모양의 구조를 나타내며 유성 먼지를 핵으로 한 빙정 구름이다. 중간권계면 밑에서는 기온감률이 크고, 그 위에서는 역전층을 이루어 안정도가 크다. 이 때문에 유성 먼지가 집중되는 층이 중간권계면 부근에 생기고, 이 고도의 저온에 의하여 빙정 구름이 된다고 추측된다.
8. 렌즈운(Lenticular Cloud)
· 볼록렌즈와 같은 모양으로 권적운, 고적운, 층적운 등에서 나타난다. 렌즈운은 습한 공기층이 흘러가다가 중간에 마주친 산맥을 타고 올라갈 때 주로 형성되며 산이 없을 때도 바람에 의해서만 형성되기도 한다. 또한 렌즈운 가장자리에는 때때로 밝은 색상의 오색 띠가 발생하는 데 이는 태양의 회절 또는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채운 현상으로 알려졌다.
9. 두루마리구름(Roll Clouds)
· 롤빵이나 털실을 꼬아 감은 것 같은 모양의 구름을 말한다. 두루마리구름은 산맥을 넘는 대규모의 기류에서 풍하측에 발생하는 큰 소용돌이에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층적운은 두루마리모양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길이가 1000km에 달하기도 한다.
10. 아치구름(Arcus Cloud)
· 웅장하게 발달한 적운이나 적란운의 밑부분 앞면에 나타나는 수평축을 가진 두루마리모양의 검은 구름으로서 때에 따라서는 적운이나 적란운을 둘러싼 거대한 활이나 도넛(doughnut)모양의 구름이 되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
11. 거친물결모양구름(Undulatus Asperatus)
· 아직 특별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으나 지구의 자기장 변화에 따른 대기권의 이상 징후의 한 예라 볼 수 있다.
12. 꼬리구름(Virga, 미류운)
· 구름에서 비나 눈이 내릴 때 땅에 닿기 전에 수분이 증발해버려서 구름 아래에 꼬리를 늘어뜨리고 있는 듯이 보이는 구름을 말한다. 10종 운형의 한 부변종(副變種)으로 분류된다. 대개 적운 ·적란운에 많으나, 난층운 ·고층운· 고적운 등에서도 볼 수 있다. 꼬리구름에서는 상승 ·하강 기류 속에 난기류가 심하므로 항공기는 주의해야 한다. 권운이나 권적운 등에서는 꼬리 모양이 가로로 흐르는 일이 많아, 권운의 변종으로 관찰된다.
13. 깃발구름(Banner Cloud)
· 산꼭대기 부근에서 풍하측으로 깃발이 휘날리는 것과 같이 보이는 구름을 말한다. 풍하측의 산허리로부터 증발된 수증기가 풍하측에서 일어나는 빨아올리는 기류와 난류에 실려 냉각되어 발생하는 구름으로서 산에 부딪치는 바람에 의하여 깃발과 같이 휘날린다.
14. 방사구름(Radiatus)
· 지평선 상의 한 점을 소실점으로 배열된 구름으로 10종 운형의 변종으로 분류된다. 권운, 권적운, 고적운에서 볼 수 있으며, 지상과 항공기에서 모두 볼 수 있다. 방사상(放射狀)구름이라고도 한다. 때로는 방사구름이 온 하늘에 퍼져서 상대되는 두 점이 소실점이 되어 보인다. 권운(卷雲) ·권적운(卷積雲) ·고적운(高積雲) 등에서 볼 수 있으며, 각각 방사권운 ·방사권적운 ·방사고적운 등이라 한다. 지상의 관측자가 구름을 쳐다볼 때뿐만 아니라, 항공기 등에서 내려다볼 때에도 볼 수 있다.
15. 모루구름(Anvil Cloud)
· 적란운 상층에서 나팔꽃 모양으로 퍼진 구름으로 10종 운형(雲形)에는 들어 있지 않은 변종이다. 웅대한 적운(積雲)은 운정(雲頂)의 온도가 대개 -20℃ 이하로 내려가면 적란운으로 변하는데, 상부의 모루 모양을 이루는 부분은 빙정 (氷晶)으로 되고 이 빙정의 작용으로 적란운 아래에서는 소나기가 내린다.
16. 스콜구름(Squall Cloud)
· 스콜이나 천둥, 번개를 동반하는 커다란 적란운의 아래쪽 전면에 나타나는 구름을 말한다. 뇌운에 유입되는 따뜻한 공기의 흐름과 뇌운으로부터 유출되는 찬 공기의 흐름 때문에 뇌운의 하부에서는 따뜻한 상승기류와 찬 하강기류 사이에 몇 개의 소용돌이가 생긴다. 이로 인해 유입되는 따뜻한 공기 중의 수증기에 접하는 구름이 생기는데 이 구름은 수평회전축을 가진 소용돌이에 의해 두루마리 모양이 된다.
2. 비행운(Contrail, Condensation Trail)
· 한랭하고 습한 대기 속을 비행하는 항공기가 남기는 가늘고 긴 구름을 말한다. 비행기구름은 겨울철에 잘 나타나며, 항공기 연료가 연소된 후 연료 속에 포함되어 있던 수증기와 연료의 일부가 냉각되어 생긴다. 또한 빠른 속도로 비행하는 기체의 소용돌이가 원인이 되어 생기는 수도 있으며, 위의 두 요소가 복합되어 생기는 경우도 있다. 한편 비행기가 구름 속을 통과할 때는 비행기 구름이 나타나지 않는다.
3. 깔때기구름(Funnel Cloud)
· 토네이도에서 강력한 소용돌이로 인하여 구름밑면으로부터 지표면으로 내려오는 깔때기모양의 구름을 말한다.
4. 유방운(Mammatus)
· 이런 구름의 모양은 적운·고적운·층적운 및 적란운에 흔히 나타나는데, 세포 모양의 소용돌이의 하강기류 부분에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운의 운저 등에서도 흔히 볼 수 있지만, 모양 변화가 빠르고, 보통 1시간 내외에 소멸해 버리므로 이 구름 밑에서는 비가 오지 않는다
.
5. 버섯구름(Mushroom Clouds)
· 핵폭발 때 거대한 버섯형 구름이 발생한 것에 연유하여 이러한 명칭이 붙었다. 핵폭발로 생기는 강한 상승 기류에 따라 뭉게구름이 발생하여 성층권 부근까지 상승하면 옆으로 퍼져서 버섯 모양으로 된다. 이 구름 속에서는 적란운과 같이 천둥이 발생하거나 소나기가 쏟아지는 경우가 있으며, 구름 속이나 이 구름에서 내리는 비에는 다량의 방사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6. 탑 모양의 고적운(Altocumulus Castellanus)
· 물방울로 이루어지며, 2000~7000m 높이에 나타나며 작은 구름덩어리가 규칙적으로 늘어서 파상을 이루거나 양떼와 같이 뭉쳐있다. 주로 백색인데, 일부는 암회색으로 보이기도 한다.
7. 야광운(Noctilucent Clouds)
· 고위도 지방에서 80∼90km의 고도 부근에 여름에만 아주 드물게 나타나는 구름을 말한다. 야광운의 모양은 대부분 물결 모양의 구조를 나타내며 유성 먼지를 핵으로 한 빙정 구름이다. 중간권계면 밑에서는 기온감률이 크고, 그 위에서는 역전층을 이루어 안정도가 크다. 이 때문에 유성 먼지가 집중되는 층이 중간권계면 부근에 생기고, 이 고도의 저온에 의하여 빙정 구름이 된다고 추측된다.
8. 렌즈운(Lenticular Cloud)
· 볼록렌즈와 같은 모양으로 권적운, 고적운, 층적운 등에서 나타난다. 렌즈운은 습한 공기층이 흘러가다가 중간에 마주친 산맥을 타고 올라갈 때 주로 형성되며 산이 없을 때도 바람에 의해서만 형성되기도 한다. 또한 렌즈운 가장자리에는 때때로 밝은 색상의 오색 띠가 발생하는 데 이는 태양의 회절 또는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채운 현상으로 알려졌다.
9. 두루마리구름(Roll Clouds)
· 롤빵이나 털실을 꼬아 감은 것 같은 모양의 구름을 말한다. 두루마리구름은 산맥을 넘는 대규모의 기류에서 풍하측에 발생하는 큰 소용돌이에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층적운은 두루마리모양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길이가 1000km에 달하기도 한다.
10. 아치구름(Arcus Cloud)
· 웅장하게 발달한 적운이나 적란운의 밑부분 앞면에 나타나는 수평축을 가진 두루마리모양의 검은 구름으로서 때에 따라서는 적운이나 적란운을 둘러싼 거대한 활이나 도넛(doughnut)모양의 구름이 되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
11. 거친물결모양구름(Undulatus Asperatus)
· 아직 특별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으나 지구의 자기장 변화에 따른 대기권의 이상 징후의 한 예라 볼 수 있다.
12. 꼬리구름(Virga, 미류운)
· 구름에서 비나 눈이 내릴 때 땅에 닿기 전에 수분이 증발해버려서 구름 아래에 꼬리를 늘어뜨리고 있는 듯이 보이는 구름을 말한다. 10종 운형의 한 부변종(副變種)으로 분류된다. 대개 적운 ·적란운에 많으나, 난층운 ·고층운· 고적운 등에서도 볼 수 있다. 꼬리구름에서는 상승 ·하강 기류 속에 난기류가 심하므로 항공기는 주의해야 한다. 권운이나 권적운 등에서는 꼬리 모양이 가로로 흐르는 일이 많아, 권운의 변종으로 관찰된다.
13. 깃발구름(Banner Cloud)
· 산꼭대기 부근에서 풍하측으로 깃발이 휘날리는 것과 같이 보이는 구름을 말한다. 풍하측의 산허리로부터 증발된 수증기가 풍하측에서 일어나는 빨아올리는 기류와 난류에 실려 냉각되어 발생하는 구름으로서 산에 부딪치는 바람에 의하여 깃발과 같이 휘날린다.
14. 방사구름(Radiatus)
· 지평선 상의 한 점을 소실점으로 배열된 구름으로 10종 운형의 변종으로 분류된다. 권운, 권적운, 고적운에서 볼 수 있으며, 지상과 항공기에서 모두 볼 수 있다. 방사상(放射狀)구름이라고도 한다. 때로는 방사구름이 온 하늘에 퍼져서 상대되는 두 점이 소실점이 되어 보인다. 권운(卷雲) ·권적운(卷積雲) ·고적운(高積雲) 등에서 볼 수 있으며, 각각 방사권운 ·방사권적운 ·방사고적운 등이라 한다. 지상의 관측자가 구름을 쳐다볼 때뿐만 아니라, 항공기 등에서 내려다볼 때에도 볼 수 있다.
15. 모루구름(Anvil Cloud)
· 적란운 상층에서 나팔꽃 모양으로 퍼진 구름으로 10종 운형(雲形)에는 들어 있지 않은 변종이다. 웅대한 적운(積雲)은 운정(雲頂)의 온도가 대개 -20℃ 이하로 내려가면 적란운으로 변하는데, 상부의 모루 모양을 이루는 부분은 빙정 (氷晶)으로 되고 이 빙정의 작용으로 적란운 아래에서는 소나기가 내린다.
16. 스콜구름(Squall Cloud)
· 스콜이나 천둥, 번개를 동반하는 커다란 적란운의 아래쪽 전면에 나타나는 구름을 말한다. 뇌운에 유입되는 따뜻한 공기의 흐름과 뇌운으로부터 유출되는 찬 공기의 흐름 때문에 뇌운의 하부에서는 따뜻한 상승기류와 찬 하강기류 사이에 몇 개의 소용돌이가 생긴다. 이로 인해 유입되는 따뜻한 공기 중의 수증기에 접하는 구름이 생기는데 이 구름은 수평회전축을 가진 소용돌이에 의해 두루마리 모양이 된다.
추천자료
항공기상학 정리
[스포츠][항공스포츠][항공]스포츠의 의미, 스포츠의 매료요인 고찰과 항공스포츠의 역사, 항...
제주항공 (마케팅 경쟁 전략)
지구과학과교육(학습, 수업)의 특징, 지구과학과교육(학습, 수업)의 목표, 지구과학과교육(학...
[경영이해] 대한항공 경영전략분석
[A+] 토파스, 애바카스, 갈릴레오, 월드스팬 조사보고서 토파즈 TOPAS 대한항공 아바쿠스...
[A+] 대한민국 항공사 조사보고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
항공기 형식증명절차에 대하여 논하시오
항공기 동체구조와 날개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