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제목
실험 목적
실험기구 및 시약
실험방법
이론
예상결과
참고문헌
실험 목적
실험기구 및 시약
실험방법
이론
예상결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여, en.wikipedia.org 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NaCl (Sodium chloride), KCl (Potassium chloride), KI (Potassium iodide) 모두 암염구조이며
-Lattice constant (A) : NaCl: 5.64(A) , KCI: 6.29(A) , KI: 7.07(A) 이다.
예상결과
결정은 규칙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같은 종류의 원자로 이루어진 평면들이 반복된 것이다. 이 면들이 X-선에 대하여 반사 면으로 작용하여 X-선이 이 면에 의해 반사될 때 회절무늬가 나타나고 이것들은 일련의 점들로 기록된다. 즉, X-선에 의해 회절된 빛의 세기와 그 각도 분포를 분석하면 결정 내 단위세포의 모든 원자에 대한 위치를 알아내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미지시약의 정성적,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다. lattice constant,를 참고하였을 때 bragg’s law에서 d 거리가 NaCl < KCl < KI 순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무기화학 실험, 노동윤, 자유아카데미, 2014, 80-83p
재료과학, William D. Calliste, Jr, Wiley, 2012, 93-94p
NaCl (Sodium chloride), KCl (Potassium chloride), KI (Potassium iodide) 모두 암염구조이며
-Lattice constant (A) : NaCl: 5.64(A) , KCI: 6.29(A) , KI: 7.07(A) 이다.
예상결과
결정은 규칙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같은 종류의 원자로 이루어진 평면들이 반복된 것이다. 이 면들이 X-선에 대하여 반사 면으로 작용하여 X-선이 이 면에 의해 반사될 때 회절무늬가 나타나고 이것들은 일련의 점들로 기록된다. 즉, X-선에 의해 회절된 빛의 세기와 그 각도 분포를 분석하면 결정 내 단위세포의 모든 원자에 대한 위치를 알아내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미지시약의 정성적,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다. lattice constant,를 참고하였을 때 bragg’s law에서 d 거리가 NaCl < KCl < KI 순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무기화학 실험, 노동윤, 자유아카데미, 2014, 80-83p
재료과학, William D. Calliste, Jr, Wiley, 2012, 93-94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