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변인
1) 개념
2) 변인의 유형
2. 타당도
1) 의의
2) 내적타당도
3) 내적타당도 추론 조건
4) 내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
5) 외적타당도
3. 신뢰도
1) 의의
2)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4. 척도
1) 척도의 개념
2) 명목척도
3) 서열척도
4) 등간척도
5) 비율척도
1) 개념
2) 변인의 유형
2. 타당도
1) 의의
2) 내적타당도
3) 내적타당도 추론 조건
4) 내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
5) 외적타당도
3. 신뢰도
1) 의의
2)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4. 척도
1) 척도의 개념
2) 명목척도
3) 서열척도
4) 등간척도
5) 비율척도
본문내용
하다.
⑦ 거트만의 척도법
거트만의 척도는 누적 척도로, 척도도식법 또는 척도분석법이라고 한다. 단일차원적 특성, 태도, 현상 등을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누적 척도의 한 방법이다. 단일차원이란 문항이 하나의 잠재적인 차원에 일차원적으로 배열하는 것을 의미하며, 누적 적이란 강한 태도를 갖는 문항에 긍정적 인 견해를 표명한 사람은 약한 태도를 나타내는 문항에 대해서는 긍정 적이라는 논리를 적용하여 문항을 배열하는 것이다. ⑧ 소시오메트리(sociometry)
소시오메트리(sociometry)는 집단 내 개인의 선택, 커뮤니케이션 및 상호작용 형태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많은 방법들을 지칭 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소시오메트리는 보가더스의 사회적 거리척도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거리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그러나 집단 내 구성원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라는 점에서 집단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보가더스 척도와 구별 된다.
⑨ 어의차이 척도법(의미분화 척도법)
어의차이 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를 평가하기 위한 기법이다. 어의차이 척도법은 일직선으로 도표화된 척도의 양극단에 대칭적 표현 이나 형용사의 연속선상에서 응답자로 하여금 5점 또는 7점 중에서 해 당되는 부분에 평가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4) 등간척도
① 써스톤 척도(평위척도)
써스톤 척도는 써스톤이 정신물리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사회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만들어낸 척도이다. 써스톤 척도는 리커트 척도 구성의 간격이 동일하지 않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어떤 사실에 대하여 가장 우호적인 태도와 가장 비 우호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양 극단을 등 간격으로 구분하여 여기에 수치를 부여하는 등간척도이다. 써스톤 척도는 조사자가 자극들의 차이에 초점을 두고 척도치를 부여한 다는 점에서 자극중심 척도법이라고 한다.
(5) 비율척도(ratio scale)
① 비율척도는 측정된 숫자와 그 간격이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숫자의 비율 마저도 의미를 가지는 가장 높은 측정단위이다.
② 분류, 서열, 가감의 기능 외에도 절대영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승계와 비 율 비교가 가능하다.
③ 한 측정대상이 가지는 값이 다른 대상의 값보다 몇 배나 큰 것인가 하는 것 을 표시할 수 있는 척도이다.
④ 비율척도 예시 : 키, 몸무게, 나이, 월수입, 한달 용돈 등의 자료들
⑦ 거트만의 척도법
거트만의 척도는 누적 척도로, 척도도식법 또는 척도분석법이라고 한다. 단일차원적 특성, 태도, 현상 등을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누적 척도의 한 방법이다. 단일차원이란 문항이 하나의 잠재적인 차원에 일차원적으로 배열하는 것을 의미하며, 누적 적이란 강한 태도를 갖는 문항에 긍정적 인 견해를 표명한 사람은 약한 태도를 나타내는 문항에 대해서는 긍정 적이라는 논리를 적용하여 문항을 배열하는 것이다. ⑧ 소시오메트리(sociometry)
소시오메트리(sociometry)는 집단 내 개인의 선택, 커뮤니케이션 및 상호작용 형태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많은 방법들을 지칭 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소시오메트리는 보가더스의 사회적 거리척도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거리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그러나 집단 내 구성원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라는 점에서 집단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보가더스 척도와 구별 된다.
⑨ 어의차이 척도법(의미분화 척도법)
어의차이 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를 평가하기 위한 기법이다. 어의차이 척도법은 일직선으로 도표화된 척도의 양극단에 대칭적 표현 이나 형용사의 연속선상에서 응답자로 하여금 5점 또는 7점 중에서 해 당되는 부분에 평가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4) 등간척도
① 써스톤 척도(평위척도)
써스톤 척도는 써스톤이 정신물리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사회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만들어낸 척도이다. 써스톤 척도는 리커트 척도 구성의 간격이 동일하지 않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어떤 사실에 대하여 가장 우호적인 태도와 가장 비 우호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양 극단을 등 간격으로 구분하여 여기에 수치를 부여하는 등간척도이다. 써스톤 척도는 조사자가 자극들의 차이에 초점을 두고 척도치를 부여한 다는 점에서 자극중심 척도법이라고 한다.
(5) 비율척도(ratio scale)
① 비율척도는 측정된 숫자와 그 간격이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숫자의 비율 마저도 의미를 가지는 가장 높은 측정단위이다.
② 분류, 서열, 가감의 기능 외에도 절대영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승계와 비 율 비교가 가능하다.
③ 한 측정대상이 가지는 값이 다른 대상의 값보다 몇 배나 큰 것인가 하는 것 을 표시할 수 있는 척도이다.
④ 비율척도 예시 : 키, 몸무게, 나이, 월수입, 한달 용돈 등의 자료들
추천자료
사회복지조사론>TV드라마 시청이 빈곤층의 소외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조사론 요약정리
[사회복지조사론] 노인 일자리프로그램사업의 필요성과 문제점 및 개선 확대 방안 (2012년 추...
사회복지조사와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론] 무상급식, 무상보육의 효과성에 대해
[사회복지조사론] 설문지작성법 - 설문지 작성방법의 장단점, 설문지 작성의 일반적인 과정
(사회복지조사론) 표집(sampling) 이론정리 (표집의 정의와 특성, 표본설계, 표집(표본추출)...
(사회복지조사론) 측정과 척도 이론요약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의 필요성, 목적, 기능과 역할에 대해 서술하시오 : 사회복...
양적 조사 : 사회복지조사론 공통)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
사회복지조사론_타당도 평가방법 중 두 가지의 타당도 평가방법의 개념과 사례를 들어 설명하...
[사회복지조사론]사회복지사에게 사회복지조사가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논하시오.
사회복지조사론 ) 사회복지조사의 유형 중 조사목적에 따른 유형 세 가지에 대한 개념정의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