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면의 생리
수면의 단계
수면의 기능
수면장애의 이해
수면장애의 분류
수면의 단계
수면의 기능
수면장애의 이해
수면장애의 분류
본문내용
애와 감별하는데 유용하다.
DSM-IV 에서의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A. 개인의 환경에서 요구되는 수면각서일종과 생체내의 일교차성 수면각성일정이 맞지 않아
오는 수면장애.
B. 수면장애는 임상적으로 현저한 사회적, 직업적 혹은 다른 임상적으로 현저한 사회적 직 업적 혹은 다른 주요 기능면에서 곤란과 장애를 초래한다.
C. 다른 수면장애나 기타 정신질환 경과 등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D. 약물에 의한 직접적인 생리작용이나 일반적 의학적 상태에 의한 것이 아니다.
치료
불면증을 호소하는 경우, 수면제 등의 일반저인 치료로는 쉽게 불면증이 호전되지 않는다. 대신 circadian리듬과 수면각성 계획을 일치시키는 chronotherapy나 빛을 통해 시차를 조절하는 light therapy를 실시한다.
6) 기타 이상수면
특정 수면질환의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이다.
nocturnal myoclonus
수면 중 환자가 자각하지 못한 채 급작스럽고 상동적인 특정근육군 수축이 20-60초 간격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하지불안증후군 restless leg syndrome
수면 중 하지에 설명하기 어려운 아프지는 않으나 매우 괴로운 불편감을 느껴 움직이지 않을 수 없어서 잠을 깨게 된다. 주로 중년층에 많다.
Klein-Levin 증후군
수면시간이 수주일까지 길면서 자주 깬다. 기타 정신과적 증상이 있다.
3. 사건수면 parasomnia
사건수면이란 수면시 혹은 수면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이상사건을 말한다. 야뇨증, 수면관련 두통, 수면보행, 야경, 악몽, 이빨갈기, 수면관련 머리치기, 수면관련 간질, 야간음경팽대 소실, 천식, 위식도 역류 등 다양한 장애가 있다.
(1) 야경 sleep terror
야경증은 델타수면때 발생되는데 서파수면이 가장 많은 1-2시간내에 잦다. 무서운 소리를 지르거나 심한 자율신경 항진증상을 보인다. 심박동이 극도로 증가하고 땀을 많이 흘리며 숨이 급하게 쉬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며 혼돈상태이고 아침에 막연하게 무서운 일이 있었다는 것만을 기억한다. 대개 소아에 많으며 정신병리는 없다고 보아 특별한 치료는 하지 않는다.
치료
수면일정이 불규칙하거나 신체적으로 피곤한 경우 또는 스트레스가 이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원인을 제거하고 일정한 취침시간을 지키는 것을 권한다. 심한 경우 diazepam소량을 투여 할 수 있다. 성인의 경우 정신과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2) 악몽 nightmare
이는 REM수면에서 발생하므로 주로 새벽에 발생한다. 자율신경계항진은 야경증만큼 심하지 않고 꿈내용을 생생하게 기억할 수 있다. 성인의 악몽은 극히 내성적인 성격이나 정신불열적 성격에서 잘 나타나기도 하고 예술가적 기질이 있는 사람에서 자주 나타난다. 또 극심한 충격이나 열 때문에 발생 가능하다.
(3) 수면보행증
흔히 몽유병이라고 일컫는 것으로 델타수면증에 발생하며 야경증에 뒤따라 나타난다.
이 증상 중에는 신경생리적으로 뇌간은 깨어 있으나 대뇌피질은 계속 잠자고 있는 분리상태를 보인다.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소아의 경우 큰 정신병리 없이 정상발육 중에도 나타날 수 있으나 성인의 경우 정신병리가 심하며 특히 적개심이나 공격심을 잘 표현 못하고 억누르는 경우에 잘 발생한다.
DSM-IV에서는 수면보행장애라고 부른다.
이에 따른 특별한 치료는 없으며 사고가 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4) 기타
- 잠고대 : 성인 어린이 모두에서 나타나고 수면이 모든 단계에서 나타난다. 대개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 REM수면행동 장애 : REM 수면도중 난폭하고 복잡한 행동이 나타나는 것이다. 만성진행 성 장애로 남성에 많다.
- 수면성 미리부딪히기 : 잠자면서 율동적으로 머리를 흔드는 것이다.
4. 정신장애와 관련된 수면장애
(1) 불면증
가장 흔하게 동반되는 정신과 질환은 주요우울증이며 잠들기 어렵고 자주 깨며 새벽에 일찍 깨어 불쾌한 감정을 느낀다. 또 REM density가 증가하고 REM latency가 단축되는 특징이 있다. 공황장애를 비롯한 불안장애와 주정중독에서도 불면증이 많이 나타나고 조증상태에서도 가능한데 상태가 호전되면서 수면량은 증가한다. 정신분열증에서는 급성상태에서는 불면증이 자주 동반되나 만성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또 정신분열증의 수면은 조각난 수면양상
fragminted을 보인다. 강박장애의 경우 제 4 수면이 감소와 REM latency와 REM density의 감소가 특징적이다.
(2) 과수면장애
주로 경한 우울증 초기나 양극성장애의 우울증상태에 많이 나타난다. 정상적인 사별반응에서도 나타나며 기타 인격장애, 해리장애, 신체화 장애, 기억상실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5. 기타 수면장애
(1) 신체질환과 관련된 수면장애
신체적으로 불편한 증상 가운데 특별히 수면을 더 방해하는 신체질환들을 보면 야간근연축
nocturnal myoclonus, restless leg syndrome, 장염, 위식도 역류, 내분비와 대사성 질환, 수면부호흡증과 만성폐쇄성 폐질환, 천식 등의 호흡질환, 저산소증, 관절염이나 편두통 같은 통증질환 열병, 가려움증, 협심증 같은 심장질환, 종양, 잦은 소변 등의 비뇨기 질환 등이 그 원인이 될 수 있다. 또 수면과 관련된 간질, 치매인 경우에도 불면증이 발생 될 수 있다.
(2) 물질유도성 수면장애 substance induced sleep disorder
수면장애를 가장 유발시키는 약물중독은 중추신경 자극제인 amphetamine, cocaine, caffeine 등을 들 수 있으며 초기에는 불면증이 올 수 있으나 내성이 생기고 금단증상이 생길 때 과수면증이 나타난다. 술은 초기에는 잠을 쉽게 들게 하나 뇌기능을 억제하여 불면증을 초래하며 낮에 심하게 졸립다.
수면제를 연속적으로 장기복용하는 경우에도 불면증을 유발하며 수면제를 끊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 외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들로는 항암제, 항고혈압제, 자율신경계 약물, 항경련제, MAO억제젝, steroid, 피임제, theophtlline, 갑상선 치료제 등이다.
담배는 nicotine이 각성제이므로 불면을 유발시킨다.
DSM-IV 에서의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A. 개인의 환경에서 요구되는 수면각서일종과 생체내의 일교차성 수면각성일정이 맞지 않아
오는 수면장애.
B. 수면장애는 임상적으로 현저한 사회적, 직업적 혹은 다른 임상적으로 현저한 사회적 직 업적 혹은 다른 주요 기능면에서 곤란과 장애를 초래한다.
C. 다른 수면장애나 기타 정신질환 경과 등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D. 약물에 의한 직접적인 생리작용이나 일반적 의학적 상태에 의한 것이 아니다.
치료
불면증을 호소하는 경우, 수면제 등의 일반저인 치료로는 쉽게 불면증이 호전되지 않는다. 대신 circadian리듬과 수면각성 계획을 일치시키는 chronotherapy나 빛을 통해 시차를 조절하는 light therapy를 실시한다.
6) 기타 이상수면
특정 수면질환의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이다.
nocturnal myoclonus
수면 중 환자가 자각하지 못한 채 급작스럽고 상동적인 특정근육군 수축이 20-60초 간격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하지불안증후군 restless leg syndrome
수면 중 하지에 설명하기 어려운 아프지는 않으나 매우 괴로운 불편감을 느껴 움직이지 않을 수 없어서 잠을 깨게 된다. 주로 중년층에 많다.
Klein-Levin 증후군
수면시간이 수주일까지 길면서 자주 깬다. 기타 정신과적 증상이 있다.
3. 사건수면 parasomnia
사건수면이란 수면시 혹은 수면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이상사건을 말한다. 야뇨증, 수면관련 두통, 수면보행, 야경, 악몽, 이빨갈기, 수면관련 머리치기, 수면관련 간질, 야간음경팽대 소실, 천식, 위식도 역류 등 다양한 장애가 있다.
(1) 야경 sleep terror
야경증은 델타수면때 발생되는데 서파수면이 가장 많은 1-2시간내에 잦다. 무서운 소리를 지르거나 심한 자율신경 항진증상을 보인다. 심박동이 극도로 증가하고 땀을 많이 흘리며 숨이 급하게 쉬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며 혼돈상태이고 아침에 막연하게 무서운 일이 있었다는 것만을 기억한다. 대개 소아에 많으며 정신병리는 없다고 보아 특별한 치료는 하지 않는다.
치료
수면일정이 불규칙하거나 신체적으로 피곤한 경우 또는 스트레스가 이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원인을 제거하고 일정한 취침시간을 지키는 것을 권한다. 심한 경우 diazepam소량을 투여 할 수 있다. 성인의 경우 정신과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2) 악몽 nightmare
이는 REM수면에서 발생하므로 주로 새벽에 발생한다. 자율신경계항진은 야경증만큼 심하지 않고 꿈내용을 생생하게 기억할 수 있다. 성인의 악몽은 극히 내성적인 성격이나 정신불열적 성격에서 잘 나타나기도 하고 예술가적 기질이 있는 사람에서 자주 나타난다. 또 극심한 충격이나 열 때문에 발생 가능하다.
(3) 수면보행증
흔히 몽유병이라고 일컫는 것으로 델타수면증에 발생하며 야경증에 뒤따라 나타난다.
이 증상 중에는 신경생리적으로 뇌간은 깨어 있으나 대뇌피질은 계속 잠자고 있는 분리상태를 보인다.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소아의 경우 큰 정신병리 없이 정상발육 중에도 나타날 수 있으나 성인의 경우 정신병리가 심하며 특히 적개심이나 공격심을 잘 표현 못하고 억누르는 경우에 잘 발생한다.
DSM-IV에서는 수면보행장애라고 부른다.
이에 따른 특별한 치료는 없으며 사고가 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4) 기타
- 잠고대 : 성인 어린이 모두에서 나타나고 수면이 모든 단계에서 나타난다. 대개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 REM수면행동 장애 : REM 수면도중 난폭하고 복잡한 행동이 나타나는 것이다. 만성진행 성 장애로 남성에 많다.
- 수면성 미리부딪히기 : 잠자면서 율동적으로 머리를 흔드는 것이다.
4. 정신장애와 관련된 수면장애
(1) 불면증
가장 흔하게 동반되는 정신과 질환은 주요우울증이며 잠들기 어렵고 자주 깨며 새벽에 일찍 깨어 불쾌한 감정을 느낀다. 또 REM density가 증가하고 REM latency가 단축되는 특징이 있다. 공황장애를 비롯한 불안장애와 주정중독에서도 불면증이 많이 나타나고 조증상태에서도 가능한데 상태가 호전되면서 수면량은 증가한다. 정신분열증에서는 급성상태에서는 불면증이 자주 동반되나 만성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또 정신분열증의 수면은 조각난 수면양상
fragminted을 보인다. 강박장애의 경우 제 4 수면이 감소와 REM latency와 REM density의 감소가 특징적이다.
(2) 과수면장애
주로 경한 우울증 초기나 양극성장애의 우울증상태에 많이 나타난다. 정상적인 사별반응에서도 나타나며 기타 인격장애, 해리장애, 신체화 장애, 기억상실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5. 기타 수면장애
(1) 신체질환과 관련된 수면장애
신체적으로 불편한 증상 가운데 특별히 수면을 더 방해하는 신체질환들을 보면 야간근연축
nocturnal myoclonus, restless leg syndrome, 장염, 위식도 역류, 내분비와 대사성 질환, 수면부호흡증과 만성폐쇄성 폐질환, 천식 등의 호흡질환, 저산소증, 관절염이나 편두통 같은 통증질환 열병, 가려움증, 협심증 같은 심장질환, 종양, 잦은 소변 등의 비뇨기 질환 등이 그 원인이 될 수 있다. 또 수면과 관련된 간질, 치매인 경우에도 불면증이 발생 될 수 있다.
(2) 물질유도성 수면장애 substance induced sleep disorder
수면장애를 가장 유발시키는 약물중독은 중추신경 자극제인 amphetamine, cocaine, caffeine 등을 들 수 있으며 초기에는 불면증이 올 수 있으나 내성이 생기고 금단증상이 생길 때 과수면증이 나타난다. 술은 초기에는 잠을 쉽게 들게 하나 뇌기능을 억제하여 불면증을 초래하며 낮에 심하게 졸립다.
수면제를 연속적으로 장기복용하는 경우에도 불면증을 유발하며 수면제를 끊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 외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들로는 항암제, 항고혈압제, 자율신경계 약물, 항경련제, MAO억제젝, steroid, 피임제, theophtlline, 갑상선 치료제 등이다.
담배는 nicotine이 각성제이므로 불면을 유발시킨다.
추천자료
정신간호학 case study - Schizophrenia(정신분열병)
[수면의학]정상성인의 수면생리 및 수면장애의 이해와 치료
정신간호학 정신분열증케이스
정신간호학실습case(정신분열증환자 케이스 스터디만 올림)
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병 case study
정신간호학 정신과 약물(전반적인 내용)
정신간호학 15장 정신치료정리
정신간호학 Case Study -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정신간호학 MR(정신지체), 조현병 케이스 스터디 (Schizophrenia Case Study) - 이름 : 장O진...
정신간호학 - Paranoid Schizophrenia (망상형, 편집형 정신분열증) Case Study
정신간호학 실습지침서(조현병간호, 정신간호, 간호진단, 계획,수행, 평가 포함. 조현병)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case study A++ 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병동 컨퍼런스 만점자료
정신건강간호학) 정신간호과정 a+
정신간호학실습 정신사회재활프로그램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