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뇌성마비(Cerebral palsy) 정의
2. 뇌성마비(Cerebral palsy) 원인
3. 뇌성마비(Cerebral palsy) 분류
4. 뇌성마비(Cerebral palsy) 동반장애
5. 기타 정상발달 운동의 법칙
2. 뇌성마비(Cerebral palsy) 원인
3. 뇌성마비(Cerebral palsy) 분류
4. 뇌성마비(Cerebral palsy) 동반장애
5. 기타 정상발달 운동의 법칙
본문내용
상에 따른 분류
경직형(Spastic type)
중증 경직형 (severe spastic type)
중등도 경직형 (moderate spastic type)
곰지락형(athetoid type)
이상긴장형 (dystonic type)
이상운동형 (dyskinetic type)
1) 중증 경직형 (severe spastic type) :
사지마비가 가장 많고, 또한 양측마비, 편마비형태로 나타남
2) 중등도 경직형 (moderate spastic type)
사지마비, 양측마비, 편마비 그리고 드물게 하지마비 형태로 나타남
3) 경직을 동반한 곰지락형 (Athetoid type with spasticity)
사지마비, 편마비 형태로 나타남
4) 긴장성 경축을 동반한 곰지락형(Athetoid type with tonic spasm)
사지마비 형태로 나타남
4. 뇌성마비(Cerebral palsy) 동반장애
1) 지능장애
뇌성마비 아동의 약 40~60%, IQ70이하
2) 간질 및 발작
뇌성마비 아동의 약 50%이상, 경직형 편마비, 사지마비에서 발생률 높음
대발작은 경직형 사지마비에서 주로 나타남, 소발작은 경직형 편마비에서 흔히 나타남
3) 시각장애
뇌성마비 아동의 40~45%에서 시력 또는 안구운동장애와 같은 시각장애를 보임, 미숙아 막망증, 신상아 가사, 시신경 손상, 사시(anorthopia), 특히 강직형 양측마비와 사지마비에서 깊이를 인식하거나 입체감각의 장애를 초래
4) 청각장애
뇌성마비 아동의 약 6~16% 청각장애를 보임, 주로 감각신경성 손상
5) 언어장애
뇌성마비 아동의 약 25% 정도에서 발음 및 발성기관의 운동장애, 중추성 언어장애, 인지능력의 결함 등에 의한 의사소통장애 등이 나타남
6) 감각장애
경직형 편마비에서 마비된 쪽의 무시와 더불어 입체인지와 2점 분별능력과 같은 감각통합장애가 흔히 나타남
7) 정서 및 행동장애
주의력 산만
8) 학습장애
- 신경계 질환별 물리치료 / 박지환 / 현문사 101p~114p 참고
- 현문사 의학용어사전 참고
5. 기타.
정상발달 운동의 법칙
1. 계속성 (한번 수정되면 죽을때까지 계속됨)
2. 발달순서의 불변성 (발달순서에 따라 발달하지만, 아동에 다라 속도는 다름)
3. 신경학적 성숙 (Gross motor -> Fine Moter)
4. general movement activety에서 special movement
5. cranial -> caudal (머리에서 팔), cephalo -> caudal (엎드린자세에서 목 가누기)
6. 반사가 사라짐
7. BOS (base of support) : 넓은자세에서 좁은면으로 발달
8. bilateal -> unilateral
9. 몸의 중심에서 사지쪽으로 발달
10. 움직임 발달순서 (Flexor -> Extensor -> rotation)
참고문헌 :
- 신경계 질환별 물리치료 / 박지환 / 현문사
- 실습지침서 및 아동질환 자료집
- 신경계 물리치료학 / martin, kessler / 군자출판사
- 현문사의학용어사전
경직형(Spastic type)
중증 경직형 (severe spastic type)
중등도 경직형 (moderate spastic type)
곰지락형(athetoid type)
이상긴장형 (dystonic type)
이상운동형 (dyskinetic type)
1) 중증 경직형 (severe spastic type) :
사지마비가 가장 많고, 또한 양측마비, 편마비형태로 나타남
2) 중등도 경직형 (moderate spastic type)
사지마비, 양측마비, 편마비 그리고 드물게 하지마비 형태로 나타남
3) 경직을 동반한 곰지락형 (Athetoid type with spasticity)
사지마비, 편마비 형태로 나타남
4) 긴장성 경축을 동반한 곰지락형(Athetoid type with tonic spasm)
사지마비 형태로 나타남
4. 뇌성마비(Cerebral palsy) 동반장애
1) 지능장애
뇌성마비 아동의 약 40~60%, IQ70이하
2) 간질 및 발작
뇌성마비 아동의 약 50%이상, 경직형 편마비, 사지마비에서 발생률 높음
대발작은 경직형 사지마비에서 주로 나타남, 소발작은 경직형 편마비에서 흔히 나타남
3) 시각장애
뇌성마비 아동의 40~45%에서 시력 또는 안구운동장애와 같은 시각장애를 보임, 미숙아 막망증, 신상아 가사, 시신경 손상, 사시(anorthopia), 특히 강직형 양측마비와 사지마비에서 깊이를 인식하거나 입체감각의 장애를 초래
4) 청각장애
뇌성마비 아동의 약 6~16% 청각장애를 보임, 주로 감각신경성 손상
5) 언어장애
뇌성마비 아동의 약 25% 정도에서 발음 및 발성기관의 운동장애, 중추성 언어장애, 인지능력의 결함 등에 의한 의사소통장애 등이 나타남
6) 감각장애
경직형 편마비에서 마비된 쪽의 무시와 더불어 입체인지와 2점 분별능력과 같은 감각통합장애가 흔히 나타남
7) 정서 및 행동장애
주의력 산만
8) 학습장애
- 신경계 질환별 물리치료 / 박지환 / 현문사 101p~114p 참고
- 현문사 의학용어사전 참고
5. 기타.
정상발달 운동의 법칙
1. 계속성 (한번 수정되면 죽을때까지 계속됨)
2. 발달순서의 불변성 (발달순서에 따라 발달하지만, 아동에 다라 속도는 다름)
3. 신경학적 성숙 (Gross motor -> Fine Moter)
4. general movement activety에서 special movement
5. cranial -> caudal (머리에서 팔), cephalo -> caudal (엎드린자세에서 목 가누기)
6. 반사가 사라짐
7. BOS (base of support) : 넓은자세에서 좁은면으로 발달
8. bilateal -> unilateral
9. 몸의 중심에서 사지쪽으로 발달
10. 움직임 발달순서 (Flexor -> Extensor -> rotation)
참고문헌 :
- 신경계 질환별 물리치료 / 박지환 / 현문사
- 실습지침서 및 아동질환 자료집
- 신경계 물리치료학 / martin, kessler / 군자출판사
- 현문사의학용어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