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대상포진 Herpes zoster 간호과정 case study [간호진단 5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 대상포진 Herpes zoster 간호과정 case study [간호진단 5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ⅰ. 문헌 고찰
1. 정의
2. 원인
3. 임상증상
4. 진단
5. 합병증
6. 치료

본문내용

대상자에게 편안한 체위 및 환경을 적용하고 안위를 도모한다.
6. 편안한 체위 및 환경의 조성은 통증경감과 관련이 있다.
7. 통증완화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7. 통증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함으로써 간호수행에 있어서 대상자의 치료 협조 및 신뢰도가 향상된다.
간호수행
1. 매 1시간마다 대상자의 활력징후을 측정했다.
2020.9.4
시간
체온
맥박
호흡
혈압
1:00pm
36.8
88
18
130/70
2:00pm
36.9
82
19
124/60
3:00pm
36.7
81
17
120/72
4:00pm
36.5
80
19
132/60
5:00pm
36.5
84
18
116/70
2. 통증부위, 강도, 주기 사정했다.
9/4 (NRS 1점)
6시
12시
18시
Lt. eye
Lt. eye
Lt. eye
쑤시다
쑤시다
쑤시다
간헐적
간헐적
간헐적
5분 미만
5-10분
5분 미만
정서적 지지
정서적 지지
통증 조절 원하지 않음.
3.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약했다.
- ultracet ER, 1TA [P.O] tid pc
- Denogan 1g1VI [IV]x1
4. 대상자에게 통증에 대해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했다.
- 지지적, 긍정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법을 사용해서 격려
5. 비약물적 요법(이완요법, 관심요법 등)을 수행했다.
- 대상자에게 비약물적 요법(이완요법: 심호흡, 관심전환(TV)등)을 적용한다.
-> “통증이 심하실 때마다 크게 숨을 들이 쉬고 내쉬면 통증을 경감시키 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 대상자에게 편안한 체위 및 환경을 적용하고 안위를 도모한다.
통증 부위지지, 편안한 체위 및 외부환경을 통제(소음, 햇빛, 외부인
차단 등)하여 안위를 도모한다.
7. 통증완화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미지근한 물로 목욕하도록 한다.
-찬물 찜질 또는 찬물 분무를 한다.
- 수포 부위에 아이스백을 적용해 줌.
- 통증이 심해질시 간호사를 호출하도록 호출버튼에 대해 교육한다.
- 온도의 극심한 변화를 피하도록 교육한다.
- 특수한 통증 또는 장기적인 통증을 호소하면 보고하도록 교육한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할 때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2020.9.4. 아침에 2020.9.3. 밤에 약물받고나서 통증이 NRS 1점으로 줄어들음. 하지만, 아직 퇴원하지 않아 계속 관찰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48시간 이내에 NRS수치가 2점 이하로 내려간다.
-> 2020.9.4.일 아침에 NRS 수치가 1점으로 단기목표 1 달성했다.
2. 대상자는 안위와 통증완화를 말로 표현한다.
-> 환자분이 2020.9.3.일 약을 받고 2020.9.4.일 현재 통증이 없다고 말로 하셨다.
# 간호과정 3
간호문제
AST, IV,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감염의 위험
간호진단
침습적 처치(AST, IV, 유치도뇨관)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환자가 “IV 카테터 다른 부위로 바꿔주세요.” 말했다.
- 환자가 “AST한 부분이 빨갛고 간지러워요.” 말했다.
- 환자가 “소변줄 언제 뺄 수 있나요?” 말했다.
- 보호자가 “소변줄하는 동안 소변줄 주변 어떻게 닦아야해요?”
객관적
자료
- 유치도뇨관을 통해 노란색의 소변이 배출되고 있다.
- IV 카테터를 통해 수액 주입 중인 상태이다.
체온이 상승했다. °C
0시
2시
4시
6시
8시
10시
12시
14시
16시
18시
20시
22시
8/31
38.1
37.8
37.6
37.3
38.7
39.1
38.4
37.2
37.8
37.6
37.8
37.5
9/1
36.9
36.8
37.3
37.7
37.6
37.5
37.8
37.8
37.5
37.2
37.0
36.8
일반진단검사 CBC검사
항목
정상범주
단위
결과
8/27
8/31
RBC
4.2~6.0

4.04
3.85▼
Hb
13.6~17.4
g/㎗
12.0▼
11.5▼
Hct
35-52
%
37.0
35.5▼
간호목표
(기대결과)
< 장기목표 >
1.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정맥주사, 비위관튜브 주위에 염증증상이 없다.
< 단기목표 >
1. 대상자는 5일 안에 WBC 수치가 정상범위가 된다.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1. 간호사는 활력징후를 duty마다 측정한다.
- 활력징후는 체온, 혈압, 맥박, 호흡을 측정하는 것으로 신체 상태를 알 수 있는 지표가 된다.
- 감염 시 체온, 혈압, 맥박, 호흡 수가 상승한다.
2. 대상자의 비위관 삽입, AST부위, 카테터 부위에 염증증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감염 시 염증반응으로 인해 부종, 발적, 기능상실, 통증,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3. duty마다 배액관 개방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 관이 막히면 내부감염을 초래한다.
4. 간호사는 Urine bag의 배액관을 clamp하여야 함을 교육한다.
- 철저한 무균법으로 감염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 도뇨관의 폐쇄체계를 유지하고 요도출구 부위를 청결하게 소독한다.
- Urine bag은 방광의 위치보다 낮게 유지하여 역류로 인한 감염을 막기 위해서이다.
5. 환자와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과 감염예방필요성을 교육한다.
-감염 시 빠른 처치, 환자 스스로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6. 간호사는 유치도뇨관 교환, 투약 처치 시 철저한 무균법을 시행한다.
- 무균법은 감염예방을 위한 기본적인 수칙이다.
간호수행
1. 활력징후를 duty마다 측정했다.
°C
0시
2시
4시
6시
8시
10시
12시
14시
16시
18시
20시
22시
9/2
36.3
36.4
36.5
36.8
37.0
37.3
37.5
37.0
37.4
37.4
34.1
36.7
9/3
36.8
36.4
36.5
37.0
37.3
37.7
37.8
37.5
37.0
37.0
37.0
37.2
9/4
37.1
37.0
37.1
37.1
37.4
37.4
37.3
37.1
36.8
36.7
36.8
36.6
2. 대상자의 비위관 삽입, AST부위, 카테터 부위에 염증증상이 있는지 관찰했다.
->부종, 발적, 발역, 기능상실 등의 염증증상이 없다.
3. duty마다 배액관 개방상태를 확인해야 했다.
→ IV에 약물을 주입하고 비위관에 물을 주입했을 때 통과하므로 배액관이 개방
  • 가격2,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20.12.22
  • 저작시기202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2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