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말이다. 파이가 도착했던 섬은 낮에는 미어캣에게 안식처와 풍부한 식량을 제공해주지만 밤에는 모두를 녹여버리는 무시무시한 식인섬이 되어버린다. 여기서 미어캣을 인간에 대비해 보자면 종교에 대한 비판 없이 맹신을 하는 신자들과 같다. 맹목적인 믿음은 식인섬과 같은 수많은 생명의 희생을 일으킬 수 있다. 초기 브라만교가 인간을 제삿물로 바치는 것과 같은 것이 이 영화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 브라만교의 계급 또한 평등하지 못한 사회를 만들면서 여러 수드라들을 고통 받게 만들었다. 식인섬과 종교적 무의미한 희생이 무엇이 다를까하는 생각을 받았다. 주인공은 이것을 깨닫고 섬을 빠져 나간다. 그곳의 풍요로움에 도취되어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희생자가 되지 않기 위해 말이다. 주인공은 어렸을 때 자신이 끊임없이 종교에 대한 물음과 비판을 했던 것을 생각했을 것이다. 그것이 자신도 성장시키고 종교도 건강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냉소적으로 사는 것 또한 경계해야 하지만 종교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을 경계할 만한 이성적인 생각 또한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세상은 서로를 종교적 맹신에 따라 물어뜯는 식인섬이 되지 않을 것이다. 지구촌은 여전히 싸우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파이 이야기_Life of Pi
마이클잭슨
[영화 감상문] 라이프 오브 파이 (Life of Pi)
[영화감상문]라이프 오브 파이(Life of Pi, 2012)
세상읽기와논술,1. 우리 사회의 가장 심각한 부조리 한 가지를 택해 그 내용과 해결 방안에 ...
파이 이야기 감상문 (파이 이야기 감상문,라이프 오브 파이,파이 이야기 독서감상문,파이 이...
『라이프 오브 파이 (Life of Pi) 2012』 [영화 감상문]
[직업윤리 독후감] 얀 마텔(Yann Martel)의 『파이 이야기(라이프 오브 파이 / Life of Pi)』
Still life (스틸 라이프) 영화 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