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실험의 목적
(2) 실험배경 및 이론
(3) 실험의 필요성
2. 실험방법
(1) 피실험자
(2) 실험도구
(3) 실험변수
(4) 실험방법
3. 실험결과
(1) 실험데이터
(2) 거리에 대한 동작시간(폭 16mm 기준)
(3) 폭에 대한 동작시간(거리 6.4cm 기준)
(4) 결론도출
(5) 애로사항 및 느낀점
(1) 실험의 목적
(2) 실험배경 및 이론
(3) 실험의 필요성
2. 실험방법
(1) 피실험자
(2) 실험도구
(3) 실험변수
(4) 실험방법
3. 실험결과
(1) 실험데이터
(2) 거리에 대한 동작시간(폭 16mm 기준)
(3) 폭에 대한 동작시간(거리 6.4cm 기준)
(4) 결론도출
(5) 애로사항 및 느낀점
본문내용
mm, 16mm원 안에 점을 찍고 소요시간을 기록한다.
⑤2,3,4 실험과정을 3회 반복한다.
기록 측정 중 에러 발생 시 다시 측정한다
3. 실험결과
(1) 실험데이터
거리
6.4cm
12.8cm
25.6cm
폭
4mm
8mm
16mm
4mm
8mm
16mm
4mm
8mm
16mm
1
1.21
1.01
0.88
1.6
1.39
1.33
1.93
1.81
1.66
2
1.18
1.07
0.9
1.65
1.42
1.23
2.02
1.72
1.61
3
1.25
1.1
0.93
1.69
1.47
1.41
1.89
1.6
1.48
10회
평균
1.23
1.09
0.89
1.63
1.43
1.31
1.95
1.77
1.56
1회
동작
시간
1.21
1.01
0.88
1.6
1.39
1.33
1.93
1.81
1.66
(2) 거리에 대한 동작시간(폭 16mm 기준)
결론: 거리가 멀수록 동작시간이 늘어난다.
(3) 폭에 대한 동작시간(거리 6.4cm 기준)
결론: 폭이 클수록 동작시간이 줄어든다.
(4)결론도출
동작 시간 테스트를 통하여 어떤 목표에 닿기 위해서 목표물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속도와 정확도가 나빠지고 목표물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필요한 시간이 더 길어진다는 “Fitts의 법칙”을 확인할수 있다.
* Fitts의 법칙 : MT = a+blog2(2)
MT : 동작시간 (Movement Time)
A : 표적 중간까지의 이동 거리
W : 표적의 폭
a, b : 상수
(5) 애로사항 및 느낀점
본 실험을 진행하는 과정 중에 몇 가지 애로사항들이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기록자의 반응속도에 따라서 실험결과가 다르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피실험자가 이미 원 가운데 볼펜이 들어와도 기록자가 스톱워치를 늦게 눌려버리면 실험결과가 왜곡될 우려가 있습니다. 두 번째는 실험이 몇 번 반복되면 피실험자가 실험에 익숙해져서 실험 의도와 맞지 않게 동작시간이 단축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Fitts의 법칙을 몸소 체득하는 계기가 되었고, 작업난이도에 따라 동작시간이 확연하게 차이 나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참고문헌 - 어깨, 팔꿈치, 손목의 자세에 따른 최대악력과 근육활동에 관한 연구
(2016 김태형정승래강성식장성록)
참고사이트 위키 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D%94%BC%EC%B8%A0%EC%9D%98_%EB%B2%95%EC%B9%99)
⑤2,3,4 실험과정을 3회 반복한다.
기록 측정 중 에러 발생 시 다시 측정한다
3. 실험결과
(1) 실험데이터
거리
6.4cm
12.8cm
25.6cm
폭
4mm
8mm
16mm
4mm
8mm
16mm
4mm
8mm
16mm
1
1.21
1.01
0.88
1.6
1.39
1.33
1.93
1.81
1.66
2
1.18
1.07
0.9
1.65
1.42
1.23
2.02
1.72
1.61
3
1.25
1.1
0.93
1.69
1.47
1.41
1.89
1.6
1.48
10회
평균
1.23
1.09
0.89
1.63
1.43
1.31
1.95
1.77
1.56
1회
동작
시간
1.21
1.01
0.88
1.6
1.39
1.33
1.93
1.81
1.66
(2) 거리에 대한 동작시간(폭 16mm 기준)
결론: 거리가 멀수록 동작시간이 늘어난다.
(3) 폭에 대한 동작시간(거리 6.4cm 기준)
결론: 폭이 클수록 동작시간이 줄어든다.
(4)결론도출
동작 시간 테스트를 통하여 어떤 목표에 닿기 위해서 목표물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속도와 정확도가 나빠지고 목표물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필요한 시간이 더 길어진다는 “Fitts의 법칙”을 확인할수 있다.
* Fitts의 법칙 : MT = a+blog2(2)
MT : 동작시간 (Movement Time)
A : 표적 중간까지의 이동 거리
W : 표적의 폭
a, b : 상수
(5) 애로사항 및 느낀점
본 실험을 진행하는 과정 중에 몇 가지 애로사항들이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기록자의 반응속도에 따라서 실험결과가 다르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피실험자가 이미 원 가운데 볼펜이 들어와도 기록자가 스톱워치를 늦게 눌려버리면 실험결과가 왜곡될 우려가 있습니다. 두 번째는 실험이 몇 번 반복되면 피실험자가 실험에 익숙해져서 실험 의도와 맞지 않게 동작시간이 단축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Fitts의 법칙을 몸소 체득하는 계기가 되었고, 작업난이도에 따라 동작시간이 확연하게 차이 나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참고문헌 - 어깨, 팔꿈치, 손목의 자세에 따른 최대악력과 근육활동에 관한 연구
(2016 김태형정승래강성식장성록)
참고사이트 위키 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D%94%BC%EC%B8%A0%EC%9D%98_%EB%B2%95%EC%B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