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수염 간호과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골수염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p.1
1. 골수염 문헌고찰


Ⅱ. 본론 ---------------------------------------- p.4
1. 사례
2. 간호과정


Ⅲ. 결론 ---------------------------------------- p.9


Ⅳ. 참고문헌 및 출처 ----------------------------- p.9

본문내용

약물과 통증 완화법을 적용할 수 있다.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의 기본적인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며 통증에 대한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알아볼 수 있다.
통증의 악화요인을 제거하여 대상자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naproxen은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로 염증과 통증을 감소시킨다.
관절부위를 지지할 경우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시켜 통증을 경감시켜준다.
부드러운 침요를 사용할 경우 움직일 때마다 지지를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약해진 뼈가 무리해서 체중부하가 이루어질 경우 골절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통증의 원인에 대해 설명할 경우 앞으로의 간호에 협조를 구할 수 있고 치료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대상자에게 신속한 의료행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신체에 집중하면 통증이 심해질 수 있고 비침습적, 비약물적 요법을 사용하면 대상자에 신체적 손상을 가하지 않고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호수행
통증사정도구(NRS)로 통증을 사정하였다.
대상자의 통증의 정도와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통증을 말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통증부위
통증양상
통증빈도
발목
징징 울리듯이, 찌릿
간헐적
대상자의 V/S을 측정하였다.
BP(mmHg)
BT (℃)
P ( /min)
R ( /min)
08 : 00
130/80
38
80
20
12 : 00
120/80
37.4
70
20
16 : 00
130/80
37
88
20
20 : 00
120/80
36.9
76
20
통증의 악화요인을 사정하였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요법(naproxen)을 투여하였다.
환측 관절부위를 적절히 지지하였다.
단단한 침요를 사용하도록 교육하였다.
골절 예방을 위해 체중부하를 피하도록 교육하였다.
통증의 원인에 대해 교육하였다.
감염이 진행되면 피질과 골수 부위에 충혈과 부종으로 인해 골수 내 압력이 증가하여 발생한다.
통증이 심할 시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 통증이 심할 경우 침상 위에 있는 call bell을 눌러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신체에 집중하면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침상에서 할 수 있는 TV 시청, 라이도 청취 등의 활동을 격려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2일 이내에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비약물적 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6일 이내에 NRS 점수가 3점 이내로 감소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10일 이내에 통증이 감소하여 편안하다고 말하였다.(달성)
③ 보행장애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사정
주관적
none
객관적
혼자 걷지 못하며 보호자의 도움으로 걷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
목표
장기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단기
대상자의 보호자는 2일 이내에 낙상 예방법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할 것이다.
간호계획
① 낙상사정도구(morse fall scale)를 이용하여 낙상위험도를 사정한다.
② 대상자의 의식수준을 사정한다.
③ 환자의 침대바퀴와 침상을 고정한다.
④ 주변에 장애물이 되는 것을 제거한다.
⑤ Side rail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⑥ 보행 시 보호자가 곁에 있도록 교육한다.
⑦ 환자와 보호자에게 도움이 필요할 시 응급벨을 누르도록 교육한다.
⑧ 보호자가 자리를 비울 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① 낙상사정도구(morse fall scale)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낙상위험도를 사정하고 그에 맞도록 간호를 계획하고 중재할 수 있다.
② 의식수준이 명료할 경우 낙상위험성이 줄어든다.
③ 환자의 침대바퀴가 고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발을 헛디딜 거나 미끄러져 낙상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④ 이동 중 장애물에 걸려 넘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제거해야 한다.
⑤ Side rail을 올릴 경우 침상에서 떨어지는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⑥ 보호자와 함께 보행을 할 경우 보조자가 있기 때문에 보행이 수월해 지며 낙상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⑦ 환자와 보호자가 무리하게 행동할 경우 낙상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⑧ 대상자는 낙상고위험군이기 때문에 간호사에게 알려 다른 보호자가 상주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간호수행
① 낙상사정도구(morse fall scale)를 이용하여 낙상위험도를 사정하였다.
- morse fall scale 사정 시 60으로 측정됨.
② 대상자의 의식수준을 사정하였다.
③ 환자의 침대바퀴와 침상을 고정하였다.
④ 주변에 장애물이 되는 것을 제거하였다.
⑤ Side rail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⑥ 보행 시 보호자가 곁에 있도록 교육하였다.
⑦ 환자와 보호자에게 도움이 필요할 시 응급벨을 누르도록 교육하였다.
⑧ 보호자가 자리를 비울 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달성)
대상자의 보호자는 2일 이내에 낙상 예방법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하였다. (달성)
Ⅲ. 결론
골수염은 단순히 몸 안의 염증이라고 생각했지만 심각한 질병이었다. 골수염에 대한 문헌고찰을 할 때 인터넷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골수염을 겪고 있었다. 또한, 골수염은 급성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지만 만성적으로 지속되어 재발하는 경우도 많았었다. 골수염의 치료 중 항생제 염주방법이라고 있는데 이 방법은 신기하기도 하고 별로 사용 하지 않을 것 같았지만 최근에는 정말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 중 하나였다. 아이, 청년 등 대부분 나이와 관계없이 발생하는데 아동의 경우 부모가 골수염으로 인해 많은 불안을 안고 있었다. 그렇기에 이번 질병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을 통해서 대상자와 부모에게 안심시켜 주고 질병의 치유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겠다.
Ⅳ. 참고문헌 및 출처
성인간호학 하권, 황옥남, 유양숙 외 공저, 현문사, 2018.01.05., p.333~337
네이버, 골수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2849&cid=40942&categoryId=32774
세브란스병원, 질환정보
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infectious_diseases/disease/view.asp?con_no=20037
  • 가격1,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1.04.05
  • 저작시기202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75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