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주된 대상 & 확대 대상
3. 신뢰도 및 타당도
4. 검사내용
5. 검사방법
6. 채점 및 해석
7. 참고문헌
2. 주된 대상 & 확대 대상
3. 신뢰도 및 타당도
4. 검사내용
5. 검사방법
6. 채점 및 해석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각 항목에 대해 최대점수로 7점, 최저 점수로 1점을 준다.
2. 총점의 범위는 18~126점이다.
3. 모든 항목들에 대해 환자의 기능 수준을 가장 잘 묘사하고 있는 점수를 기록한다.
4. 능력(capacity)보다는 실제적인 수행(actual perfomance)을 기록한다.
5. 다른 환경이나 시간들 사이에 기능상의 차이가 있다면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한다.
6. Setup은 모든 항목에 대해 한결같이 5점을 준다.
7. 환자가 검사되어질 경우 손상의 위험이 있으면 1점을 준다.
8. 환자가 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면 1점을 준다.
9.항목에서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두 명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는 1점을 준다.
10. 모든 항목을 빈칸으로 남겨주지 않도록 한다.
11. 걷기/휠체어와 이해 및 표현의 경우 작은 칸에 가장 일상적 양식을 체크한다.
12. 걷기/휠체어 항목의 양식은 입원과 퇴원을 할 때 동일해야 한다.
2. 총점의 범위는 18~126점이다.
3. 모든 항목들에 대해 환자의 기능 수준을 가장 잘 묘사하고 있는 점수를 기록한다.
4. 능력(capacity)보다는 실제적인 수행(actual perfomance)을 기록한다.
5. 다른 환경이나 시간들 사이에 기능상의 차이가 있다면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한다.
6. Setup은 모든 항목에 대해 한결같이 5점을 준다.
7. 환자가 검사되어질 경우 손상의 위험이 있으면 1점을 준다.
8. 환자가 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면 1점을 준다.
9.항목에서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두 명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는 1점을 준다.
10. 모든 항목을 빈칸으로 남겨주지 않도록 한다.
11. 걷기/휠체어와 이해 및 표현의 경우 작은 칸에 가장 일상적 양식을 체크한다.
12. 걷기/휠체어 항목의 양식은 입원과 퇴원을 할 때 동일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