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통일의 의미와 필요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북통일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남북통일의 방향
2. 남북통일의 의미
3. 남북통일의 필요성
1) 한민족
2) 유일 분단국
3) 전쟁 위협제거
4. 남북통일의 현실성
1) 정치적
(1) 보수계층
(2) 진보계층
(3) 외국
2) 경제적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국가라고 생각한다. 전쟁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나 한국이란 나라가 강하다는 것을 표현하고 싶었다.
지금도 경제, 군사력 측면에서 상당히 강한 우리나라인데, 더 강해지려고 한다면 어떠한 나라도 찬성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수출국인데 자원이 부족해서 항상 다른 나라의 눈치를 보고 있는데, 이를 북한에 산재한 자원들이 해결해줄 것이며, 북한의 낙후된 환경 또한 우리나라에게는 출구일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인구가 늘어나게 되면 부분적으로나마 내수경제를 돌리려고 할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를 압박할 카드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게다가 주변국인 중국이나 일본은 한국이 커질 경우 직접적으로 부담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찬성하지 않을 것이다.
2) 경제적
북한과 남한은 현재 GDP가 50배 이상 차이난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세계의 지원을 받고, 핵포기의 댓가로 UN과 미국의 지원을 받아야겠지만 근본적으로 우리나라가 어마어마한 돈을 부담해야만 직접적인 통일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나라보다 잘살고 경제구조도 튼튼했던 독일조차, 통일한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서독과 동독의 경제차이는 아직도 크다. 심지어 동독은 공산주의국가 중에서도 가장 잘사는 국가로 꼽힐만큼 산업기반이 튼튼했고, 인구도 넉넉한 편이었다. 이에 반해 북한은 최빈국인데다가 군사에 지나친 돈을 투자하고 있어 독일의 상황과는 다르다. 코로나19로 인해 원래 좋지 않던 경제는 더욱 불황이고, 실업자는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그 누구도 통일을 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Ⅲ. 결론
남북통일의 방향과 의미, 필요성과 현실성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현재 통일에 대한 인식은 각 계층마다 다르지만, 남북한이 한민족인 것을 직접적으로 부정하지 않으며, 통일이 필요한 것을 알고 있다. 이처럼 통일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경제적인 문제로 인해 현실적으로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현재 북한의 상황을 봤을 때, 경제적인 문제는 근시일 내 해결되기 어렵다. 필자는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고 완전개방을 하여 UN과 미국, 전 세계에서 지원을 최대한 많이 받고, 토지를 통해 차관을 확보한 후 발전을 지속하여 현재의 GDP의 최소7∼10배 이상 올린 후에나 통일에 대해 얘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위처럼 북한이 발전하려면 많은 시간이 걸리겠지만, 급한 통일은 우리 남한마저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북한의 발전은 필수라고 생각한다. 북한이 발전을 이룩하고, 남과 북의 마음이 맞는 그날, 통일은 이루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논문
한정훈, 2016,「한국 유권자의 이념성향 통일의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분석」.
2. 사이트
한국보건사회연구원(www.kihasa.re.kr)
통일부(www.unikorea.go.kr)
통일교육원(https://www.uniedu.go.kr)
3. 배포자료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3,『통일 문제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1,『통일 필요성의 재인식』.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1.01.29
  • 저작시기202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4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