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본 도서를 선택한 이유
2. 본 도서의 핵심 주제와 주요 내용
3. 본 도서의 내용중에서 공유하고 싶은 내용
4. 본 도서를 읽고 느낀점
5. 본 도서의 시사점
2. 본 도서의 핵심 주제와 주요 내용
3. 본 도서의 내용중에서 공유하고 싶은 내용
4. 본 도서를 읽고 느낀점
5. 본 도서의 시사점
본문내용
.
인공부화국장과 린다 사이에서 태어난 존은 야만인보존지역에서 자라면서 린다로부터 문명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고, 그 문명세계를 동경하게 된다. 그러나 야만인보존지역에서 벗어나 신세계로 와서 교육을 받게 되지만 문명에 적응하지 못하고 약물로 중독되어 죽는 어머니와 죽음에 대해 무덤덤한 주변 사람들을 보게 되는 등 신세계의 새로운 문명을 경험할 때마다 실망을 하여 고통스러운 삶을 살게 된다.
존은 총통에게 불려가서 총통이 가지고 있는 책들을 발견하고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도록 건의하지만, 신세계 사람들은 책이 필요하지 않다고 한다. 총통에게서 불안정한 사회의 혼란 이야기를 들은 후 신세계를 포기하고 따나 홀로 살게 된다. 신세계의 커다란 틀에 변화를 줄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결국 존은 신세계 속에서 자신만의 삶을 살려고 하였으나 자신의 뜻대로 살지 못하는 것과 허망한 신세계의 진실을 알게되고 자살을 하며 삶을 마치게 된다.
멋진 신세계는 제목처럼 멋지지 않았다. 태어나면서부터 정해진 교육을 받고, 정해진 생각만 하며 기계처럼 주어진 일만하는 인간이라고 볼 수 없는 일생을 살아야만 했다.
인공부화국장은 견학 온 학생들에게 포카놉스키 처리는 사회 안정의 중요한 수단이라고 이야기한다. 공동, 균등, 안정이 해결책이라고 한다. 무한정으로 포카놉스키화하면 사회의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고 한다. 표준형인 감마에 의하여, 변화가 없는 델타에 의하여, 동일형의 엡실론에 의하여 해결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의 전개 과정에서 사회 안정을 위한다는 신세계는 인간성 말살이라는 단점을 안고 있다. 과학의 진보와 사회 정형화는 인간의 존엄성이 상실되지 않는 범위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멋진 신세계가 SF영화 아일랜드라는 영화를 떠올리게 했다. SF 영화 속에 등장하는 여러 장면의 모티브가 되었다고 한다. 90년 전에 미래에 대한 가상세계를 이렇게 멋지고 그럴듯하게 써내려 간 작가의 상상력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작가는 이 책에서 우리가 무분별한 과학 발달에 대해 정확한 인식을 통해 과학의 발달이 무조건적 멋진 신세계가 아님을 반어적으로 표현한 거 같다. 작가가 상상했던 신세계가 현재의 과학의 발달을 비교하는 것이 무리일 수 있지만 보이지 않는 미래에 어딘가에서 우려했던 멋진 신세계가 진행되고 있을지 모른다는 막연한 두려움도 생겼다. 이 책을 통해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미래의 우리의 모습을 상상해보면서 과학의 발달은 우리에게 많은 고통과 고민을 해결하여 유토피아를 꿈꾸게 해주는 필연적 도구일 수 있지만, 무조건적 과학의 발달에 앞서 올바른 인간적 윤리의식이 기본적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도서명 : 멋진 신세계
저 자 : 올더스 헉슬리
역 자 : 권세호
출판사 : 서문당
출판일 : 2019년 11월 05일
***************************************************************
인공부화국장과 린다 사이에서 태어난 존은 야만인보존지역에서 자라면서 린다로부터 문명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고, 그 문명세계를 동경하게 된다. 그러나 야만인보존지역에서 벗어나 신세계로 와서 교육을 받게 되지만 문명에 적응하지 못하고 약물로 중독되어 죽는 어머니와 죽음에 대해 무덤덤한 주변 사람들을 보게 되는 등 신세계의 새로운 문명을 경험할 때마다 실망을 하여 고통스러운 삶을 살게 된다.
존은 총통에게 불려가서 총통이 가지고 있는 책들을 발견하고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도록 건의하지만, 신세계 사람들은 책이 필요하지 않다고 한다. 총통에게서 불안정한 사회의 혼란 이야기를 들은 후 신세계를 포기하고 따나 홀로 살게 된다. 신세계의 커다란 틀에 변화를 줄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결국 존은 신세계 속에서 자신만의 삶을 살려고 하였으나 자신의 뜻대로 살지 못하는 것과 허망한 신세계의 진실을 알게되고 자살을 하며 삶을 마치게 된다.
멋진 신세계는 제목처럼 멋지지 않았다. 태어나면서부터 정해진 교육을 받고, 정해진 생각만 하며 기계처럼 주어진 일만하는 인간이라고 볼 수 없는 일생을 살아야만 했다.
인공부화국장은 견학 온 학생들에게 포카놉스키 처리는 사회 안정의 중요한 수단이라고 이야기한다. 공동, 균등, 안정이 해결책이라고 한다. 무한정으로 포카놉스키화하면 사회의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고 한다. 표준형인 감마에 의하여, 변화가 없는 델타에 의하여, 동일형의 엡실론에 의하여 해결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의 전개 과정에서 사회 안정을 위한다는 신세계는 인간성 말살이라는 단점을 안고 있다. 과학의 진보와 사회 정형화는 인간의 존엄성이 상실되지 않는 범위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멋진 신세계가 SF영화 아일랜드라는 영화를 떠올리게 했다. SF 영화 속에 등장하는 여러 장면의 모티브가 되었다고 한다. 90년 전에 미래에 대한 가상세계를 이렇게 멋지고 그럴듯하게 써내려 간 작가의 상상력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작가는 이 책에서 우리가 무분별한 과학 발달에 대해 정확한 인식을 통해 과학의 발달이 무조건적 멋진 신세계가 아님을 반어적으로 표현한 거 같다. 작가가 상상했던 신세계가 현재의 과학의 발달을 비교하는 것이 무리일 수 있지만 보이지 않는 미래에 어딘가에서 우려했던 멋진 신세계가 진행되고 있을지 모른다는 막연한 두려움도 생겼다. 이 책을 통해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미래의 우리의 모습을 상상해보면서 과학의 발달은 우리에게 많은 고통과 고민을 해결하여 유토피아를 꿈꾸게 해주는 필연적 도구일 수 있지만, 무조건적 과학의 발달에 앞서 올바른 인간적 윤리의식이 기본적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도서명 : 멋진 신세계
저 자 : 올더스 헉슬리
역 자 : 권세호
출판사 : 서문당
출판일 : 2019년 11월 05일
***************************************************************
추천자료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를 읽고
[독서감상문][독서감상문 지도][독후감][독후감 지도]독서감상문과 독서감상문 지도(독서감상...
[독후감]멋진신세계를 읽고
[올해최신A+자료][멈추면비로소보이는것들감상문][멈추면비로소보이는것들독후감][멈추면비로...
[독후감/서평]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최신A+) [지금우리에게필요한것은독후감][지금우...
[독후감] 올더스 헉슬리(Aldous Huxley)의 <멋진 신세계>를 읽고
『멋진 신세계』 : 내가 만들어가는 행복한 삶 [서평, 독후감] _ 올더스 헉슬리 저
[A++] 멋진신세계를 읽고 느낀점-영어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