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측두엽 증후군
1) 측두엽의 기능
2) 측두엽 증후군 증상
3) 측두엽 기능의 평가
4) 치료적 접근방법
Ⅱ. 전두엽 증후군
1) 개관
2) 전두엽의 기능
3) 전두엽 손상과 증상
4) 전두엽 기능의 평가
5) 전두엽 기능 손상 환자의 치료 및 재활 전략
-참고문헌
1) 측두엽의 기능
2) 측두엽 증후군 증상
3) 측두엽 기능의 평가
4) 치료적 접근방법
Ⅱ. 전두엽 증후군
1) 개관
2) 전두엽의 기능
3) 전두엽 손상과 증상
4) 전두엽 기능의 평가
5) 전두엽 기능 손상 환자의 치료 및 재활 전략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행동하는 것이 일치하지 않는다.
23. 어떤 일을 스스로 알아서 처리하지 못한다.
※ 유의 : 문항에 따라서는, 어느 한 항목으로 분류가 애매한 경우도 있음(ex.‘사람들 앞에서 사회적으로 혐오감을 줄 수 있는 말이나 행동을 한다.’ 등)
2)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 (WCST)
주의 유지 능력, 추상적 추론능력, 전환능력, 계획능력, 조직화된 탐색 능력 등을 평가 연령 : 만 6.5세~89세까지 아동/청소년/성인들 대상으로 표준화하고 규준이 마련됨
검사방법 - 4개의 자극 카드를 피검자에게 제시 - 각 카드는 3가지의 속성이 있음 ① 자극의 수(1,2,3,4) ② 자극의 모양(원, 삼각형, 십자가, 별)
③ 자극의 색채(빨강, 노랑, 파랑, 초록)
- 피검자에게 한 묶음의 카드를 주고, 제시된 4개의 카드 중 하나에 분류하게 함 but! 분류 기준에 관해서는 피검자에게 알려주지 않음
- 대신, 4개의 자극카드 중 하나에 카드를 놓으면, 검사자는 그 반응이 정확한지 정확하 지 않은지를 피드백 해 줌. - 10개의 정반응을 한 후, 검사자는 예고 없이 카드 분류 기준을 바꿈
-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피검자는 검자사의 피드백에 근거해 카드를 규칙에 따라 정확히 분류하는 것!
전체 성공반응에 대한 객관적 점수 뿐만 아니라, 과제 수행에서 어려움을 보인 특정 부 분에 대한 객관적 점수도 제공 (ex. 인지적 세트를 유지하는 것에 대한 실패, 보속증, 비효율적인 학습 등)
3) 주의력 검사, CPT(Continuous Performance Test)
주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능력, 충동 제어, 반응 속도, 반응의 일관성 등을 평가 언어 지속 검사(Auditory CPT), 시각 지속 검사(Visual CPT)
검사 방법
- 시각 지속 검사에서는 화면에, 언어 지속 검사에서는 스피커에 약 1초에 숫자 하나씩 이 표시되거나 들림
- 피검자는 약 10분 동안 특정 숫자가 보이거나 들릴 때에만 반응을 해야 함
ADHD 아동 및 성인의 주의력을 평가하는 데 유용
5. 전두엽 기능 손상 환자의 치료 및 재활 전략
- 약물 치료
향인지(cognotropic) 치료제 → 글루타메이트 유사물질,‘글루탐산’: 전두엽과 관련된 기능을 향상시켰다는 보고가 있음 (병식의 향상, 유머 감각, 시간 추정, 시간적 순서 결정 등에 대한 능력 개선) → 도파민 증진 약리학의 가능성 : 도파민 증진제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면서, 도파민 D2 수용체의 효능제인‘브로모크립턴’은 집행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된 작업기억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 전두엽 향인지 약리학은 전두엽의 광범위한 구조적 손상 없이 전두엽 기능 이상이 존재하는 질환에서 특히 희망을 제시.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될 것이 기대됨
- 집행기능 문제의 재활 전략
: 접근의 핵심은‘구조’임. 비록 그 구조가 외적으로 부과되어야 하지만, 재활의 궁극적 인 목표는 환자가 도움을 덜 받고 그 구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재활 전략의 예시> 문제 영역
전략들
계획 세우기, 조직화
몇 가지의 단계(2-3개)만을 포함하는 아주 단순한 작업을 연습하고 천천히 단계를 증가시킴
좀 더 새로운 계획(ex. 새로운 직업적인 일)으로 옮기기 전, 먼저 친숙한 계획(ex. 침구정돈)을 가지고 연습
문제 해결 계획을 도안에 적어보기 마인드 맵처럼, 흐름도와 위계 나무 그림들을 사용하면 문제의 해결책을 고려하거나 시도하기 위한 순서들을 파악할 수 있음) (ex) 직장을 구하는 방법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 :‘흥미 있는 직업’,‘지니고 있는 기술들’,‘가능한 해결책들’,‘면접과정들’과 같은 이름들을 한 페이지에 적고, 다음 페이지에는 앞서 적은 큰 주제들 각각의 요소들을 나열할 수 있음
행동의 개시
처음엔 환자로 하여금 일을 시작하도록 도움(신체적으로 움직이게 하거나 단서를 주는 등)
작업을 작은 단계들로 쪼갬(“X라는 일을 하는 데 있어서 첫 번째 단계는 무엇인가요?”만약, 대답을 못 한다면 더 작은 단계에서의 첫 번째 단계에 대해서 물을 수 있음)
환자들이 스스로 정해진 시간에 작업을 시작하도록 격려, 행동 시작의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음(정해진 시간에 메시지가 나오거나, 부저가 울리도록 시게를 맞추거나 자명종 사용하기)
자기 규제, 모니터
간혹 충동적인 환자들은 실수를 식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매 시도마다 목표를 정확히 완수할 것인지 예상하는 연습을 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음(시도를 하기 전, 예측을 기록하게 하여 시도의 결과와 예측을 비교하게 하기 등)
실수를 비디오로 찍어서 함께 보기
집행기능의 어려움을 보상하는 방법들은 반드시 연습이 필수적임. 이는 반복적인 연습과 피드백을 통해 좀 더 새롭고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을 의미함.
참고문헌
대한간질학회, 『임상간질학』, 이퍼블릭, 2009.
Christopher M. Filley, 『임상신경심리학의 기초』, 김홍근, 시그마프레스, 2012.
Elkhonon Goldberg, 『내 안의 CEO, 전두엽;인격, ADHD, 그리고 치매』, 김인명, 시그마프레스, 2010.
Jamer M. Ellison, 『임상실제에서의 신경심리학』, 신경정신연구회, 하나의학사, 2008.
Lorin J. Elias, Deborah M. Saucjer,『임상 및 실험 신경심리학』, 김명선, 시그마프레스, 2007.
Marie T. Banich, Rebecca J. Compton,『인지 신경과학』, 김명선 외 3명, 박학사, 2014.
Mark D Esposito 『인지신경과학의 신경학적 기저』, 김남균 외 1명, 학지사, 2013.
Neil R. Carlson, 『생리심리학』, 정봉교, 박학사, 2008.
Rita Carter, 『뇌 THE BRAIN BOOK』, 장성준, 21세기북스, 2010.
김도형 외, 「측두엽 복합 부분 발작의 비경련성 간질 중첩증으로 나타난 비케톤성 고혈당증 1예」, 『대한신경과학회지』제24권 4호, 2006.
김홍근,「전두엽 증후군의 임상평가-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를 중심으로」,『재활심리연구』제8권 2호, 2001.
23. 어떤 일을 스스로 알아서 처리하지 못한다.
※ 유의 : 문항에 따라서는, 어느 한 항목으로 분류가 애매한 경우도 있음(ex.‘사람들 앞에서 사회적으로 혐오감을 줄 수 있는 말이나 행동을 한다.’ 등)
2)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 (WCST)
주의 유지 능력, 추상적 추론능력, 전환능력, 계획능력, 조직화된 탐색 능력 등을 평가 연령 : 만 6.5세~89세까지 아동/청소년/성인들 대상으로 표준화하고 규준이 마련됨
검사방법 - 4개의 자극 카드를 피검자에게 제시 - 각 카드는 3가지의 속성이 있음 ① 자극의 수(1,2,3,4) ② 자극의 모양(원, 삼각형, 십자가, 별)
③ 자극의 색채(빨강, 노랑, 파랑, 초록)
- 피검자에게 한 묶음의 카드를 주고, 제시된 4개의 카드 중 하나에 분류하게 함 but! 분류 기준에 관해서는 피검자에게 알려주지 않음
- 대신, 4개의 자극카드 중 하나에 카드를 놓으면, 검사자는 그 반응이 정확한지 정확하 지 않은지를 피드백 해 줌. - 10개의 정반응을 한 후, 검사자는 예고 없이 카드 분류 기준을 바꿈
-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피검자는 검자사의 피드백에 근거해 카드를 규칙에 따라 정확히 분류하는 것!
전체 성공반응에 대한 객관적 점수 뿐만 아니라, 과제 수행에서 어려움을 보인 특정 부 분에 대한 객관적 점수도 제공 (ex. 인지적 세트를 유지하는 것에 대한 실패, 보속증, 비효율적인 학습 등)
3) 주의력 검사, CPT(Continuous Performance Test)
주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능력, 충동 제어, 반응 속도, 반응의 일관성 등을 평가 언어 지속 검사(Auditory CPT), 시각 지속 검사(Visual CPT)
검사 방법
- 시각 지속 검사에서는 화면에, 언어 지속 검사에서는 스피커에 약 1초에 숫자 하나씩 이 표시되거나 들림
- 피검자는 약 10분 동안 특정 숫자가 보이거나 들릴 때에만 반응을 해야 함
ADHD 아동 및 성인의 주의력을 평가하는 데 유용
5. 전두엽 기능 손상 환자의 치료 및 재활 전략
- 약물 치료
향인지(cognotropic) 치료제 → 글루타메이트 유사물질,‘글루탐산’: 전두엽과 관련된 기능을 향상시켰다는 보고가 있음 (병식의 향상, 유머 감각, 시간 추정, 시간적 순서 결정 등에 대한 능력 개선) → 도파민 증진 약리학의 가능성 : 도파민 증진제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면서, 도파민 D2 수용체의 효능제인‘브로모크립턴’은 집행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된 작업기억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 전두엽 향인지 약리학은 전두엽의 광범위한 구조적 손상 없이 전두엽 기능 이상이 존재하는 질환에서 특히 희망을 제시.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될 것이 기대됨
- 집행기능 문제의 재활 전략
: 접근의 핵심은‘구조’임. 비록 그 구조가 외적으로 부과되어야 하지만, 재활의 궁극적 인 목표는 환자가 도움을 덜 받고 그 구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재활 전략의 예시> 문제 영역
전략들
계획 세우기, 조직화
몇 가지의 단계(2-3개)만을 포함하는 아주 단순한 작업을 연습하고 천천히 단계를 증가시킴
좀 더 새로운 계획(ex. 새로운 직업적인 일)으로 옮기기 전, 먼저 친숙한 계획(ex. 침구정돈)을 가지고 연습
문제 해결 계획을 도안에 적어보기 마인드 맵처럼, 흐름도와 위계 나무 그림들을 사용하면 문제의 해결책을 고려하거나 시도하기 위한 순서들을 파악할 수 있음) (ex) 직장을 구하는 방법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 :‘흥미 있는 직업’,‘지니고 있는 기술들’,‘가능한 해결책들’,‘면접과정들’과 같은 이름들을 한 페이지에 적고, 다음 페이지에는 앞서 적은 큰 주제들 각각의 요소들을 나열할 수 있음
행동의 개시
처음엔 환자로 하여금 일을 시작하도록 도움(신체적으로 움직이게 하거나 단서를 주는 등)
작업을 작은 단계들로 쪼갬(“X라는 일을 하는 데 있어서 첫 번째 단계는 무엇인가요?”만약, 대답을 못 한다면 더 작은 단계에서의 첫 번째 단계에 대해서 물을 수 있음)
환자들이 스스로 정해진 시간에 작업을 시작하도록 격려, 행동 시작의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음(정해진 시간에 메시지가 나오거나, 부저가 울리도록 시게를 맞추거나 자명종 사용하기)
자기 규제, 모니터
간혹 충동적인 환자들은 실수를 식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매 시도마다 목표를 정확히 완수할 것인지 예상하는 연습을 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음(시도를 하기 전, 예측을 기록하게 하여 시도의 결과와 예측을 비교하게 하기 등)
실수를 비디오로 찍어서 함께 보기
집행기능의 어려움을 보상하는 방법들은 반드시 연습이 필수적임. 이는 반복적인 연습과 피드백을 통해 좀 더 새롭고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을 의미함.
참고문헌
대한간질학회, 『임상간질학』, 이퍼블릭, 2009.
Christopher M. Filley, 『임상신경심리학의 기초』, 김홍근, 시그마프레스, 2012.
Elkhonon Goldberg, 『내 안의 CEO, 전두엽;인격, ADHD, 그리고 치매』, 김인명, 시그마프레스, 2010.
Jamer M. Ellison, 『임상실제에서의 신경심리학』, 신경정신연구회, 하나의학사, 2008.
Lorin J. Elias, Deborah M. Saucjer,『임상 및 실험 신경심리학』, 김명선, 시그마프레스, 2007.
Marie T. Banich, Rebecca J. Compton,『인지 신경과학』, 김명선 외 3명, 박학사, 2014.
Mark D Esposito 『인지신경과학의 신경학적 기저』, 김남균 외 1명, 학지사, 2013.
Neil R. Carlson, 『생리심리학』, 정봉교, 박학사, 2008.
Rita Carter, 『뇌 THE BRAIN BOOK』, 장성준, 21세기북스, 2010.
김도형 외, 「측두엽 복합 부분 발작의 비경련성 간질 중첩증으로 나타난 비케톤성 고혈당증 1예」, 『대한신경과학회지』제24권 4호, 2006.
김홍근,「전두엽 증후군의 임상평가-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를 중심으로」,『재활심리연구』제8권 2호, 200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