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호흡기 바이러스의 감염증인 아데노 바이러스의 정의, 증상, 예방법을 제시
1) 아데노 바이러스의 정의
2) 아데노 바이러스의 증상
3) 아데노 바이러스의 예방법
2. 아데노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를 위한 간호 사정, 진단, 중재, 기대효과 기술
1) 아데노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를 위한 간호 사정, 진단
2) 아데노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 기대효과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호흡기 바이러스의 감염증인 아데노 바이러스의 정의, 증상, 예방법을 제시
1) 아데노 바이러스의 정의
2) 아데노 바이러스의 증상
3) 아데노 바이러스의 예방법
2. 아데노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를 위한 간호 사정, 진단, 중재, 기대효과 기술
1) 아데노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를 위한 간호 사정, 진단
2) 아데노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 기대효과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진단한다. 혈소판수는 감소(50,000mm³ 이하)하고 PT(prothrombin time)와 PTT(partial thromboplastin time), INR은 지연된다. 섬유소원 수치(100g/dL 이하)와 응고인자 Ⅴ, Ⅷ, Ⅹ, ⅩⅢ은 감소하고 D-dimer와 섬유소 분해산물(FDP)은 증가한다. 응고 방해인자인 antithrombin Ⅲ와 C단백은 감소한다. 대변 내 잠혈
3) 중재
치료의 목적은 DIC의 유발원인을 제거하고 출혈을 조절하는 데 있다.
원인질환의 치료 : 패혈증, 악성종양, 태반조기박리 등의 유발질환을 치료하면 증상이 호전된다.
항응고요법 : 저분자량 헤파린과 같은 항응고제를 투여하여 새로운 혈전을 예방한다. 저용량으로 사용하여 출혈이 생기거나 악화되지 않도록 주의깊게 모니터링 한다. 새로운 치료방법은 활성화된 C단백이나 antithrombin 농축제를 이용하여 항응고기전을 복구하는 것이다.
응고물질의 투여 : 응고인자들이 포함되어 있는 동결침전제, 신선냉동혈장, 혈소판을 투여한다. 출혈로 인해 혈량이 부족하면 수혈한다. 혈액이나 수액을 주입할 때는 활력징후, 중심정맥압, 시간당 배뇨량등을 관찰하여 심장에 부담이 가거나 혈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약물요법 : 출혈을 조절할 수 없을 때 aminocaproic acid(Amicar)를 투여한다. 이때 심장과 신장 기능, 전해질 균형 등을 세심히 관찰한다.
출혈과 혈전증상 관찰 : 피부, 위장관, 비뇨기, 뇌, 폐 등의 출혈증상을 세심히 관찰하고, 신장, 뇌, 폐 등의 혈전증상을 관찰한다. 흉관, 비위관, 유치도뇨관 등의 튜브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배액의 색깔과 양을 주의해서 관찰한다. 출혈 시의 간호와 예방, 대상자 교육은 다른 출혈성질환과 동일하다.
심리적 간호 : DIC는 악성종양, 심맥관계 질환, 패혈증, 임신과 같은 상태에서 동시에 나타나므로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다. 대상자와 가족이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과 심리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다.
① 종말기관 허혈을 예방하기 위하여 정맥으로 수액과 혈관수축 촉진제(Positive Inotropic Agents)을 투여한다.
② 출혈이 주 증상으로 나타나면 혈소판이나 응고인자제제인 신선냉동혈장(Fresh Frozen Plasma, FFP)을 보충하여 주는데, 혈소판 투여 시 항혈소판 항체가 생겨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투여한다. PT가 증가되어 있다면 신선냉동혈장을 투여하며, 피브리노겐 정도가 100mg/dL인 경우에는 동결침전제제(Cryoprecipitate)를 수혈한다.
③ 혈액응고가 주 증상으로 나타나면 LMWH(Low Molecular Weight Heparin), Antithrombin III, Protein C를 투여를 할 수 있다. 최근에 수술한 경험이 있거나 위 장관 및 신경계에 출혈이 있었던 환자에게 헤파린을 투여하면 출혈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투여해서는 안 된다. 또한 Protein C는 뇌출혈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고, 혈소판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여 시 주의를 요한다.
④ 출혈조절, 응고인자의 정상 수준 유지.
⑤ 종말기관의 조직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산소를 충분하게 투여한다.
⑥ 활력징후, 섭취 및 배설, 혈액검사 등을 통한 약물투여 조절에 대해서도 의사와 상의한다.
⑦ 기관이나 구강을 통하여 흡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낮은 압력을 이용하여 흡인을 하는 것이 좋다.
⑧ 피부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부가 건조하지 않게 하거나 공기 매트리스를 이용한다.
⑨ 환자의 자세를 변경할 때에는 혈관이 쉽게 터지고 멍이 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자를 부드럽게 이동시킨다.
⑩ 환자는 불안하고 스트레스가 높은 상태이므로 환자가 물어보는 것에 대해 충분히 대답해 주고, 안심시켜 준다.
4) 기대효과
DIC의 치료는 무엇보다도 원인질환의 교정이 중요하다. 원인질환의 치료가 없이 DIC만 치료하는 경우 대개는 실패하게 된다. DIC 환자에서 광범위한 출혈경향을 보이는 환자와 혈전에 의한 다발성 장기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의 치료는 다르다. 또한 과소모된 혈소판, 혈액응고인자들의 보충과 이들의 소모를 억제하는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여러 원인질환과 간호중재들이 많고 실제로 병원에서 간호사들이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중재방법이다. 왜 대상자가 범발성 혈액내 응고증에 걸렸는지 원인 등을 알면 그에 맞는 중재를 계획하고 예방법을 교육하여 좋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은 패혈증, 외상, 중증 간질환, 산과적 질환, 악성종양 같은 질환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지혈 혈전계의 합병증이다.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DIC는 생명을 위협하므로 응급 상황으로 간주된다. 이번 과제를 통하여 성인과 아동간호학에서 학습했던 DIC의 원인질환 및 치료에 대해 다시한번 알아보는 계기가 되었고, 이 질환이 다장기부전으로 이행을 방지하기 위해 예방과 치료가 중요하다는 걸 느꼈다. 또한 증상이 진행되면 위기적 상황에 놓일 수 있으므로 대상자와 가족이 정신적으로 불안한 상태가 되므로 심리적인 간호도 같이 중재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몸의 균형과 조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몸이 보내는 신호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DIC 환자의 안전한 간호를 위하여 급성기, 질병기, 회복기관리에 대한 근거기반 간호중재수행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이를 위한 체계적인 학습 및 실무 훈련이 더욱더 필요하다고 느끼게 되었다.
Ⅳ. 참고문헌
- 교재 : 최명애 외, 『기초간호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121~129쪽
- 기타
①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2013, 107~109쪽
② 홍경자 외, 『영아와 아동을 위한 아동간호학』, 수문사, 2013, 1587쪽
③ 퍼시픽북스, 『성인간호학』, 퍼시픽북스, 2012, 357~358쪽
④ 김양호 외, 『병리학』, 현문사, 2016, 263, 289쪽
⑤ 퍼시픽북스, 『아동간호학』, 퍼시픽북스, 2012, 206~207쪽
3) 중재
치료의 목적은 DIC의 유발원인을 제거하고 출혈을 조절하는 데 있다.
원인질환의 치료 : 패혈증, 악성종양, 태반조기박리 등의 유발질환을 치료하면 증상이 호전된다.
항응고요법 : 저분자량 헤파린과 같은 항응고제를 투여하여 새로운 혈전을 예방한다. 저용량으로 사용하여 출혈이 생기거나 악화되지 않도록 주의깊게 모니터링 한다. 새로운 치료방법은 활성화된 C단백이나 antithrombin 농축제를 이용하여 항응고기전을 복구하는 것이다.
응고물질의 투여 : 응고인자들이 포함되어 있는 동결침전제, 신선냉동혈장, 혈소판을 투여한다. 출혈로 인해 혈량이 부족하면 수혈한다. 혈액이나 수액을 주입할 때는 활력징후, 중심정맥압, 시간당 배뇨량등을 관찰하여 심장에 부담이 가거나 혈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약물요법 : 출혈을 조절할 수 없을 때 aminocaproic acid(Amicar)를 투여한다. 이때 심장과 신장 기능, 전해질 균형 등을 세심히 관찰한다.
출혈과 혈전증상 관찰 : 피부, 위장관, 비뇨기, 뇌, 폐 등의 출혈증상을 세심히 관찰하고, 신장, 뇌, 폐 등의 혈전증상을 관찰한다. 흉관, 비위관, 유치도뇨관 등의 튜브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배액의 색깔과 양을 주의해서 관찰한다. 출혈 시의 간호와 예방, 대상자 교육은 다른 출혈성질환과 동일하다.
심리적 간호 : DIC는 악성종양, 심맥관계 질환, 패혈증, 임신과 같은 상태에서 동시에 나타나므로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다. 대상자와 가족이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과 심리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다.
① 종말기관 허혈을 예방하기 위하여 정맥으로 수액과 혈관수축 촉진제(Positive Inotropic Agents)을 투여한다.
② 출혈이 주 증상으로 나타나면 혈소판이나 응고인자제제인 신선냉동혈장(Fresh Frozen Plasma, FFP)을 보충하여 주는데, 혈소판 투여 시 항혈소판 항체가 생겨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투여한다. PT가 증가되어 있다면 신선냉동혈장을 투여하며, 피브리노겐 정도가 100mg/dL인 경우에는 동결침전제제(Cryoprecipitate)를 수혈한다.
③ 혈액응고가 주 증상으로 나타나면 LMWH(Low Molecular Weight Heparin), Antithrombin III, Protein C를 투여를 할 수 있다. 최근에 수술한 경험이 있거나 위 장관 및 신경계에 출혈이 있었던 환자에게 헤파린을 투여하면 출혈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투여해서는 안 된다. 또한 Protein C는 뇌출혈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고, 혈소판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여 시 주의를 요한다.
④ 출혈조절, 응고인자의 정상 수준 유지.
⑤ 종말기관의 조직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산소를 충분하게 투여한다.
⑥ 활력징후, 섭취 및 배설, 혈액검사 등을 통한 약물투여 조절에 대해서도 의사와 상의한다.
⑦ 기관이나 구강을 통하여 흡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낮은 압력을 이용하여 흡인을 하는 것이 좋다.
⑧ 피부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부가 건조하지 않게 하거나 공기 매트리스를 이용한다.
⑨ 환자의 자세를 변경할 때에는 혈관이 쉽게 터지고 멍이 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자를 부드럽게 이동시킨다.
⑩ 환자는 불안하고 스트레스가 높은 상태이므로 환자가 물어보는 것에 대해 충분히 대답해 주고, 안심시켜 준다.
4) 기대효과
DIC의 치료는 무엇보다도 원인질환의 교정이 중요하다. 원인질환의 치료가 없이 DIC만 치료하는 경우 대개는 실패하게 된다. DIC 환자에서 광범위한 출혈경향을 보이는 환자와 혈전에 의한 다발성 장기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의 치료는 다르다. 또한 과소모된 혈소판, 혈액응고인자들의 보충과 이들의 소모를 억제하는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여러 원인질환과 간호중재들이 많고 실제로 병원에서 간호사들이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중재방법이다. 왜 대상자가 범발성 혈액내 응고증에 걸렸는지 원인 등을 알면 그에 맞는 중재를 계획하고 예방법을 교육하여 좋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은 패혈증, 외상, 중증 간질환, 산과적 질환, 악성종양 같은 질환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지혈 혈전계의 합병증이다.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DIC는 생명을 위협하므로 응급 상황으로 간주된다. 이번 과제를 통하여 성인과 아동간호학에서 학습했던 DIC의 원인질환 및 치료에 대해 다시한번 알아보는 계기가 되었고, 이 질환이 다장기부전으로 이행을 방지하기 위해 예방과 치료가 중요하다는 걸 느꼈다. 또한 증상이 진행되면 위기적 상황에 놓일 수 있으므로 대상자와 가족이 정신적으로 불안한 상태가 되므로 심리적인 간호도 같이 중재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몸의 균형과 조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몸이 보내는 신호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DIC 환자의 안전한 간호를 위하여 급성기, 질병기, 회복기관리에 대한 근거기반 간호중재수행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이를 위한 체계적인 학습 및 실무 훈련이 더욱더 필요하다고 느끼게 되었다.
Ⅳ. 참고문헌
- 교재 : 최명애 외, 『기초간호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121~129쪽
- 기타
①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2013, 107~109쪽
② 홍경자 외, 『영아와 아동을 위한 아동간호학』, 수문사, 2013, 1587쪽
③ 퍼시픽북스, 『성인간호학』, 퍼시픽북스, 2012, 357~358쪽
④ 김양호 외, 『병리학』, 현문사, 2016, 263, 289쪽
⑤ 퍼시픽북스, 『아동간호학』, 퍼시픽북스, 2012, 206~207쪽
키워드
추천자료
기초간호과학 공통 2020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인 아데노 바이러스의 정의, 증상, 예방법, ...
기초간호과학 2020 공통 1.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인 아데노 바이러스 정의, 증상, 예방법 ...
기초간호과학 공통 2020 1.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인 아데노 바이러스의 정의, 증상, 예방법...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인 아데노 바이러스 기초간호과학 아데노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를 ...
기초간호과학 2020)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인 아데노 바이러스,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후군(DI...
기초간호과학 2020년)아데노 바이러스,범발성 혈관내 응고증후군(DIC) 환자를 위한 간호 사정...
기초간호과학 공통 2020년-아데노 바이러스, 간호 사정, 진단, 중재, 기대효과, 기초간호과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