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인지장애 (DSM-Ⅳ 섬망, 치매, 기억상실장애 및 기타인지장애) 이상심리학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인지장애 (DSM-Ⅳ 섬망, 치매, 기억상실장애 및 기타인지장애) 이상심리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를 필요 하는 첫 증상은 과민성, 불안, 우울기분이며 다른 행동 장애는 현저한 무감동, 탈억제, 충동성, 병식의 결여 등이 있으며 무감동은 시간이 갈수록 더 심해진다.
-초기 운동 증상은 사지 안절부절, 경도 실행증(목적 있는 운동의 어려움),특히 미세한 운동과제에서 보임
-장애가 진행하면서 보행손상(실조),자세 불안정, 구음곤란- 보행불능
-말기의 운동 질환은 식사와 연하의 운동 조절에 손상→흡인성 폐렴으로 사망
◆원인
-염색체 4p16.3에 위치하는 헌팅턴(Huntington) 유전자에는 CAG 세 개의 염기가 반복되어 나타나는 서열이 존재하는데, 헌팅턴병은 반복서열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발병
◆치료
항불안제나 비정형 신경이완제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주요 또는 경도 인지장애>
Major or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Due to Another Medical Condition
◆정의
-많은 의학적 상태들이 신경인지장애를 야기한다.
◆진단기준
A. 주요 또는 경도 신경인지장애의 기준을 충족한다.
B. 병력, 신체 검진 또는 검사 소견에서 신경인지장애가 다른 의학적 상태의 병태생리학적
결과라는 증거가 있다.
C. 인지 결손은 다른 정신질환 또는 다른 특정 신경인지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예,
알츠하이머병, HIV 감염).
부호화 시 주의점: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주요신경인지장애에서 행동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 먼저 기타 의학적 상태를 부호화하고, 그 뒤에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주요신경인지장애, 행동 장애를 동반함이라고 기록한다(예, 340[G35] 다발성 경화증, 294.11[F02.81] 다발성 경화증으로 인한 주요신경인지장애, 행동 장애를 동반함).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주요신경인지장애에서 행동 장애를 동반하지 않는 경우 먼저 기타 의학적 상태를 부호화하고, 그 뒤에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주요신경인지장애, 행동 장애를 동반하지 않음이라고 기록한다(예, 340[G35] 다발성 경화증, 294.10[F02.80] 다발성 경화증으로 인한 주요신경인지장애, 행동 장애를 동반하지 않음).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경도신경인지장애는 331.83(G31.84)로 부호화한다(주의점: 기타 의학적 상태에 대한 부가적 부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행동 장애는 부호화할 수 없지만, 그래도 글로 기입해야 한다).
◆진단적 특징
-다양한 기타 의학적 상태가 NCDs를 일으킬 수 있음
-구조적 병변(속발성 뇌종양, 경막하 혈종, 정상압 수두증)
-심부전으로 인한 관류 감소와 관련한 저산소증
-내분비 상태(갑상선 기능 저하증, 고칼륨혈증, 저혈당증)
-영양상태(티아민, 나이아신 결핍)
-다른 감염성질환(신경매독, 크립토코쿠스증)
-면역 장애(측두 동맥염, 전신 홍반루프스)
간부전, 신부전, 대사상태(쿠푸스병, 부신백질형성장애증, 이염색백색질장애, 성인기와아동기의 다른축적병)
-다른 신경학적 상태(뇌전증, 다발성 경화증).
-의학적 상태가 치료되면서 신경인지 결손이 개선, 안정화 된다면 진단적 확실성 명확.
◆발달과 경과
-NCD 경과는 기저 의학적 장애의 진행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다중 병인으로 인한 주요 또는 경도 신경인지 장애>
Major or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Dut to Multiple Etiologies
◆진단기준
A. 주요 또는 경도 신경인지장애의 기준을 충족한다.
B. 병력, 신체 검진 또는 검사 소견에서 신경인지장애가 물질을 제외하고 하나 이상의
병인적 과정의 병태생리학적 결과라는 증거가 있다(예,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신경인지
장애에 뒤이어 발생하는 혈관성 신경인지장애).
주의점: 특정 병인의 확증에 관한 지침을 위해서는 특정 의학적 상태로 인한 다양한
신경인지장애의 진단 기준을 참고.
C. 인지 결손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으며, 섬망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는
않는다.
부호화 시 주의점: 다중 병인으로 인한 주요신경인지장애에서 행도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 294.11(F02.81)로 부호화한다. 다중 병인으로 인한 주요신경인지장애에서 행동 장애를 동반하지 않는 경우 294.10(F02.80)으로 부호화한다. 병인이 되는 모든 의학적 상태(혈관 질환을 제외하고)는 다중 병인으로 인한 주요신경인지장애 바로 앞에 개별적으로 부호화하여 기록해야 한다(예, 331.0[G30.9] 알츠하이머병, 331.82[G31.83] 루이소체병, 294.1[F02.81] 다중 병인으로 인한 주요신경인지장애, 행동 장애를 동반함).
뇌혈관성 병인이 신경인지장애의 원인이 되는 경우, 혈관성 신경인지장애의 진단은 다중 병인으로 인한 주요신경인지장애에 덧붙여 기록해야 한다. 예를 들면, 알츠하이머병과 혈관 질환 모두가 병인이 되는, 행동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 주요신경인지장애는 다음과 같이 부호화한다. 331.0(G30.9) 알츠하이머병, 294.11(F02.81) 다중병인으로 인한 주요신경인지장애, 행동 장애를 동반함. 290.40(F01.51)혈관성 주요신경인지장애. 행동 장애를 동반함.
다중 병인으로 인한 경도신경인지장애는, 331.83(G31.84)으로 부호화한다(주의점: 원인에 대한 부가적 부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행동 장애는 부호화할 수 없지만, 그래도 글로 기입해야 한다).
<명시되지 않은 신경인지장애>
Unspecified Neurocognitive Disorder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신경인지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신경인지장애의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분류되지 않는 신경인지장애 범주는 병인적 원인을 명확히 밝힐 수 없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부호화 시 주의점: 명시되지 않는 주요 또는 경도 신경인지장애에 대해서는 799.59(R41.9)로 부호화한다(주의점: 병인이 될 것으로 추정되는 어떠한 의학적 상태에 대해서도 부가적 부호는 사용하지 않는다. 행동 장애는 부호화할 수 없지만, 그래도 글로 기입해야 한다).
  • 가격5,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21.01.11
  • 저작시기2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33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