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베트남어와 한자에 대해 그리고 학습
베트남은 한자 문화권에 속하여 베트남어의 약 70 ~ 80 % 정도가 한자에서 유래된 것이라 하기 때문에 한자를 중심으로 베트남어를 학습하는 것이 한국인이 베트남어를 배우기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외 베트남어 구어체도 한자에 바탕을 두고 만든 베트남 고유문자 쯔놈(ch Nom/ ch Nom/ 字·· 자남)으로 표기했었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베트남어가 한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쯔놈은 기존 한자로 나타낼 수 없는 베트남 고유어를 표기하기 위해 한국의 이두, 향찰과 비슷하게 음과 훈을 모두 사용하고, 추가로 형성 원리에 따라 만든 새로운 글자입니다. 다만, 이 쯔놈은 한문에 정통한 지식인만이 구사할 수 있는 까다롭고 복잡한 체계였기 때문에, 일반인에게는 널리 보급되지 않았고, 나중에 서양에서 간편한 라틴문자가 들어오자 더 이상 쓰이지 못했고 현재는 쯔 꾸옥 응으(ch Quc ng/ 字國語 자국어)라는 라틴문자에 기반한 체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기 표의 발음은 한자에서 유래한 글자에 대해 사용하는 베트남어와 한국어 발음을 비교하여 정리한 것으로 이 두 발음을 유의해서 살펴보면 한자에서 유래한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유사성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자 音과 陰의 베트남어(am) 발음은 엄이고 한국어 발음은 음인 것이고, 한자 平과 甁의 베트남어(binh) 발음은 빈이고 한국어 발음은 평 또는 병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해당 표를 읽어보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것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베트남어의 발음으로 이를 최대한 한글로 표기할 수 있는 만큼 표기했으나 한국어에 없는 발음도 있고 베트나어 6성조가 있기에 이는 따로 학습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둘째는 하기 표에 사용된 ?는 한자가 아닌 베트남 구어체이거나 쯔놈으로 표기해야 하는 부분일 수 있어 ?로 표기한 것이란 것입니다.
<베트남어와 한자>
베트남어
발음
한국어
한자
예
am
엄
음
音 소리 음
am nhc 音樂 음악
am
엄
음
陰 그늘 음
am khi 陰氣 음기 ↔ dng khi 陽氣 양기 / am u 陰幽 음유(흐린)
m
엄
음
飮 머금을 음
m liu 飮料 음료 / m thc 飮食 음식 / m k 飮計 음계(습도계)
an
안
안
安 편안할 안
an toan 安全 안전(안전, 안전한)
an
안
안
案 책상 안, 생각 안
d an 豫案 예안(계획안, 프로젝트)
bai
바이
패
牌 패 패, 카드 패
bai tp 牌習 패습(숙제)
bn
반
본
本 근본 본
t bn 資本 자본 / vn bn 文本 문본(문서) / nht bn 日本 일본 / bn than 本身 본신(본인, 자기자신)
banh
반
병
떡 병
banh mi 麥 병맥(빵)
bao
바어
포
包 쌀 포, 보따리 포
banh bao 包 병포(만두)
bao
바어
보
報 알릴 보
bao cao 報告 보고(보고, 보고하다) / mt bao 密報 밀보(밀고하다)
bo
바어
보
保 지킬 보
bo him 保險 보험 / bo đm 保擔 보담(담보, 담보하다, 보증하다)
bo
바어
보
寶 보배 보
bo vt 寶物 보물
bnh
벤
병
病 병 병
bnh vin 病院 병원 / tt bnh 疾病 질병
bit
비
베트남은 한자 문화권에 속하여 베트남어의 약 70 ~ 80 % 정도가 한자에서 유래된 것이라 하기 때문에 한자를 중심으로 베트남어를 학습하는 것이 한국인이 베트남어를 배우기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외 베트남어 구어체도 한자에 바탕을 두고 만든 베트남 고유문자 쯔놈(ch Nom/ ch Nom/ 字·· 자남)으로 표기했었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베트남어가 한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쯔놈은 기존 한자로 나타낼 수 없는 베트남 고유어를 표기하기 위해 한국의 이두, 향찰과 비슷하게 음과 훈을 모두 사용하고, 추가로 형성 원리에 따라 만든 새로운 글자입니다. 다만, 이 쯔놈은 한문에 정통한 지식인만이 구사할 수 있는 까다롭고 복잡한 체계였기 때문에, 일반인에게는 널리 보급되지 않았고, 나중에 서양에서 간편한 라틴문자가 들어오자 더 이상 쓰이지 못했고 현재는 쯔 꾸옥 응으(ch Quc ng/ 字國語 자국어)라는 라틴문자에 기반한 체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기 표의 발음은 한자에서 유래한 글자에 대해 사용하는 베트남어와 한국어 발음을 비교하여 정리한 것으로 이 두 발음을 유의해서 살펴보면 한자에서 유래한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유사성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자 音과 陰의 베트남어(am) 발음은 엄이고 한국어 발음은 음인 것이고, 한자 平과 甁의 베트남어(binh) 발음은 빈이고 한국어 발음은 평 또는 병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해당 표를 읽어보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것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베트남어의 발음으로 이를 최대한 한글로 표기할 수 있는 만큼 표기했으나 한국어에 없는 발음도 있고 베트나어 6성조가 있기에 이는 따로 학습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둘째는 하기 표에 사용된 ?는 한자가 아닌 베트남 구어체이거나 쯔놈으로 표기해야 하는 부분일 수 있어 ?로 표기한 것이란 것입니다.
<베트남어와 한자>
베트남어
발음
한국어
한자
예
am
엄
음
音 소리 음
am nhc 音樂 음악
am
엄
음
陰 그늘 음
am khi 陰氣 음기 ↔ dng khi 陽氣 양기 / am u 陰幽 음유(흐린)
m
엄
음
飮 머금을 음
m liu 飮料 음료 / m thc 飮食 음식 / m k 飮計 음계(습도계)
an
안
안
安 편안할 안
an toan 安全 안전(안전, 안전한)
an
안
안
案 책상 안, 생각 안
d an 豫案 예안(계획안, 프로젝트)
bai
바이
패
牌 패 패, 카드 패
bai tp 牌習 패습(숙제)
bn
반
본
本 근본 본
t bn 資本 자본 / vn bn 文本 문본(문서) / nht bn 日本 일본 / bn than 本身 본신(본인, 자기자신)
banh
반
병
떡 병
banh mi 麥 병맥(빵)
bao
바어
포
包 쌀 포, 보따리 포
banh bao 包 병포(만두)
bao
바어
보
報 알릴 보
bao cao 報告 보고(보고, 보고하다) / mt bao 密報 밀보(밀고하다)
bo
바어
보
保 지킬 보
bo him 保險 보험 / bo đm 保擔 보담(담보, 담보하다, 보증하다)
bo
바어
보
寶 보배 보
bo vt 寶物 보물
bnh
벤
병
病 병 병
bnh vin 病院 병원 / tt bnh 疾病 질병
bit
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