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써스톤 척도의 의의
II. 써스톤 척도의 작성
1. 관련문항의 수집
2. 평가자들에 의한 문항들의 분류
3. 척도가치의 설정
4. 척도문항의 설정
III. 써스톤 척도의 평가 및 장단점
* 참고문헌
II. 써스톤 척도의 작성
1. 관련문항의 수집
2. 평가자들에 의한 문항들의 분류
3. 척도가치의 설정
4. 척도문항의 설정
III. 써스톤 척도의 평가 및 장단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용하는 재검사법은 척도의 신뢰도를 정확히 측정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면 상황의 변동과 같은 다른 요인들이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이 꼭 적합하다고 할 수는 없으므로 반분법(split-half method)이 사용되기도 한다.
<표> 써스톤 척도의 실례 : 사형제도에 관한 태도문항 척도구성
이와 같은 써스톤 척도는 척도에 포함되는 항목(질문문항)들을 정리하여 가능한 한 간격을 같도록 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서열적 척도보다 한 수준 높은 등간적 척도수준을 유지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첫째, 이 척도의 작성에는 많은 시간과 인원이 소요된다는 점이 문제이다.
이 척도의 최초제작에는 보통 300명 가량의 평가자를 필요로 하는데 이는 다른 척도의 경우보다 훨씬 많은 인원의 동원이라 하겠다.
둘째, 써스톤 척도는 평가자들에게 항목에 대한 태도를 묻는 것이 아니고 진술들에 대한 우호성의 정도를 결정하게 한다는 점이 문제이다. 다시 말해서 항목에 따라서는 구체성이 결여된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평가자들의 평가에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셋째, Seltiz 등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이 척도의 경우 개인의 척도점수를 해석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즉, 개인의 척도점수는 그의 응답에 대한 중위값이므로 다양한 응답형태를 지년 개인들이 유사한 점수를 얻을 수가 있으므로 이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끝으로, 이 척도는 몇 가지 통계적 가정에 근거하고 있고 이 방법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최근에 들어와서는 그렇게 흔하게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표> 써스톤 척도의 실례 : 사형제도에 관한 태도문항 척도구성
이와 같은 써스톤 척도는 척도에 포함되는 항목(질문문항)들을 정리하여 가능한 한 간격을 같도록 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서열적 척도보다 한 수준 높은 등간적 척도수준을 유지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첫째, 이 척도의 작성에는 많은 시간과 인원이 소요된다는 점이 문제이다.
이 척도의 최초제작에는 보통 300명 가량의 평가자를 필요로 하는데 이는 다른 척도의 경우보다 훨씬 많은 인원의 동원이라 하겠다.
둘째, 써스톤 척도는 평가자들에게 항목에 대한 태도를 묻는 것이 아니고 진술들에 대한 우호성의 정도를 결정하게 한다는 점이 문제이다. 다시 말해서 항목에 따라서는 구체성이 결여된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평가자들의 평가에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셋째, Seltiz 등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이 척도의 경우 개인의 척도점수를 해석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즉, 개인의 척도점수는 그의 응답에 대한 중위값이므로 다양한 응답형태를 지년 개인들이 유사한 점수를 얻을 수가 있으므로 이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끝으로, 이 척도는 몇 가지 통계적 가정에 근거하고 있고 이 방법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최근에 들어와서는 그렇게 흔하게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키워드
추천자료
측정의 개념과 측정도구
국가자격시험 사회복지사 1급 사회복지조사론 특강 자료
군장대-사회복지조사론 중간고사 족보
리커트척도, 거트만척도, 써스톤척도의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비교해 보세요 - 장단점, 예시
사회복지조사론, 측정과척도, 측정, 척도, 이론요약
사회과학 조사연구에서 측정과 척도는 무엇이며, 척도의 사용방법은 무엇인지 구체적인 예를 ...
조사연구의 요소
사회복지 관련 척도 하나를 선택하여 제시하고 본인이 관심을 갖고 있는 개념에 적용한 후그 ...
[척도의 종류] 척도의 구성(리커트 척도, 보가더스 사회적 거리척도, 거트만 척도, 어의차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