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전용시대의 한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글 전용시대의 한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글전용의 일반화
2. 한자와 알파벳
3. 한자와 한자어
4. 한자를 순화해야하는 이유
5. 한자의 배움과 사용의 이유
6. 한자의 배움과 사용의 이유
7. 한자 학습
8. 영어교육과 한자교육
9. 예전 문서의 한자
10. 표기보다 이해를 위하여

본문내용

문자(象形文字)
한자 구성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물체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
* 대부분의 부수자(部首字)는 상형문자
예) 日(날 일), 月(달 월), 山(메 산), 川(내 천), 人(사람 인), 目(눈 목), 首(머리 수),
子(아들 자), 雨(비 우), 羊(양 양), 馬(말 마), 魚(물고기 어), 木(나무 목),
丁(장정 정), 不(아닐 불), 門(문 문), 등
2. 지사문자(指事文字)
사물의 모양으로 나타낼 수 없는 개념을 점, 선 또는 부호로서 나타낸 글자.
예) 一(한 일), 二(두 이), 三(석 삼), 七(일곱 칠), 八(여덜 팔), 久(오랠 수),
工(장인 공), 寸(마디 촌), 上(위 상), 中(가운데 중), 下(아래 하), 尺(자 척),
本(근본 본), 末(끝 말), 以(써 이), 丹(붉을 단), 등
3. 회의문자(會意文字) : 뜻 + 뜻
이미 만들어진 두 개 이상의 글자가 뜻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가 되는 글자.
예) 兄(맏 형), 男(사내 남), 明(밝을 명), 林(수풀 림), 休(쉴 휴), 位(자리 위),
信(믿을 신), 朋(벗 붕), 念(생각 념), 軍(군사 군), 好(좋아할 호), 孝(효도 효),
守(지킬 수), 安(편안할 안), 容(얼굴 용), 孫(자손 손), 등
따라서 한자 하나를 쪼개도 음이 합친것과 같은 것이 없으면 회의문자.
男(사내 남) = 田(밭 전) + 力(힘 력). 즉 ‘전’. ‘력’ 은 음이 모두 ‘남’이 아니고
밭에서 힘쓰는 건은 남자다 라는 두 뜻의 결합으로 ‘사내 남’이라는 글자가 된 것.
4. 형성문자(形聲文字) : 뜻 + 음
뜻을 나타내는 부분과 음(音)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결합하여 만들어진 글자.
예) 功(공 공), 空(빌 공), 記(기록할 기), 期(기약할 기), 忠(충성 충), 村(마을 촌),
談(말씀 담), 論(논할 론), 謝(사례할 사), 路(길 로), 城(성 성), 誠(정성 성),
頭(머리 두), 情(뜻 정), 逢(만날 봉), 景(볕 경), 등
따라서 한자 하나를 쪼갤 때 한글자의 음이 합친 글자의 소리와 같을 경우 형성문자.
功(공 공) = 工(장인 공) + 力(힘 력). 따라서 ‘장인 공’이 음이 되고 ‘힘 력’은
뜻이 된다.
※ 한자는 90%이상이 형성자입니다
5. 전주문자(轉注文字)
이미 있는 글자의 본래 의미로부터 유추(類推)하여 전혀 다른 음(音)과 뜻으로
굴리고[轉] 끌어 내어[注] 쓰는 글자.
예) 본래의 음과 뜻 - 전주된 뜻과 음
樂 : 풍류 악 - 즐길 락 / 좋아할 요
更 : 고칠 경 - 다시 갱
說 : 말씀 설 - 기쁠 열 / 달랠 세
降 : 내릴 강 - 항복할 항 등
따라서 한자 하나에 뜻음이 여러개이면 전주문자
6. 가차문자(假借文字)
원래의 뜻과 상관없이 음(音)만 빌려서 활용하는 문자로 (音譯)하여 쓰이는 문자.
예) 가차문자 : 원어
亞細亞(아세아) : Asia
佛蘭西(불란서) : France
西班牙(서반아) : Spain
伊太利(이태리) : Italia
印度(인도) : India
印尼(인니) : Indonesia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1.02.01
  • 저작시기2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46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