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문헌 고찰
- 질병의 정의
- 질병의 원인
- 위험요인
- 병태생리
- 임상 증상
- 진단검사
- 치료
- 간호
- 합병증
2. 본론 – 간호과정
● 간호사정
- 개인력 및 과거력
- 신체검진
- 진단검사
- 투여약물
● 간호진단 2개 / 간호과정 2개
● 간호계획
● 간호중재
● 간호평가
3. 결론
● 참고문헌
●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문헌 고찰
- 질병의 정의
- 질병의 원인
- 위험요인
- 병태생리
- 임상 증상
- 진단검사
- 치료
- 간호
- 합병증
2. 본론 – 간호과정
● 간호사정
- 개인력 및 과거력
- 신체검진
- 진단검사
- 투여약물
● 간호진단 2개 / 간호과정 2개
● 간호계획
● 간호중재
● 간호평가
3.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거담제
점액분비장애로 인한 급만성 호흡기질환: 급만성기관지염, 천식성기관지염, 부비강염, 건성비염
소화기계: 소화불량, 구역, 구토, 가슴쓰림
호흡기계: 백혈구증가를 수반하는 화농성 비염이 나타날 수 있다.
클래리건조시럽
항생물질제제
- 하기도 감염증: 기관지
염, 폐렴 등
- 상기도 감염증: 인두염,
편도염, 부비동염 등
소화기계: 때때로 복부팽만감, 구역, 구토, 소화불량
호흡기계: 발열, 기침, 호흡곤란
싱귤레어과립
알레르기용양
- 천식의 예방 및 지속적
치료
무력, 피로, 열
메피롤-씨시럽
진해거담제
- 다음 질환에서의 객담배
출곤란: 급만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기관지확장
증, 인두염, 비인두염
- 만성부비강염, 삼출성 및
장액성중이염
발진, 홍반, 습진
- 벤토린흡입액 1cc+N/S 1cc 8,1,6hr 1일4회 호흡기치료 중임
● 간호과정
# 과다한 기관지 분비물 배출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가래가 가득 차서 숨쉬기 힘들어 해요” (보호자)
“ 기침을 많이 해요” (보호자)
객관적 자료
- 호흡 시 객담으로 인한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있음
- 기침하는 모습 관찰됨
- 흉부 청진 시 천명음이 들림
간호진단
과다한 기관지 분비물 배출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목표
<단기목표>
- 2일 이내에 객담으로 인한 호흡 불편감이 없어졌다고 보호자가 말할 것이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청진시 천명음과 같은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리지 않는다.
간호계획
[진단적계획]
1. 대상자의 기관지 분비물 양상을 8시간마다 사정한다.
[치료적계획]
2. 4시간 마다 체위를 좌위나 반좌위로 변경하여 객담 배출 및 호흡을 원활하게 한다.
3. 처방 된 기관지 확장제, 거담제, 항생제를 투여한다.
[교육적계획]
4. 2시간마다 흉부 물리요법(타진과 호흡기 치료)를 실시할 수 있도록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보호자)
1. 객담 양상을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효율적인 간호중재를 돕는다.
2. 앉은 자세는 복부 압력을 증가시키고 폐확장을 억제하지 않아 효과적인 기침과 함께 공기 교환을 촉진시킨다.
3. 분비물의 점도를 낮추어 객담 배출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에게 원활한 분비물 배출을 촉진한다.
4. 흉부 물리요법을 통해 효율적인 객담 배출을 돕는다.
간호수행
1. - 12/10일 오후 4시: 노란색의 객담
- 12/11일 오전 12시: 연 노란색의 객담
- 12/11일 오전8시: 맑은 객담
2. 반죄위를 취해줌, 침상머리를 30도로 올려 유지함.
3. 처방된 약물인 거담제, 항생제를 투여함,
4. 흉부물리요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보호자)
- 흉부물리요법을 하기 위한 자세를 직접 보여주고 아동에게 따라
해보도록 하였다.
- 흉부물리요법은 수시로 해야 함을 교육하였다. (보호자) - 체위변경을 통해 흉부 물리요법으로 통해 떨어진 객담이 잘 배출 될 수 있도록 바꿔줄 것을 교육하였다. (보호자)
- 하루에 4번 네뷸라이저를 이용한 호흡기 치료를 격려하였다.
간호평가
- 보호자가 아동의 호흡이 한결 부드럽고 편해졌다고 말하였다. (단기목표 달성)
- 흉부 청진 시 천명음과 같은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리지 않았다. (장기목표 달성)
#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너무 더워, 너무 추워 ”
“ 열이 너무 많이 나고 이마가 뜨거워요 ” (보호자)
“ 약 먹었는데도 열이 안 떨어져요 ” (보호자)
객관적 자료
- 대상자의 피부에 온기가 느껴짐
- 오한이 있음
- 활력징후 BP: 120/57mmHg, PR: 111회, RR: 25회/분, BT: 39.1
간호진단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7일 이내에 활력징후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 대상자는 5일이내에 안위감 증가를 말과 행동으로 표현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진단적계획]
1. 4시간마다 V/S 모니터 한다.
2. 대상자의 I/O을 확인한다.
[치료적계획]
3. 처방 된 해열제를 투여한다.
[교육적계획]
4. 보호자에게 고체온 아동에게 해줄 수 있는 간호중재를 교육한다. (수분공급, 이마에 ice-beg 대어주기)
1.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상태관찰, 문제규명 그리고 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평가를 위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법이다.
2. 발열에 따른 전해질 불균형과 탈수를 막기 위함이다.
3. 해열제는 발열의 단기간 치료에 용이하다.
4. 미온수 마사지는 대류에 의한 증발열을 이용해 체온을 내려준다. 탈수를 막기위해 충분한 수분공급이 필요하다.
간호수행
1. vital sign을 4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모니터 했다.
시간
체온
맥박
호흡
12/8 13:00
39.1
111
25
12/8 17:00
38.7
115
25
12/8 21:00
37.9
109
30
12/9 1:00
37.1
110
26
2. 대상자의 I/O를 확인했다.
3960
2670 (ctd 50)
3.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4. 보호자에게 고체온 아동에게 해줄 수 있는 간호중재를 교육했다.
- 적절한 수분공급을 위해 마실 물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 ice-beg을 이마에 대어 주게 하였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활력징후 정상범위를 유지했다. (단기목표 달성)
- 대상자는 열이 내려 이전보다 편히 노는 모습이 관찰 되었다. (장기목표 달성)
참고문헌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4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619&cid=51007&categoryId=51007
https://blog.naver.com/hyeong1200/222096054606
https://sev.severance.healthcare/health/encyclopedia/disease/disease.do?mode=view&articleNo=66932
https://mattoday.tistory.com/111
아동간호학 각론. 김영혜, 권봉숙, 김정미, 박인숙 외 [현문사]
점액분비장애로 인한 급만성 호흡기질환: 급만성기관지염, 천식성기관지염, 부비강염, 건성비염
소화기계: 소화불량, 구역, 구토, 가슴쓰림
호흡기계: 백혈구증가를 수반하는 화농성 비염이 나타날 수 있다.
클래리건조시럽
항생물질제제
- 하기도 감염증: 기관지
염, 폐렴 등
- 상기도 감염증: 인두염,
편도염, 부비동염 등
소화기계: 때때로 복부팽만감, 구역, 구토, 소화불량
호흡기계: 발열, 기침, 호흡곤란
싱귤레어과립
알레르기용양
- 천식의 예방 및 지속적
치료
무력, 피로, 열
메피롤-씨시럽
진해거담제
- 다음 질환에서의 객담배
출곤란: 급만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기관지확장
증, 인두염, 비인두염
- 만성부비강염, 삼출성 및
장액성중이염
발진, 홍반, 습진
- 벤토린흡입액 1cc+N/S 1cc 8,1,6hr 1일4회 호흡기치료 중임
● 간호과정
# 과다한 기관지 분비물 배출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가래가 가득 차서 숨쉬기 힘들어 해요” (보호자)
“ 기침을 많이 해요” (보호자)
객관적 자료
- 호흡 시 객담으로 인한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있음
- 기침하는 모습 관찰됨
- 흉부 청진 시 천명음이 들림
간호진단
과다한 기관지 분비물 배출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목표
<단기목표>
- 2일 이내에 객담으로 인한 호흡 불편감이 없어졌다고 보호자가 말할 것이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청진시 천명음과 같은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리지 않는다.
간호계획
[진단적계획]
1. 대상자의 기관지 분비물 양상을 8시간마다 사정한다.
[치료적계획]
2. 4시간 마다 체위를 좌위나 반좌위로 변경하여 객담 배출 및 호흡을 원활하게 한다.
3. 처방 된 기관지 확장제, 거담제, 항생제를 투여한다.
[교육적계획]
4. 2시간마다 흉부 물리요법(타진과 호흡기 치료)를 실시할 수 있도록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보호자)
1. 객담 양상을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효율적인 간호중재를 돕는다.
2. 앉은 자세는 복부 압력을 증가시키고 폐확장을 억제하지 않아 효과적인 기침과 함께 공기 교환을 촉진시킨다.
3. 분비물의 점도를 낮추어 객담 배출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에게 원활한 분비물 배출을 촉진한다.
4. 흉부 물리요법을 통해 효율적인 객담 배출을 돕는다.
간호수행
1. - 12/10일 오후 4시: 노란색의 객담
- 12/11일 오전 12시: 연 노란색의 객담
- 12/11일 오전8시: 맑은 객담
2. 반죄위를 취해줌, 침상머리를 30도로 올려 유지함.
3. 처방된 약물인 거담제, 항생제를 투여함,
4. 흉부물리요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보호자)
- 흉부물리요법을 하기 위한 자세를 직접 보여주고 아동에게 따라
해보도록 하였다.
- 흉부물리요법은 수시로 해야 함을 교육하였다. (보호자) - 체위변경을 통해 흉부 물리요법으로 통해 떨어진 객담이 잘 배출 될 수 있도록 바꿔줄 것을 교육하였다. (보호자)
- 하루에 4번 네뷸라이저를 이용한 호흡기 치료를 격려하였다.
간호평가
- 보호자가 아동의 호흡이 한결 부드럽고 편해졌다고 말하였다. (단기목표 달성)
- 흉부 청진 시 천명음과 같은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리지 않았다. (장기목표 달성)
#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너무 더워, 너무 추워 ”
“ 열이 너무 많이 나고 이마가 뜨거워요 ” (보호자)
“ 약 먹었는데도 열이 안 떨어져요 ” (보호자)
객관적 자료
- 대상자의 피부에 온기가 느껴짐
- 오한이 있음
- 활력징후 BP: 120/57mmHg, PR: 111회, RR: 25회/분, BT: 39.1
간호진단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7일 이내에 활력징후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 대상자는 5일이내에 안위감 증가를 말과 행동으로 표현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진단적계획]
1. 4시간마다 V/S 모니터 한다.
2. 대상자의 I/O을 확인한다.
[치료적계획]
3. 처방 된 해열제를 투여한다.
[교육적계획]
4. 보호자에게 고체온 아동에게 해줄 수 있는 간호중재를 교육한다. (수분공급, 이마에 ice-beg 대어주기)
1.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상태관찰, 문제규명 그리고 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평가를 위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법이다.
2. 발열에 따른 전해질 불균형과 탈수를 막기 위함이다.
3. 해열제는 발열의 단기간 치료에 용이하다.
4. 미온수 마사지는 대류에 의한 증발열을 이용해 체온을 내려준다. 탈수를 막기위해 충분한 수분공급이 필요하다.
간호수행
1. vital sign을 4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모니터 했다.
시간
체온
맥박
호흡
12/8 13:00
39.1
111
25
12/8 17:00
38.7
115
25
12/8 21:00
37.9
109
30
12/9 1:00
37.1
110
26
2. 대상자의 I/O를 확인했다.
3960
2670 (ctd 50)
3.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4. 보호자에게 고체온 아동에게 해줄 수 있는 간호중재를 교육했다.
- 적절한 수분공급을 위해 마실 물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 ice-beg을 이마에 대어 주게 하였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활력징후 정상범위를 유지했다. (단기목표 달성)
- 대상자는 열이 내려 이전보다 편히 노는 모습이 관찰 되었다. (장기목표 달성)
참고문헌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4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619&cid=51007&categoryId=51007
https://blog.naver.com/hyeong1200/222096054606
https://sev.severance.healthcare/health/encyclopedia/disease/disease.do?mode=view&articleNo=66932
https://mattoday.tistory.com/111
아동간호학 각론. 김영혜, 권봉숙, 김정미, 박인숙 외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