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전달물질 개념과 신경전달물질 종류 기능분석 및 신경전달물질 방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전달물질 개념과 신경전달물질 종류 기능분석 및 신경전달물질 방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경전달물질에 대한 설명

2. 신경전달물질 종류와 기능

3. 신경전달물질의 방출

본문내용

SG에 민감해서 지나치게 섭취하면 현기증과 같은 가벼운 신경학적 증상을 경험하기도 한다. GABA는 중추신경계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억제성 전달물질이다. GABA는 불수의적 운동, 우울, 정신피페와같은치명적인증세를보이는헌팅톤무도병과관련이 있다. 이 질병은 기저핵에 있는GABA성 뉴런의 변성으로 발생한다.
2. 신경전달물질 종류와 기능
신경전달물질
기능
관련정신질환
생체아민: 카테콜라민
Dopamine
쾌감, 복합적인 운동행동에 관여
일반적으로 흥분성에 관여
복잡한 운동, 동기화, 인지, 감정 반응 조절
조현병, 기분장애
Norepinephrine
환경인식, 주의력 학습, 기억 및 각성 조절
흥분성과 억제성 모두 관여
자극에 대한 반응여부 결정, 기분 조절
Epinephrine
뇌에 제한적으로 존재, ‘투쟁-도피 반응’
생체아민: 인돌아민
Serotonin
체온 정상화, 기분, 불안 등에 관여
억제성에 관여
수면과 각성상태에 영향
기분, 섬망, 환상, 조현병의 음성증상에 영향
증가시: 불안장애
감소시: 우울, 자살,
공격성, 충동성
Histamine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
정신약물과 관련된
체중증가
생체아민: 콜린성
Acetylcholine
직간접적으로 다른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여 인지기능을 중재
흥분성과 억제성 모두 관여
수면-각성주기에 영향
근육의 활동 신호
수면장애, 치매
아미노산
흥분성:
아스파트산,
클루타메이트,
시스테인,
호모시스테인산
억제성:
GABA, 글리신
알려지지 않음
높은 농도는 독성으로 작용
신체활동을 지연시킴
치매, 조현병, 불안장애
신경펩티드
엔돌핀,
엔케팔린,
뉴로텐신,
콜레시스토키닌,
물질 P 등
이차적인 메신저 역할을 담당하고
통증반응을 조절하는 데 관여
알츠하이머 병, 동작장애
3. 신경전달물질의 방출
(1) 신경전달분자: 시냅스 소포 → 축삭막과 융합
(2) 전압조절 Ca2+ 채널: 축삭 종말에 위치
(3) 축삭종말에 확산된 Ca2+ 이온 → synaptotagmin과 결합(Ca2+ 센서) → 세포질에 Ca2+-synaptotagmin 복합체 형성 → 시냅스 소포의 원형질막으로의 접근(정박) 유도 → 정박된 소포는 SNARE 복합 단백질에 의해 원형질막에 결합 → 소포와 원형질막의 융합
(4) 신경전달물질의 방출 → 시냅스 틈새 → 시냅스후 세포에 전달
(5) 신경전달물질의 수용체 단백질과의 결합: 시냅스후 막의 이온채널 개방
  • 가격3,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2.26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57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