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과 이이, 이(理)와 기(氣)의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황과 이이, 이(理)와 기(氣)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록 두 가지 공부일지라도 모름지기 일시에 병진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마음과 행동이 같지 않으면 이미 유자(儒者)가 아니라고 하였다. 이와같이 앎과 행함, 지(知)와 행(行)을 아울러 중시하는 그의 교육 방법적 태도는 현대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율곡은 상벌을 통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또한 전인 교육의 차원에서 생활 지도의 중요성에 관해 여러 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이 밖에도 많은 양의 학규가 규정되어 있는데, 이는 현대 교육이 지나치게 지식 교육에 편중되어 전인 교육 내지 심성 교육에 소홀한 것에 비추어 볼 때, 심성 교육 내지 생활 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바라 하겠다.
7) 교사론
그는 당시 교사 제도의 모순에 관해 지적하기를, 지금은 훈도(訓導)를 지극히 천한 소임으로 생각하여 반드시 가난하고 재산이 없는 사람을 구해 그 자리를 주어 그것으로 가난이나 면케 하고 있고, 훈도가 된 사람은 한갓 교생(敎生)을 침탈하여 자기만 살찌게 할 뿐이니, 이런 형편에서 누가 교육이 무엇인지를 알겠느냐고 반문한다. 당시 교사가 밥벌이의 수단으로 전락된 현실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교화의 방법은 교사를 잘 선택하는 일보다 먼저 할 것이 없다. 따라서 율곡은 교육의 질적 향상을 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의 자질 향상이 급선무임을 강조하였다.여기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을 율곡은 《학교사목(學校事目)》에서 제시하고 있다.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가 하는 것은 현대 교육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율곡은 일찍이 교화의 첩경이 교육에 있고 교육의 성공은 또한 교사 제도의 확립에 있음을 확실히 한 것이니, 그의 교육적 탁견을 헤아릴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그의 교육사상은 시대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객관적 의미를 갖기에 충분한 것이며, 그의 도(道)로 표현된 교육 목표, 교육 동기로서의 입지, 성선과! 기질 변화의 교육 가능성, 평생교육 이념, 지행병진, 상벌 제도, 전인 교육의 강조 등 다양한 교육 방법, 그리고 그의 교사론 등은 현대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주고, 현대 교육이 당면한 문제 해결에 중요한 시사를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이황의 주리론
\'이가 발하면 기가 이를 따르고, 기가 발하면 이가 기를 탄다 \' 라고 하여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이라고 합니다.
이황은 주리론 적 입장에서 기의 작용보다 이의 원리를 더 중시했습니다.
1. 이기호발설 주장 : \'이가 발하면 기가 이를 따르고, 기가 발하면 이가 기를 탄다 \'
2.도덕적 원리에 대한 인식과 그 실천 중시 : 신분 질서 유지를 위한 도덕 규범 확립에 기여
이이의 주리론
1. 이황의 이기호발설 중 일부는 수용 (기가 발하면 이는 탄다)는 명제는 맞지만, (이가 발하면 기가 이를 따른다)라는 주장을 옳지 않다라고 비판 -> 이통 국기론
+\'이\'는 보편적인 것이고 \'기\' 는 특수한 것으로 파악하여, \'이\'는 통하고 \'기\'는 국한된다고 봄. 따라서, 모든 사물에 \'이\'가 내재해 있다는 측면에서 보면 모든 사물은 동일하다고 주장하였으며, 모든 사물이 다른것은 \'기\'의 국한성 때문이라고 봄.
2. 기발이승일도설 : 이가 스스로 활동,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기가 활동, 작용하는 원인이 될 뿐이기 때문에, 스스로 활동, 작용하는 것은 기 이다.
3. 이통 국기론 : \'이\' 와 \'기\'의 양자가 서로 의존하여 보완 관계를 유지하면서 조화됨을 강조
4 . 경험 세계를 더 중시했습니다. -> 사회 경장론 (정치, 경제,교육, 국방 등 사회 전반에 걸친 개혁을 강조하는 이론)
5. 조헌, 김장생 등으로 이어져 기호 학파 형성, 실학 사상에 영향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1.01.22
  • 저작시기2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40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