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패퇴라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는 자주국방을 할 수 있는 것이 국가를 유지하기 위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려준다. 물론, 선조를 비판하고자 하는 말이 아니다. 그 당시 조선의 상황은 많은 수의 정병을 육성하고 유지하기에는 제한되는 상황 또한 많았기 때문이다. 결국, 여러 사정이 있다하여도 조선은 국방을 소홀히 하였고 이는 곧 임진왜란 당시 야전에서의 패배하는데 큰 원인을 제공한 것이다. 그리고, 서적에서 용병대를 이용해 자주적이지 못한 국방은 안전하지 못함을 비판하였고, 이 또한 조선말에 일본군을 막을 수 없게 되자 러시아군을 끌어들였던 상황을 떠올리게 한다. 비록 출간된 지 500년이 다 되어가는 논문이지만, 아직 많은 사람이 읽고 논쟁하는 것은 그 만큼 이 서적이 명저라는 의미일 것이다.
//끝//
//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