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해 선택되었다는 느낌과 함께 계시를 받았다고 생각하는 상태
6) 강박사고(obsession)
- 사고체험의 장애로도 분류, 의식적으로 원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같은 생각이 의식에 떠오르는 것
7) 공포즘(phobia)
- 사고체험의 장애로도 분류, 어떤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불합리하게 무서워하며 피하려는 상태
8) 건강염려증(hypochondria)
- 신체건강에 대해 과도한 관심을 갖는 것으로 흔히 어떤 장기가 특정 병에 걸리지 않았나 걱정하는 것이다.
5. 언어장애(disturbance of language)
- 언어압박(pressure of speech) : 말이 많고 빠르며 중단시키기 어려운 경우(조증상태)
- 다변증(logorrhea) : 말이 많으나 논리적일 수 있다.
- 언어 빈곤(poverty of speech) : 말과 언어적 행동이 감소하는 경우, 사고의 황폐화를 반영
- 억양장애(dysprosody) : 말에 정상적 억양이 없다.
- 발음장애(dysarthria) : 단어 선택이나 문법은 올바르나 발음에 장애
1) 실어증(aphasia)
- 습득한 언어기능이 국소병변에 의해 그 표현과 이해에 장애가 있는 상태
(1) 운동성 실어증(motor aphasia) : 언어이해는 가능하나 자발적으로 말로 표현하기에 장애가 있어 말하는 것이 줄어들고 무언에 가깝게 된 상태
(2) 지각성 실어증(sensory aphasia) :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 말이 유창하나 지리멸렬함
(3) 전도성 실어증(conduction aphasia) : 이의 장애를 전도성 실어증이라 하며 절을 반복하지 못하는 장애
(4) 어의성 실어증(semantic aphasia) : 말이나 문장의 전체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고 자발적으로 생각을 언어로 엮지 못한다.
(5) 문장적 실어증(syntactical aphasia) : 단어들을 올바르게 연결하지 못하는 경우
(6) 명칭 실어증(anomia) : 물건의 이름을 말하지 못하는 것
(7) 총체적 실어증 : 운동성, 지각성 실어증 둘 다 있는 경우
6. 감정장애(disturbances of emotion)
- 감정은 정동과 기분에 관련된 정신적, 신체적, 행동적 요소들이다. 정동은 자신에 의해 표현되고 타인에 의해 관찰되는 감정경험을 말한다.
1) 기분(mood)의 장애
- 기분 : 전반적이고 지속적인 감정, 주관적으로 경험되어 환자가 보고하거나 타인에 의해 관찰된다.
- 고양된 기분(elevated mood) : 보통 이상의 즐거운 기분으로 조증에서 흔히 본다.
- 우울(depression) : 슬픈 느낌의 정동,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
- 불쾌기분(dysphoria) : 즐겁지 못한, 불쾌한, 나쁜 기분을 말한다.
- 무쾌감증(anhedonia) : 흥미를 상실하고, 일상적인 일에서 재미와 즐거움을 못느끼고, 유쾌한 활동에서 위축, 우울
- 애도(mourning, grief) : 실제적 상실에 따른 슬픔
- 감정표현 불능증(alexithymia) : 자신의 감정이나 기분을 말로 표현하거나 인식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
2) 불안(anxiety)
- 두려움, 걱정 등 재난이 임박했다는 지속적 느낌으로, 무의식적 충동이나 환경적 요인에 의한 위협에 대한 경고신호로 생각된다.
(1) 부동성 불안(free floating anxiety) : 불안이 특정 상황에 대한 것이 아니라 원인을 모른 채 단지 불안만을 느낄 때
(2) 공포(fear) : 특정 대상에 대한 불안 또는 두려움으로 phobia와 같음
(3) 격정(agitation) : 불안이 심하여 신체적 긴장 상태가 되거나 어찌할 바 모르는 좌불안석 상태가 되는 때
(4) 긴장(tension) : 감정적, 신체적 활동이 증가된 불쾌하고 팽팽한 느낌
(5) 공황(Panic) : 금성의 심한 불안을 의미
3) 정동effect장애
- 정동 : 감정의 외부 표현, 환자 자신의 설명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1) 불충분한 정동(inadequate affect) : 감정적으로 둔하며 멀어짐과 무관심으로 인해 방관자처럼 느끼는 것을 무감동(apathy), 쾌 불쾌에 대한 감수성이 감소된 상태 (무flat, 둔마blunted, 제한restricted)
(2) 부적합 정동(inappropriate affect) : 사고, 언어 등과 조화되지 않는 정동, 상황에 어울리지 않게 울거나 웃는 것
(3) 양가성(ambivalence) : 한 대상에 대해 사랑과 미움이 동시에 있는 것처럼 상반된 두 가지 감정이 모순 없이 존재할 때
(4) 제반응(abreaction) : 고통스러운 기억을 회상한 후 감정적으로 정리하게 되는 것
(5) 수치(shame) : 자신의 기대만큼 살지 못하였을 때의 기분
(6) 죄책감(guilty feeling) : 잘못이라고 생각되는 행동을 하였을 때 이차적으로 나타나는 기분
4) 기분과 관련된 생리적 변화
- 기분장애에 따라 여러 신체증상이 동반되는데, 주로 자율신경계 기능장애가 나타난다.
- 우울증 일 때 식욕감퇴, 과식, 폭식, 불면, 과면등이 있음
7. 지남력 장애(disorders of orientation)
- 환경을 이해하고 그에 대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지남력
- 시간, 장소 또는 상황, 타인과의 관계의 세 가지 분야
8. 기억장애(disorders of memory)
- 기억은 정보가 받아들여져서 하나의 정신적 인상으로 등록, 저장, 유지되었다가 나중에 회상하게 되는 과정으로 구성
1) 기억항진(hypermnesia)
- 특정 정동과 관계된 특정 기간이나 특정 사건 또는 경험에 한정되어 기억이 병적으로 가도히 상세한 경우
2) 건망증 또는 기억상실(amnesia)
- 기억불능상태
- 기질성 건망증 : 알코올중독이나 두부외상 시처럼 입력된 정보가 등록 안 될 때
- 심인성 건망증 : 등록과 저장은 정상적이나 회상이 안 됨
- 전향 건망증 : 발생 이후 일정 기간의 경험까지도 회상하지 못하는 것
3) 기억착오(paramnesia)
- 방어 목적으로 무의식적으로 거짓 기억을 하는 것, 이야기를 꾸며내는 것을 작화증
- 회상조작 : 강한 무의식적 동기
6) 강박사고(obsession)
- 사고체험의 장애로도 분류, 의식적으로 원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같은 생각이 의식에 떠오르는 것
7) 공포즘(phobia)
- 사고체험의 장애로도 분류, 어떤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불합리하게 무서워하며 피하려는 상태
8) 건강염려증(hypochondria)
- 신체건강에 대해 과도한 관심을 갖는 것으로 흔히 어떤 장기가 특정 병에 걸리지 않았나 걱정하는 것이다.
5. 언어장애(disturbance of language)
- 언어압박(pressure of speech) : 말이 많고 빠르며 중단시키기 어려운 경우(조증상태)
- 다변증(logorrhea) : 말이 많으나 논리적일 수 있다.
- 언어 빈곤(poverty of speech) : 말과 언어적 행동이 감소하는 경우, 사고의 황폐화를 반영
- 억양장애(dysprosody) : 말에 정상적 억양이 없다.
- 발음장애(dysarthria) : 단어 선택이나 문법은 올바르나 발음에 장애
1) 실어증(aphasia)
- 습득한 언어기능이 국소병변에 의해 그 표현과 이해에 장애가 있는 상태
(1) 운동성 실어증(motor aphasia) : 언어이해는 가능하나 자발적으로 말로 표현하기에 장애가 있어 말하는 것이 줄어들고 무언에 가깝게 된 상태
(2) 지각성 실어증(sensory aphasia) :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 말이 유창하나 지리멸렬함
(3) 전도성 실어증(conduction aphasia) : 이의 장애를 전도성 실어증이라 하며 절을 반복하지 못하는 장애
(4) 어의성 실어증(semantic aphasia) : 말이나 문장의 전체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고 자발적으로 생각을 언어로 엮지 못한다.
(5) 문장적 실어증(syntactical aphasia) : 단어들을 올바르게 연결하지 못하는 경우
(6) 명칭 실어증(anomia) : 물건의 이름을 말하지 못하는 것
(7) 총체적 실어증 : 운동성, 지각성 실어증 둘 다 있는 경우
6. 감정장애(disturbances of emotion)
- 감정은 정동과 기분에 관련된 정신적, 신체적, 행동적 요소들이다. 정동은 자신에 의해 표현되고 타인에 의해 관찰되는 감정경험을 말한다.
1) 기분(mood)의 장애
- 기분 : 전반적이고 지속적인 감정, 주관적으로 경험되어 환자가 보고하거나 타인에 의해 관찰된다.
- 고양된 기분(elevated mood) : 보통 이상의 즐거운 기분으로 조증에서 흔히 본다.
- 우울(depression) : 슬픈 느낌의 정동,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
- 불쾌기분(dysphoria) : 즐겁지 못한, 불쾌한, 나쁜 기분을 말한다.
- 무쾌감증(anhedonia) : 흥미를 상실하고, 일상적인 일에서 재미와 즐거움을 못느끼고, 유쾌한 활동에서 위축, 우울
- 애도(mourning, grief) : 실제적 상실에 따른 슬픔
- 감정표현 불능증(alexithymia) : 자신의 감정이나 기분을 말로 표현하거나 인식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
2) 불안(anxiety)
- 두려움, 걱정 등 재난이 임박했다는 지속적 느낌으로, 무의식적 충동이나 환경적 요인에 의한 위협에 대한 경고신호로 생각된다.
(1) 부동성 불안(free floating anxiety) : 불안이 특정 상황에 대한 것이 아니라 원인을 모른 채 단지 불안만을 느낄 때
(2) 공포(fear) : 특정 대상에 대한 불안 또는 두려움으로 phobia와 같음
(3) 격정(agitation) : 불안이 심하여 신체적 긴장 상태가 되거나 어찌할 바 모르는 좌불안석 상태가 되는 때
(4) 긴장(tension) : 감정적, 신체적 활동이 증가된 불쾌하고 팽팽한 느낌
(5) 공황(Panic) : 금성의 심한 불안을 의미
3) 정동effect장애
- 정동 : 감정의 외부 표현, 환자 자신의 설명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1) 불충분한 정동(inadequate affect) : 감정적으로 둔하며 멀어짐과 무관심으로 인해 방관자처럼 느끼는 것을 무감동(apathy), 쾌 불쾌에 대한 감수성이 감소된 상태 (무flat, 둔마blunted, 제한restricted)
(2) 부적합 정동(inappropriate affect) : 사고, 언어 등과 조화되지 않는 정동, 상황에 어울리지 않게 울거나 웃는 것
(3) 양가성(ambivalence) : 한 대상에 대해 사랑과 미움이 동시에 있는 것처럼 상반된 두 가지 감정이 모순 없이 존재할 때
(4) 제반응(abreaction) : 고통스러운 기억을 회상한 후 감정적으로 정리하게 되는 것
(5) 수치(shame) : 자신의 기대만큼 살지 못하였을 때의 기분
(6) 죄책감(guilty feeling) : 잘못이라고 생각되는 행동을 하였을 때 이차적으로 나타나는 기분
4) 기분과 관련된 생리적 변화
- 기분장애에 따라 여러 신체증상이 동반되는데, 주로 자율신경계 기능장애가 나타난다.
- 우울증 일 때 식욕감퇴, 과식, 폭식, 불면, 과면등이 있음
7. 지남력 장애(disorders of orientation)
- 환경을 이해하고 그에 대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지남력
- 시간, 장소 또는 상황, 타인과의 관계의 세 가지 분야
8. 기억장애(disorders of memory)
- 기억은 정보가 받아들여져서 하나의 정신적 인상으로 등록, 저장, 유지되었다가 나중에 회상하게 되는 과정으로 구성
1) 기억항진(hypermnesia)
- 특정 정동과 관계된 특정 기간이나 특정 사건 또는 경험에 한정되어 기억이 병적으로 가도히 상세한 경우
2) 건망증 또는 기억상실(amnesia)
- 기억불능상태
- 기질성 건망증 : 알코올중독이나 두부외상 시처럼 입력된 정보가 등록 안 될 때
- 심인성 건망증 : 등록과 저장은 정상적이나 회상이 안 됨
- 전향 건망증 : 발생 이후 일정 기간의 경험까지도 회상하지 못하는 것
3) 기억착오(paramnesia)
- 방어 목적으로 무의식적으로 거짓 기억을 하는 것, 이야기를 꾸며내는 것을 작화증
- 회상조작 : 강한 무의식적 동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