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인처리시설(고도처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총인처리시설(고도처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총인처리시설 필요성
2. 총인처리방안 검토
3. 총인처리방식 선정
4. 공정계획

본문내용

.0m×2조
스컴저장조 : W1.0m×L1.0m×H3.0m(He2.5m)×1조
약품주입설비 1식
IPRTM Filter : D2.4m×H4.8m(여과층 H4.65m)×2조
유 입 수 조 : W2.8m×L2.8m×H5.0m(He3.5m)×1조
반류수침전조: W2.0m×L1.5m×H2.5m×1조
HFO주입설비 1식
3. 처리효율
(㎎/L, %)
구분
유입
보증
효율
BOD
20.0
5.0
75.0
COD
20.0
18.0
10.0
SS
20.0
5.0
75.0
T-N
20.0
20.0
-
T-P
3.00
0.18
94.0
구분
유입
보증
효율
BOD
20.0
10.0
50.0
COD
20.0
16.0
20.0
SS
20.0
8.0
60.0
T-N
20.0
20.0
-
T-P
3.00
0.24
92.0
구분
유입
보증
효율
BOD
20.0
8.0
60.0
COD
20.0
14.0
30.0
SS
20.0
8.0
60.0
T-N
20.0
18.0
10.0
T-P
3.00
0.21
93.0
구분
유입
보증
효율
BOD
20.0
10.0
50.0
COD
20.0
16.0
20.0
SS
20.0
10.0
50.0
T-N
20.0
20.0
-
T-P
3.00
0.24
92.0
4. 소요부지면적
W3.6m×L11.4m×2EA = 86.64㎡ (H=5m)
W3.5m×L14.0m = 49.0㎡
W14.8m×L4.0m = 58.8㎡
W4.0m×L23.0m = 112.0㎡
5. 소요공사비
872.77백만원
545.11백만원
674.38백만원
725.13백만원
6. 유지관리비
15.48백만원/년
26.94백만원/년
23.29백만원/년
17.42백만원/년
7. 적용실적
운영중 : -
시공중 : -
운영중 : -
시공중(설계완료포함) : 5
운영중 : 1
시공중(설계완료포함) : 4
운영중 : -
시공중(설계완료포함) : 6
8. 신기술특허
환경기술검증 제95호
환경기술인증 제323호, 특허 제0955799호
특허 제10-0801981호, 성능인증서 제13-128호
특허 제10-0940829호
9. 장 점
인 처리효율이 높고 유지관리비가 저렴
소요부지 면적이 작다
공사비가 적음
기술검증이 되어 있고 적용실적이 많다
화학약품사용량이 적어 슬러지 발생 및 유지관리비가 적음
10. 단 점
적용실적이 없음
공사비가 높음
역세척수에 의한 기존시설 영향검토 필요
유지관리비가 높음
가압을 위한 설비가 추가되어 공정이 다소 복잡
층고가 높아 수도 손실이 크며 부지면적이 큼
공사비가 높음
11. 선정업체

4. 공정계획
1) 공정개요
본 총인처리설비는 폐수처리장의 방류수내 총인농도를 기준농도 이하로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응집혼화조와 LAF(저압부유부상장치)로 구성된다.
응집혼화조는 약품주입에 의해 인을 응집시켜 미세플록을 형성시킨다. 미세플록은 LAF에서 미세기포와 접촉되어 함께 부상 제거되어 인, SS 및 BOD를 기준 농도 이하까지 낮추어 방류하게 된다.
LAF는 벤추리에 의해서 도입된 대기 중의 공기를 순환수와 미세기포 발생기로 도입시키고 2kgf/cm2 이내로 유지된 발생기 내에서 고속으로 충돌판에 충돌시켜 미세기포를 발생시킨다. 부유부상조에서 미세기포가 응집된 총인 플록에 부착되어 부상분리, 제거하게 된다.
부유된 플록(부상슬러지)중 일부를 응집혼화조로 순환하여 총인의 제거 효율을 증대시킨다.
2) 공정원리 및 구성
가) LAF(저압부유부상장치)
특허 및 신기술인 고속충돌식 미세기포 발생기로 처리효율 높임
미세기포는 부상에 가장 적합한 크기인 평균직경 100㎛임
오염물질은 미세기포와 부상되고 스컴스키머에 의해 제거 배출됨
나) LAF 미세기포 발생 원리
- 벤추리 등으로 대기중의 공기를 순환수에 유입시킴.(콤프레서 필요 없음)
- 반응기 내에서 충돌판에 고속으로 충돌시켜 미세기포 발생시킴.(미세기포 발생기 압력 2kgf/cm2 이하)
- 미세기포를 포함한 순환수는 응집된 폐수와 함께 부유부상조로 이송되어 폐수의 고형물을 부유부상시킴.
- 순환수는 폐수량, 슬러지 농도 등에 따라 설계되나 일반적으로 폐수량 대비 약 10% 정도로 기존의 DAF(가압부상분리장치)의 100 ~ 300%에 비해 매우 작으며, 동력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3) 단위공정별 특징
가) LAF 공정특징
순환펌프이외의 moving part가 없어 내구성이 높음. DAF에서 사용하는 콤프레서가 필요 없으며, 순환수량 및 용해기(미세기포 발생기)내의 체류시간이 작아 컴팩트한 장치 구성이 가능하다.
특허 및 신기술을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으로 효율 높임
발생 슬러지 농도가 높아 슬러지량이 적음.
처리수 순환으로 미세기포 발생
소요부지 작음
짧은 체류시간
나) 단위공정별 특징
장치
개요 및 특징
비고(DAF와의 비교)
응집
혼화조
▶유입수를 응집제와 접촉시켜 플럭을 형성시킴.
▶급속교반과 완속교반 역할을 수행
▶체류시간 : 5-10분
▶DAF : 급속교반조 및 완속교반조로 구성, 급속교반 1-5분, 완속교반 10-30분 체류
순환펌프
▶처리수중 일부를 미세기포를 발생시키 위한 순환수로 이용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펌프.
▶유입수량 및 부유물질에 따라 설계.
▶순환수는 유입수의 10% 이내
▶DAF : 순환수량은 유입수의 100 - 300 %
벤추리
▶공기압축기를 이용하지 않고 대기중의 공기를 순환수에 유입시키기 위해 사용. 순환수 유량 및 도입 공기량에 따라 선정 또는 설계.
▶DAF : 공기압축기 사용
미세기포
발생기
▶벤추리에서 도입된 공기가 순환수와 함께 유입. 2 kgf/cm2 이하로 유지된 반응기로 도입하여 노즐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충돌시켜 미세기포를 발생시킴.
▶체류시간 : 10-30 초
▶DAF : 접촉장치 체류시간 5-10분, 세라믹 산기장치 사용하여 공기과 순환수 접촉
부상조
▶플럭과 미세기포가 접촉하는 부분과 접촉된 플럭과 미세기포가 부상되는 부분으로 나뉨.
▶스컴스키머로 부상슬러지 제거
▶체류시간 : 15-30분
▶DAF : 체류시간 15-30분
총인처리방식으로 응집 후 여과, 가압부상, 침전방식에 대한 검토를 통해 가압부상방식을 선정하였으며, 기존 처리시설과 연계한 처리시설 전체의 공정계획을 다음과 같이 수립하였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20.12.22
  • 저작시기202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24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