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제기
2. 재벌 체제의 문제들 -- 총체적 인식
1) 경제적 형평성과 경제민주주의가 침해된다
2) 경제 효율을 떨어뜨린다
3) 정치사회의 민주주의가 굴절된다
4) 시민사회의 공공성이 위협받는다
3. 재벌 체제의 개혁을 요구하는 몇가지 사회변화
1) 국제 경쟁의 격화 -- 국가 자원의 효율적 배분 필요성 증대
2) 생산체제의 유연화 -- 참여경영과 조직민주화의 필요성 증대
3) 민주주의의 확대·심화 요구
4) 통일 -- 남북한 경제통합의 과제
4. 재벌체제의 개혁을 위한 몇가지 제언
2. 재벌 체제의 문제들 -- 총체적 인식
1) 경제적 형평성과 경제민주주의가 침해된다
2) 경제 효율을 떨어뜨린다
3) 정치사회의 민주주의가 굴절된다
4) 시민사회의 공공성이 위협받는다
3. 재벌 체제의 개혁을 요구하는 몇가지 사회변화
1) 국제 경쟁의 격화 -- 국가 자원의 효율적 배분 필요성 증대
2) 생산체제의 유연화 -- 참여경영과 조직민주화의 필요성 증대
3) 민주주의의 확대·심화 요구
4) 통일 -- 남북한 경제통합의 과제
4. 재벌체제의 개혁을 위한 몇가지 제언
본문내용
수의 공개적 약속
) 1995년부터 몇개 재벌사에서 계열 분리와 소유 분산을 천명하는 눈에 띄는 선언을 하고 있어서 주목을 받은바 있다. 현대는 1995년 1월, 1996년까지 문화일보 등 10개 계열사를 계열 분리하고 비공개기업을 적극 공개하며, 내부지분율을 당시의 61%선에서 40%까지 낮추겠다고 발표했으며, 그 한 달 뒤에는 대우도 친인척 주식보유와 경영 참여를 배제하며, 내부지분율을 1997년까지 20%로 축소하겠다고 선언하였다. 1996년 2월 24일에는, LG가 <21세기형 경영체제 구축을 위한 실체경영 추진방안>을 발표하면서, 오는 1999년까지 대주주 지분율을 3%로 축소하고 현재 39%인 내부지분율을 19.5% 이하로 낮추며, 공개 자본금 비율을 90%까지 높이는 한편(소유 분산), 20개 CU(사업문화단위)별로 CU장에게 임원인사권과 경영에 관한 모든 의사결정권을 위임하겠다(소유와 경영의 분리)고 선언하였다. 아울러 그룹 내에 <공정거래위원회>를 설치하여 계열사간 내부거래를 완전경쟁으로 바꿔 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재 30대 재벌 가운데 유일하게 전문경영인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기아그룹은 또 1996년 3월 22일, 종업원 소유 지분을 대폭 확대해 가기로 결정하였다.
이와 같은 일부 재벌의 선언과 약속이 지켜질수만 있어도 그것은 재벌 개혁과 관련하여 대단히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보이는데, 불행하게도 지금으로서는 위 약속의 대부분이 지켜지지 않을 것이 거의 확실시된다. 그러나 더 안타까운 점은, 그러한 약속 이행을 강제해 내려는 노동운동과 시민운동 차원의 대응이 전무하다는 사실이다.
이행을 강제해 내는 재벌감시 운동, 재벌과 언론의 분리운동 등을 다양한 형식으로 전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철규 외, 1991, 『재벌 -- 성장의 주역인가 탐욕의 화신인가』, 비봉출판사
강철규, 1994, 「국제화시대의 재벌정책」, 『경제정의』, 제22호, 여름
------, 1995, 「재벌의 금리차지대 추계」, 정윤형·전철환·김금수 외, 『민족경제론과 한국경제』, 창작과 비평사
공정자, 1989, 「한국 대기업가 가족의 혼맥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사회학 박사논문
공제욱, 1992, 「1950년대 한국 자본가의 형성 과정」, 서울대 사회학 박사논문
------, 1994, 「한국 자본가계급의 성장과 국가」, 한국산업사회연구회 편, 『계급과 한국 사회』, 한울아카데미
곽노현, 1995a, 「재벌에 대한 법적 규제 -- 경제민주주의적 관점」, 『한국방송통신대학 논문집』, 1995. 2
------, 1995b, 「통일국가의 바람직한 기업상」, 『한반도 통일국가의 체제구상』, 한겨레신문사
김기태·홍현표, 1993, 「한국 재벌의 성과 분석」, 『산업조직 연구』, 2집
김영조, 1992, 「소유와 경영의 분리에 대한 비판적 논의 : 한국 재벌의 소유 및 지배구조」, 연세대학교, 『산업과 경영』, 1992. 11
김준석, 1990, 「1980년대 자본의 집중에 대한 고찰 : 재벌의 계열기업을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논문
박병윤, 1982, 『재벌과 정치』, 한국양서
서울경제신문사, 1991, 『재벌과 가벌』, 지식산업사
양원근, 1992, 『대기업집단의 효율성 분석』, 산업연구원
이 근, 1993, 「통일 한국의 새 경제체제 : 참여시장 경제」, 『북한·통일 문제 논문집』, 통일원
이석기, 1994, 「남북경협과 통일경제체제」,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 전망』, 여름호, 녹두출판사
이승훈 외, 1991, 『소유와 경영의 분리: 경영현대화와 경제민주화』, 서울대 사회과학연구소.
이재희, 1990, 「1980년대 한국자본주의의 이해」, 한국산업사회연구회, 『경제와 사회』, 1990 가을호
───, 1992, 「재벌정책의 인식과 대안」, 한국사회경제학회, 『정치경제학과 한국사회』(사회경제평론 5), 한울
───, 1996, 「한국 재벌의 지배구조 개편 방안」, 한국사회경제학회 발표 논문(1996.4)
장상환, 1992a, 「재벌해체와 경제구조 개혁」, 『경제정책 대토론회 자료집』
───, 1992b, 「민주변혁과 재벌해체의 내용」, 학술단체협의회, 『한국 사회의 민주적 변혁과 정책적 대안』, 역사비평사
───, 1995, 「한국 독점자본의 지배구조」, 정윤형·전철환·김금수 외, 『민족경제론과 한국경제』, 창작과 비평사
장원석, 1993, 「통일 이후의 사회경제체제 : 우리식 사회적 시장경제의 하나의 시론」, 『경제논집』, 제 50호
장지상, 1992, 「재벌에 의한 경제력집중과 비민주적 경제구조」, 변형윤 외, 1992, 『경제민주화의 길』, 비봉출판사
정대화, 1995, 「한국의 정치변동, 1987∼1992 : 국가 - 정치사회 -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대 정치학 박사논문
조동성, 1990, 『한국재벌 연구』, 매일경제신문사
조우현, 1995, 「신노동자 경영참가론」, 조우현 편, 『세계의 노동자 경영참가』, 창작과 비평사
최정표, 1993, 『재벌해체』, 비봉출판사
홍덕률, 1990, 「재벌경제의 실상과 구조적 병폐」,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비평』, 1990 가을호
───, 1993, 「한국 대자본가의 조직화와 계급실천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회학 박사논문
───, 1995, 「198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지배구조 변화」, 대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 연구』, 제 2집 1호
───, 1996a, 「1987년 이후 정부-재벌 관계의 변화」, 한국산업사회학회, 『경제와 사회』, 1996 여름호
───, 1996b, 「재벌의 사회경영 전략」, 참여연대, 『참여사회』, 1996. 7·8월호
───, 1996c, 「재벌지배구조와 경제민주주의」, 참여사회연구소 심포지움 발표 논문(1996. 7)
───, 1996d, 「재벌의 존재양태와 재벌 개혁의 긴급성」,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비평』, 가을호
홍현표, 1993, 「한국 재벌의 소유 집중」, 『경제학 연구』, 41집 1호
Dahl, R., 1985, A Preface to Economic Democracy, Berkeley : Univ. of California Press
) 1995년부터 몇개 재벌사에서 계열 분리와 소유 분산을 천명하는 눈에 띄는 선언을 하고 있어서 주목을 받은바 있다. 현대는 1995년 1월, 1996년까지 문화일보 등 10개 계열사를 계열 분리하고 비공개기업을 적극 공개하며, 내부지분율을 당시의 61%선에서 40%까지 낮추겠다고 발표했으며, 그 한 달 뒤에는 대우도 친인척 주식보유와 경영 참여를 배제하며, 내부지분율을 1997년까지 20%로 축소하겠다고 선언하였다. 1996년 2월 24일에는, LG가 <21세기형 경영체제 구축을 위한 실체경영 추진방안>을 발표하면서, 오는 1999년까지 대주주 지분율을 3%로 축소하고 현재 39%인 내부지분율을 19.5% 이하로 낮추며, 공개 자본금 비율을 90%까지 높이는 한편(소유 분산), 20개 CU(사업문화단위)별로 CU장에게 임원인사권과 경영에 관한 모든 의사결정권을 위임하겠다(소유와 경영의 분리)고 선언하였다. 아울러 그룹 내에 <공정거래위원회>를 설치하여 계열사간 내부거래를 완전경쟁으로 바꿔 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재 30대 재벌 가운데 유일하게 전문경영인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기아그룹은 또 1996년 3월 22일, 종업원 소유 지분을 대폭 확대해 가기로 결정하였다.
이와 같은 일부 재벌의 선언과 약속이 지켜질수만 있어도 그것은 재벌 개혁과 관련하여 대단히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보이는데, 불행하게도 지금으로서는 위 약속의 대부분이 지켜지지 않을 것이 거의 확실시된다. 그러나 더 안타까운 점은, 그러한 약속 이행을 강제해 내려는 노동운동과 시민운동 차원의 대응이 전무하다는 사실이다.
이행을 강제해 내는 재벌감시 운동, 재벌과 언론의 분리운동 등을 다양한 형식으로 전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철규 외, 1991, 『재벌 -- 성장의 주역인가 탐욕의 화신인가』, 비봉출판사
강철규, 1994, 「국제화시대의 재벌정책」, 『경제정의』, 제22호, 여름
------, 1995, 「재벌의 금리차지대 추계」, 정윤형·전철환·김금수 외, 『민족경제론과 한국경제』, 창작과 비평사
공정자, 1989, 「한국 대기업가 가족의 혼맥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사회학 박사논문
공제욱, 1992, 「1950년대 한국 자본가의 형성 과정」, 서울대 사회학 박사논문
------, 1994, 「한국 자본가계급의 성장과 국가」, 한국산업사회연구회 편, 『계급과 한국 사회』, 한울아카데미
곽노현, 1995a, 「재벌에 대한 법적 규제 -- 경제민주주의적 관점」, 『한국방송통신대학 논문집』, 1995. 2
------, 1995b, 「통일국가의 바람직한 기업상」, 『한반도 통일국가의 체제구상』, 한겨레신문사
김기태·홍현표, 1993, 「한국 재벌의 성과 분석」, 『산업조직 연구』, 2집
김영조, 1992, 「소유와 경영의 분리에 대한 비판적 논의 : 한국 재벌의 소유 및 지배구조」, 연세대학교, 『산업과 경영』, 1992. 11
김준석, 1990, 「1980년대 자본의 집중에 대한 고찰 : 재벌의 계열기업을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논문
박병윤, 1982, 『재벌과 정치』, 한국양서
서울경제신문사, 1991, 『재벌과 가벌』, 지식산업사
양원근, 1992, 『대기업집단의 효율성 분석』, 산업연구원
이 근, 1993, 「통일 한국의 새 경제체제 : 참여시장 경제」, 『북한·통일 문제 논문집』, 통일원
이석기, 1994, 「남북경협과 통일경제체제」,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 전망』, 여름호, 녹두출판사
이승훈 외, 1991, 『소유와 경영의 분리: 경영현대화와 경제민주화』, 서울대 사회과학연구소.
이재희, 1990, 「1980년대 한국자본주의의 이해」, 한국산업사회연구회, 『경제와 사회』, 1990 가을호
───, 1992, 「재벌정책의 인식과 대안」, 한국사회경제학회, 『정치경제학과 한국사회』(사회경제평론 5), 한울
───, 1996, 「한국 재벌의 지배구조 개편 방안」, 한국사회경제학회 발표 논문(1996.4)
장상환, 1992a, 「재벌해체와 경제구조 개혁」, 『경제정책 대토론회 자료집』
───, 1992b, 「민주변혁과 재벌해체의 내용」, 학술단체협의회, 『한국 사회의 민주적 변혁과 정책적 대안』, 역사비평사
───, 1995, 「한국 독점자본의 지배구조」, 정윤형·전철환·김금수 외, 『민족경제론과 한국경제』, 창작과 비평사
장원석, 1993, 「통일 이후의 사회경제체제 : 우리식 사회적 시장경제의 하나의 시론」, 『경제논집』, 제 50호
장지상, 1992, 「재벌에 의한 경제력집중과 비민주적 경제구조」, 변형윤 외, 1992, 『경제민주화의 길』, 비봉출판사
정대화, 1995, 「한국의 정치변동, 1987∼1992 : 국가 - 정치사회 -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대 정치학 박사논문
조동성, 1990, 『한국재벌 연구』, 매일경제신문사
조우현, 1995, 「신노동자 경영참가론」, 조우현 편, 『세계의 노동자 경영참가』, 창작과 비평사
최정표, 1993, 『재벌해체』, 비봉출판사
홍덕률, 1990, 「재벌경제의 실상과 구조적 병폐」,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비평』, 1990 가을호
───, 1993, 「한국 대자본가의 조직화와 계급실천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회학 박사논문
───, 1995, 「198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지배구조 변화」, 대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 연구』, 제 2집 1호
───, 1996a, 「1987년 이후 정부-재벌 관계의 변화」, 한국산업사회학회, 『경제와 사회』, 1996 여름호
───, 1996b, 「재벌의 사회경영 전략」, 참여연대, 『참여사회』, 1996. 7·8월호
───, 1996c, 「재벌지배구조와 경제민주주의」, 참여사회연구소 심포지움 발표 논문(1996. 7)
───, 1996d, 「재벌의 존재양태와 재벌 개혁의 긴급성」,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비평』, 가을호
홍현표, 1993, 「한국 재벌의 소유 집중」, 『경제학 연구』, 41집 1호
Dahl, R., 1985, A Preface to Economic Democracy, Berkeley : Univ. of California Press
추천자료
5대 및 10대 재벌의 차입금과 생산성의 최근 동향
한국 재벌의 지배구조 개편방안
한국 자동차산업 재벌 대기업과 하도급거래
한국경제에 있어서 재벌정책
한국사회의 재벌
산업정책과 재벌
한국 경제와 재벌(한국 현대경제사 레포트)
국내기업의 성장과 재벌개혁
[자본주의][신자유주의][재벌][자본]자본주의에 관한 조사(자본의 운동법칙과 역사, 자본주의...
한국 벤처기업의 성장과 재벌의 정보산업 진출 그리고 산업정책
한국 재벌기업의 성장 및 과정
[신자유주의]신자유주의 구조조정과 국가기간산업, 재벌개혁, 신자유주의 구조조정과 사회양...
기업지배구조의 정의, 기업지배구조의 특징, 기업지배구조의 법적 규율, 기업지배구조의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