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력검사] 청각장애의 진단 및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력검사] 청각장애의 진단 및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순음청력검사

II. 어음청력검사

III. 중이기능검사

IV. 전기생리반응검사
1. 청성뇌간반응검사
2. 이음향방사

* 참고문헌

본문내용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와 이용향방사(Otoacoustic Emissions: OAE)가 있다.
1. 청성뇌간반응검사
청 성뇌간반응검사는 뇌간유발반응청력검사(Brainstern Evoked Response Audiometry : BERA)로도 알려져 있다(Jewett & Williston, 1971). ABR에서는 달팽이관에서 중뇌까지의 구심성 청각기관의 반응을 검사한다. 일련의 클릭(clicks)음으로 이루어진 청각 자극음은 헤드폰을 통해 검사 귀에 전달되는 한편, 반대 귀는 차폐시킨다. 만약 자극음이 인지되면 뇌에서 전기적 활동이 계속되는 아주 작은 변화가 유발된다.
뇌 활동에서 자극과 관련된 변화는 머리(주로 앞이마와 유양돌기)에 붙이는 전극을 통해 전달되어 그래프로 기록된다. ABR은 아주 어린 아동이나 중복장애아동의 청력손실을 측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이 검사의 결과는 1,000~4,000Hz 주파수대의 청력손실 정도를 알려 주나 그 반응이 구체적인 주파수대에 대한 것은 아니다.
2. 이음향방사
이음향방사는 자극음이 입력되면 달팽이관의 외유모세포에서 발생한다. 자극음에 대한 반응은 자극 후 몇 마이크로세컨드(msc: 100만 분의 1초)에 발생하는 \'반향(echo)\'으로 설명된다(Kemp, Ryan, & Bray, 1990). 이음향방사는 외이도에서 감지되는데, 이와 같은 방사가 감지된다면 자극 주파수에 대한 달팽이관의 기능이 정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음향방사는 역치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지는 않으나 정상 달팽이관의 반응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3,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2.22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55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