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모더니즘 미술
1) 모더니즘
2) 모더니즘 형식주의
3) 모더니즘 미술교육


2. 포스트모더니즘 미술
1) 포스트모더니즘
2) 포스트모더니즘 구성주의
3)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교육


3.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1)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2) 모더니즘 미술교육과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교육 차이

본문내용

학제 간의 학습과 같은 교육 이론은 다원주의를 배경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포스트모던 교육의 한 전형이며 이 학제 간의 학습이 바로 포스트모던 미술교육의 방법이기도 하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 사상이 바로 다원주의이며 다원주의란 여러 가지 문화적 양상이 함께 공존한다는 것이다.
1999년 미국의 국립미술교육협회는 미술교육의 목적이 “미술을 통해 지구촌을 이해하는 것”이라는 포스트 모던 교육의 입장을 공식 표명하였다. 즉 미술 실기나 미술 작품의 감상을 통해 우리는 우리 문화의 특징은 무엇이며 다른 나라 사람들은 어떻게 사고하고 있는지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바로 미술교육의 목적인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교육은 미술과 일상생활과의 관계를 중시하며 생활 중심의 이슈를 이해하려는 데에 초점이 주어진다. 따라서 미술의 목표는 일상적인 문제들을 풀기 위한 능력을 계발시키기 위한 것이어야 하며 미술에 대한 진보적이고 개방적인 태도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3. 모더니즘 미술교육과 포스트모더니즘
1)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생산
사회
소재인식
문화
모던
산업혁명시기
공장 대량생산 중심화
자본주의자
부르주아의
소유계급과
노동자
국가주의자
사업의 합리화
대중문화
포스트모던
정보혁명
사무실
부분 생산
탈중심화
지구촌화
불특정 계급
사무실 노동자
세계화/지역화
다국가적
다원주의자
절충적
포괄적
취향문화
2) 모더니즘 미술교육과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교육의 차이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미술
교육과정의 내용

교육목표
개인의 생각, 감정, 정서,
경험과 상상 심상 표현
학생들의 창의력, 인성 개발,
개성의 함양
개인과 사회, 지구촌에
대한 이해
미술을 통한 자국과 다른 나라 삶의 이해
관련 중심사상
휴머니즘
표현주의
다원주의
미술 작품의
감상 측면
형식주의적 접근
문화주의적 접근
구성주의적 접근
다른 학문과의 관계면
미술학 중심 교육 (Discipline Based Art Edu)으로 미술은 미술만의 독특한 학문적 구조가 있음
학제 간의 학습
(interdisciplinary studies)
이루어짐
* 참고문헌
- 교육부(2007).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미술」3-6학년
- 박정애 역(1996). 「미술교육의 역사」. 도서출판 예경.
- 두산백과
-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 2. 25., 권영민)
- 미술대사전(용어편) (1998.,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 가격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4.05
  • 저작시기202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75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