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장애의 분류 (DSM-IV) 사건수면의 진단기준 - 악몽장애 - 수면경악장애 - 수면보행장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면장애의 분류 (DSM-IV) 사건수면의 진단기준 - 악몽장애 - 수면경악장애 - 수면보행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불면증이란 무엇인가
2. 불면증은 왜 생기는가
3. 불면증을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4. 수면장애

본문내용

한다. 복용을 중단한 후에는 불면증이 더 심해지기도 하며, 약물의존성이 생겨서 약을 쉽게 끊을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습관적 남용을 막기 위해서 일주일에 두 번 이상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임산부, 약물 남용자, 수면무호흡증 환자 등은 벤조다이아제핀은 삼가는 것이 좋고, 밤중에 갑자기 근무를 서거나 출동하는 사람도 복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노인의 경우 약물에 민감하고, 대사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며 중독 위험이 더 높기 때문에, 젊은 사람보다 소량만 복용하는 것이 좋다.
만성불면증의 경우는 인지행동적인 치료에 부가적으로 약물 사용을 고려해 보는 것이 더 유용하다. 수면제를 복용하면 본인이 의도하지는 않았더라고 처음과는 달리 항상 장기화도리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의사의 처방이나 지시에 따라서 주의해서 복용해야 하며, 이보다 스스로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이나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수면장애
1. 수면장애란 무엇인가
불면증은 여러 수면장애 중 가장 흔한 질환이고 통계에 따르면 성인의 30~40% 정도가 한 해에 한 번 이상 지속되는 심각한 불면증을 앓고 있다. 불면증에는 의학적 요인 외에도 심리적인 요인이 관여되어 있으므로 불면증에 대한 심리학적 지식을 갖고 있으면 불면증의 고통을 훨씬 덜 수 있다.
수면장애의 증상은 불면증, 과수면증, 사건수면, 수면각성주기 장애 등이 있다.
▣ 수면장애의 분류(DSM-IV)
1. 원발성 수면장애
1) 이상수면(dissomnia)
원발성 불면증(primary insomnia)
원발성 과수면증(primary hypersomnia)
기면증(narcolepsy)
호흡관련 수면장애(breathing-related sleep disorder)
일교차성 수면장애(circadian rhythm sleep disorder)
2) 사건수면(parasomnia)
악몽장애(nightmare disorder)
수면경악장애(sleep terror disorder)
수면보행장애(sleepwalking disorder)
2. 다른 정신질환과 관련된 수면장애
1) 축Ⅰ 또는 축Ⅱ 질환에 관련된 불면증
2) 축Ⅰ 또는 축Ⅱ 질환에 관련된 과수면증
3. 기타 수면장애
1) 일반 의학적 상태로 인한 수면장애 (Sleep Disorder Due to a General Medical Condition)
2) 물질로 유발된 수면장애 (Substance-Induced Sleep Disorder)
2. 수면장애의 종류
▣ 이상수면의 진단기준
<원발성 수면장애>
A. 적어도 1개월 동안 수면의 시작이나 수면 유지의 어려움 또는 원기 회복이 되지 않 는 수면을 호소
B. 사회적, 직업적, 기타 중요한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초래
C. 수면장해는 다른 수면장애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 않는다.
D. 정신장애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는 것이 아니다.
E.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원발성 과수면증>
A. 적어도 1개월 동안 지속되는 과다한 졸음으로서 이는 수면 시간이 긴 수면 삽화, 또 는 거의 매일 일어나는 주간의 수면 삽화로 나타난다.
B. 사회적, 직업적, 기타 중요한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초래.
C. 수면장해는 다른 수면장애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 않으며, 불충분한 수면의 양으로 도 설명되지 않는다.
D. 정신장애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는 것이 아니다.
E.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기면증>
A. 적어도 3개월에 걸친 기간 동안 매일 수면발작이 있어야 진단이 내려진다.
B. (1) 졸도발작
(2) 수면과 각성의 이행기에 REM 수면이 반복적으로 침습하는 현상, 출면기, 입면기 환각이나 수면마비.
C. 증상은 물질이나 다른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호흡관련 수면장애>
A. 수면 붕괴로 인한 과도한 졸음이나 불면증이며, 수면 중 환기의 이상으로 인하여 발 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B. 물질이나 다른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일교차성 수면장애>
A.지속적이거나 반복적인 수면붕괴로서 개인의 내인성 일주기 수면-각성 체계와 수면시 간 및 수면기간과 관련되는 외적인 요구 사이의 불일치 때문에 생긴다.
B.불면과 과다수면을 호소하며 이로 인하여 사회적, 직업적, 기타 중요 영역에서 장해나 주관적인 고통이 야기된다.
C.다른 수면장애나 다른 정신장애의 경과 중에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D.물질이나 다른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 사건수면의 진단기준
<악몽장애>
A. 잠을 깨어나게 하는 무서운 꿈을 반복적으로 꾸는 것이다.
B. 잠에서 깨어나면 완전한 각성 상태로 돌아온다.
C. 깨어나게 하는 무서운 꿈이나 수면 중단은 사회적, 직업적, 기타 중요 영역에서 장해 나 주관적인 고통이 야기된다.
D. 물질이나 다른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라면 이 장애는 진단 내려지 지 않는다.
<수면경악장애>
A. 수면 중 반복적으로 경악이 발생, 즉 갑작스럽게 잠에서 깨어나는 것으로서 공포에 질려 비명을 지르거나 울면서 시작된다.
B. 삽화에는 자율신경계 반응과 심한 공포 행동이 동반된다.
C. 삽화 동안 개인은 잠에서 깨어나거나 편안해지기 어렵다.
D. 수면 중 경악 삽화는 사회적, 직업적, 기타 중요 영역에서 장해나 주관적인 고통이 야기된다.
E 물질이나 다른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수면보행장애>
A. 수면 동안 시작되는 복잡한 운동 행위로서 침대에서 돌아다니는 행동 포함, 밤 수면 시간의 3분의1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남.
B. 삽화 동안 각성 및 반응이 감소, 멍청히 응시, 타인들과의 의사소통이나 타인들이 깨 우려는 노력에 거의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C. 깨었을 때 삽화 사건에 대한 기억은 제한된다.
D. 삽화 후 잠시 동안 혼돈이나 지남력 장해가 있고 인지기능과 적절한 행동이 완전히 회복된다.
E. 수면 중 보행은 사회적, 직업적, 기타 중요 영역에서 장해나 주관적인 고통이 야기된 다.
F. 물질이나 다른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라면 이 장애는 진단 내려지 지 않는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1.01.29
  • 저작시기2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4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