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양한 수상 위급상황과 대처 방안
2. 수상 위급 상황 대처를 위한 생존 수영
**자료 출처
2. 수상 위급 상황 대처를 위한 생존 수영
**자료 출처
본문내용
한의 체력으로 최대한 오래 머무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2) 생존 수영 방법
① 물에서 적응하기
수중 활동과 호흡법 교육을 통해 두려움을 없애기 위한 단계이다. 물가에서 발장구치기, 바닥을 차서 수면 위로 올라오는 보빙 동작 등을 반복 시행할 수 있는 활동을 통해서 물에 친숙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물에서 시행하는 기본적인 호흡법인 음파 호흡법을 배워 규칙적인 호흡을 유지한다. 음파 호흡법은 물속에서는 ‘음’ 소리를 내며 코로 숨을 내쉬고, 물 밖에서는 입으로 ‘파’ 소리를 내며 나머지 숨을 뱉은 후 다시 숨을 들이마시는 것이다.
② 물에서 뜨기
최소한의 체력으로 물에서 떠 있기와 이동하기를 배우는 단계이다. 다양한 자세에서 물에서 뜨는 방법을 배우며, 몸에 힘을 주지 않은 채로 폐에 공기를 채워 사람이 가진 기본적인 부력으로 물 위에 뜰 수 있다. 용어 그대로 누워서 뜨는 누워 뜨기와 엎드린 상태에서 뜨는 엎드려 뜨기가 있으며, 두 동작 모두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다. 고개와 무릎을 구부린 새우등 뜨기, 엎드려 팔다리를 늘어뜨린 해파리 뜨기 등의 응용 동작이 있다. 또한, 양팔로 노를 젓는 듯한 동작을 반복하여 몸을 띄우는 스컬링등이 있다. 물에서 이동 시에는 뜬 자세에서 팔을 젓거나 다리를 위아래로 차면서 천천히 이동한다.
③ 인명구조 하기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하는 방법을 배우는 단계이다. 익수자는 생존을 위해 보통 사람의 몇 배의 힘을 발휘하므로 구조자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속으로 들어가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이다. 따라서 주변에 있는 구조 장비를 활용하며, 구조 장비가 없을 때는 밀폐 용기, 물을 조금 채운 플라스틱병 등의 부력이 있는 도구에 끈을 연결하여 익수자 뒤쪽으로 던져준다.
(3) 생존 수영의 적용
생존 수영을 실제 응급 상황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연습이 필요하다. 수영복이 아닌 평상복 차림에서 물에서 뜨기를 실습해 보고, 조류가 있는 상태에서 음파 호흡법을 하는 등의 연습을 통하여 계곡, 호수, 바다와 같은 다양한 수중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자료 출처
- 여름철 물놀이 활동 시 행동요령 (행정안전부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
- 수상 활동 안전수칙 (행정안전부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
- 해파리에 쏘였을 때 대처요령 (행정안전부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
- 익수 사고 예방 및 대처법 (국민건강지식센터 건강칼럼)
- 생존 수영 (두산백과)
(2) 생존 수영 방법
① 물에서 적응하기
수중 활동과 호흡법 교육을 통해 두려움을 없애기 위한 단계이다. 물가에서 발장구치기, 바닥을 차서 수면 위로 올라오는 보빙 동작 등을 반복 시행할 수 있는 활동을 통해서 물에 친숙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물에서 시행하는 기본적인 호흡법인 음파 호흡법을 배워 규칙적인 호흡을 유지한다. 음파 호흡법은 물속에서는 ‘음’ 소리를 내며 코로 숨을 내쉬고, 물 밖에서는 입으로 ‘파’ 소리를 내며 나머지 숨을 뱉은 후 다시 숨을 들이마시는 것이다.
② 물에서 뜨기
최소한의 체력으로 물에서 떠 있기와 이동하기를 배우는 단계이다. 다양한 자세에서 물에서 뜨는 방법을 배우며, 몸에 힘을 주지 않은 채로 폐에 공기를 채워 사람이 가진 기본적인 부력으로 물 위에 뜰 수 있다. 용어 그대로 누워서 뜨는 누워 뜨기와 엎드린 상태에서 뜨는 엎드려 뜨기가 있으며, 두 동작 모두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다. 고개와 무릎을 구부린 새우등 뜨기, 엎드려 팔다리를 늘어뜨린 해파리 뜨기 등의 응용 동작이 있다. 또한, 양팔로 노를 젓는 듯한 동작을 반복하여 몸을 띄우는 스컬링등이 있다. 물에서 이동 시에는 뜬 자세에서 팔을 젓거나 다리를 위아래로 차면서 천천히 이동한다.
③ 인명구조 하기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하는 방법을 배우는 단계이다. 익수자는 생존을 위해 보통 사람의 몇 배의 힘을 발휘하므로 구조자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속으로 들어가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이다. 따라서 주변에 있는 구조 장비를 활용하며, 구조 장비가 없을 때는 밀폐 용기, 물을 조금 채운 플라스틱병 등의 부력이 있는 도구에 끈을 연결하여 익수자 뒤쪽으로 던져준다.
(3) 생존 수영의 적용
생존 수영을 실제 응급 상황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연습이 필요하다. 수영복이 아닌 평상복 차림에서 물에서 뜨기를 실습해 보고, 조류가 있는 상태에서 음파 호흡법을 하는 등의 연습을 통하여 계곡, 호수, 바다와 같은 다양한 수중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자료 출처
- 여름철 물놀이 활동 시 행동요령 (행정안전부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
- 수상 활동 안전수칙 (행정안전부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
- 해파리에 쏘였을 때 대처요령 (행정안전부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
- 익수 사고 예방 및 대처법 (국민건강지식센터 건강칼럼)
- 생존 수영 (두산백과)
추천자료
시각. 청각. 언어장애 운동프로그램
유아체육에 대하여
체육과(체육교육)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과 구성체제,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의 교수학...
체육과(교육) 게임활동수업(게임활동학습)의 정의와 특성, 체육과(교육) 게임활동수업(게임활...
체육과교육(수업) ICT활용학습, 체육과교육(수업) 이해중심게임학습, 체육과교육(수업) 탐구...
[수영, 수영 개념, 수영 용어, 수영 역사, 수영 특성, 장소, 준비운동, 안전점검사항]수영의 ...
[아동안전관리] 영유아를 위한 '안전한 생활'을 하기 위한 필요한 요건에 대해 모두 기술하시...
[응급간호학] 2020년, 1.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구성, 문제점 및 개선방안 2. 가슴압박소생술...
[A+]체육교육_생존수영 (정의, 방법, 기술, 생존수영교육, 수상안전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