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채 그들을 풀어주고 낙동강 전투에서 은혜와 재회해 그녀와 사랑을 나누다 자신의 아이를 잉태한 그녀가 전사하자 결국 제 3국을 선택한다. 결국 이는 ‘광장에 대한 관심 → 광장에 대한 환멸 → 사랑만이 존재하는 밀실로의 도피→ 사랑에 대한 절망 → 새로운 광장으로의 탈출’로 단순화 할 수 있다. 여기에 타고르호도 하나의 세계로 본다면 이 도식은 또다시 적용된다. 즉 중립국이라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관심은 포로들 사이의 싸움을 겪음으로 인해 ‘밀실과 광장’의 부조화에 대한 환멸을 느끼게 되고 윤애와 은혜, 나아가 자신과 은혜의 아이를 상징하는 갈매기들에 집착하다 결국 바다라는 새로운 도피처로 뛰어드는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대응구조를 작품의 표면구조라고 말할 수 있다. 표면구조는 관측 가능한 문장 조직의 추상적 공식화를 의미하며, 스토리의 결합적인 것으로 시간적인 인과원리에 의해서 지배를 받는다. 그러나 이 표면구조 밑에 존재하는 심층구조는 더 단순하고 추상적인 형식을 가진 것으로 표면구조 아래 존재하는 동시에 그 생성과정을 소급함으로써만 복구될 수 있는 것이다. 광장의 표면구조 속에서 반복되는 심층구조를 추출하면 그것은 동경과 환멸의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 환멸은 명준의 ‘서사시적 세계에 대한 동경’의 결과이며 이 동경은 결국 현실 세계에 대한환멸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결국 그는 유토피아로만 존재하는 이 서사시적 세계에 대한 동경만을 했을 뿐 현실에 적극 개입하거나 참여하여 광장을 개혁할 의지가 없었던 것이다. 결국 이는 명준의 사유를 끝내 관념적인 것으로만 머물게 했고 그에게 영원히 ‘나팔수’가 될 기회를 주지 않은 것이다.
6. 결론
비록 역사는 오래 되지 않았지만 형식주의는 넓은 분야에 걸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또한 순수하게 그 작품 자체만을 통해 보려고 했던 그들의 주장은 사회성을 떠난 미감은 반감되고 만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작품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문학 작품의 배경을 탐색하는 데만 그쳤던 역사주의 비평을 작품 그 자체의 세계로 끌여들였다는데 매우 큰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형식주의 이론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 <광장>을 분석한 두 가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그 실제에 대해 알아 보았다. 그 중 구재진의 연구에서는 작품 그 자체의 형식적인 분석에 열중하면서도 작가인 최인훈의 말이나 당시 출간된 다른 소설과의 비교를 통해 광장의 해석에 좀더 접근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앞으로도 형식주의는 작품 그 자체로 돌아가려는 순수한 의도를 잃지 않으면서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하고 발전해 나갔으면 한다.
참고문헌
구재진, <최인훈의 <광장>연구>
김언수, 《캐비닛》, 문학동네, 2006
김욱동, 《『광장』을 읽는 일곱가지 방법》, 문학과 지성사, 1996
나병철, 《문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4
이선영, 《문학 비평의 방법과 실제》, 삼지원, 1983
홍문표, 《현대문학비평이론》, 창조문화사, 2003
Wilfred L. Guerin, 최재석 역, 《문학비평입문-제3판-》, 한신문학사, 1994
6. 결론
비록 역사는 오래 되지 않았지만 형식주의는 넓은 분야에 걸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또한 순수하게 그 작품 자체만을 통해 보려고 했던 그들의 주장은 사회성을 떠난 미감은 반감되고 만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작품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문학 작품의 배경을 탐색하는 데만 그쳤던 역사주의 비평을 작품 그 자체의 세계로 끌여들였다는데 매우 큰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형식주의 이론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 <광장>을 분석한 두 가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그 실제에 대해 알아 보았다. 그 중 구재진의 연구에서는 작품 그 자체의 형식적인 분석에 열중하면서도 작가인 최인훈의 말이나 당시 출간된 다른 소설과의 비교를 통해 광장의 해석에 좀더 접근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앞으로도 형식주의는 작품 그 자체로 돌아가려는 순수한 의도를 잃지 않으면서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하고 발전해 나갔으면 한다.
참고문헌
구재진, <최인훈의 <광장>연구>
김언수, 《캐비닛》, 문학동네, 2006
김욱동, 《『광장』을 읽는 일곱가지 방법》, 문학과 지성사, 1996
나병철, 《문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4
이선영, 《문학 비평의 방법과 실제》, 삼지원, 1983
홍문표, 《현대문학비평이론》, 창조문화사, 2003
Wilfred L. Guerin, 최재석 역, 《문학비평입문-제3판-》, 한신문학사, 199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