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독성 간이식환자 케이스 CASE (사례연구 보고서) - 주진단명 : Toxic liver disease, unspecified | 수술명 : Liver us (LTC), Tracheostom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독성 간이식환자 케이스 CASE (사례연구 보고서) - 주진단명 : Toxic liver disease, unspecified | 수술명 : Liver us (LTC), Tracheostomy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사례연구 보고서 >


▶ 대상자 데이터베이스
1. 환자상태
2. 질병에 대한 연구자료
3. 진단검사 및 임상검사
4. 약물
5. 치료

▶ 간호과정 보고서
1. 간호진단 List
2. 간호과정 보고서
3. 참고문헌

본문내용

피부감염, 호중구 감소증의 발열 및 감염, 세균성 패혈증.
Vancomycin
8/12 ~ 계속
0.7g 3회/d iv Q8HR 50ml/hr
- 심내막염, 골수염, 관절염, 복막염, 수막염, 화상ㆍ수술창 등의 표재성 2차감염증.
- 폐렴, 패혈증, 폐농양, 농흉. 2차감염증
Prograf
8/22 ~ 계속
2mg 1회/d iv once 10ml/hr
- 신장, 간장 이식시 거부반응 억제.
- HTN, peripheral edema, pain, fever, hyper/hypokalemia, N/V, anemia, tremors
Foy
8/18 ~ 계속
5via 2회/d iv Q12HR 10ml/hr
- 급성 췌장염, 만성재발성 췌장염의 급성악화기, 수술 후 급성췌장염.
- 쇽, 호흡곤란, 혈압강하, 소양, 안면홍조, 과립구 감소, 정맥염
Albumin
8/12 ~ 계속
20% 100ml 1BOT 4회/d iv Q6HR 100ml/hr
- 알부민의 상실 및 알부민 합성저하(간경변증)에 의한 저알부민혈증, 출혈성 쇽
-CHF, hypotension, tachycardia, hypervolemia, fever, nausea vomiting, pulmonary edema
Eglandin
8/12 ~ 계속
5Amp 1회/d iv once 10ml/hr
- 순환계용약. 말초순환, 신경, 운동기능장해의 회복
- 과민증, 쇽, 작열감, 통증, 혈압강하
Fentanyl
8/12 ~ 계속
1Amp 1회/d iv once 2ml/hr
- 마약성 진통제
- hypotension, CNS depression, nausea, vomiting, constipation, respiratory depression
Humulin-R
8/12 ~ 계속
100uni 1회/d 2ml/hr
- 당뇨병용제, 인슐린 요법이 요구되는 당뇨병.
- Hypoglycemia, palpitation, hypothermia, urticaria
Precedex
8/12 ~ 계속
2via 1회/d iv once 6ml/hr
- 최면진정제. 수술 시술 시 비삽관 환자의 의식 진정
- 저혈압, 서맥, 구강건조
4. 약물
< 외용 >
Mucomyst sol.
8/12 ~ 계속
4ml 4회/d 의사지시
- 진해거담제
- 구내염, 오심, 구토, 자극감, 기관지 경련
< 식이 >
Nutriflex48
8/26 ~ 계속
1000ml (central) 1bag 1회/d once 40ml/hr
- TPN Solution
- Acidosis, 발진, 구역, 구토, 흉부불쾌감, 심계항진, 빈맥
5. 치료
치 료
처방 이유
치료효과 결정위해 간호사가 감시/사정해야 할 사항
TPR check, Q1hr x 1회
활력징후를 사정
- BP check, I/O check, Urine Hourly check
- Gomosuction via L-Tube
EKG monitoring x 1회
심잠의 전기적 활동을 계속적으로 감시하기 위함
- Pulse oxymetry
Ventilator apply x 1회
의식이 없거나 호흡이 힘든 환자의 원활한 호흡을 위함
- 상체거상 30° (기계호흡 환자)
- Blood sugar check x 4회
- Physical restraint apply x 1회
- Position change with massage x 12회
- endo tracheal sution x 3회
▶ 간호과정 보고서
1. 간호진단 List
① 외과적 절개와 관련된 통증
②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③ 수술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④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⑤ 약물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2. 간호과정 보고서
환자 특성
간호진단
기대되는 결과(목표)
간호활동/중재
간호중재의 합리적 근거
평가 및 계획수정
<주관적 자료>
“아파요”
<객관적 자료>
얼굴 찡그림
NRS 척도 : 6점
LTC, Tracheostomy
외과적 절개와 관련된 통증
<장기목표>
일주일 내에 통증의 경감을 표현한다.
<단기목표>
진통제 투여 후 4시간 이내에 NRS척도 4점을 유지할 것이다.
의식진정
- 통증을 표현하도록 교육
- 통증이 심해지기 전 투약을 요구하도록 교육
- 통증완화 위한 다양한 방법 격려
진통제투여
- 규칙적으로 진통제 투여
부작용 및 효과 관찰
- NPIS 척도 측정
- 통증은 개인차가 크고 대상자 자신이 가장 잘 알고 있음
- 통증이 오래 지속되면 완화법의 효과를 보기 어려움
- 투약 후에도 통증의 중증도가 계속되는 일이 흔하고, 약물의 종류에 따라 부작용 발생 위험이 있기 때문에 관찰이 필요
- 양상과 정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사정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목표 부분적 달성>
- 진통제 투여 후
NRS척도 5점.
<간호계획 유지>
- 매일 통증양상과
NRS척도 점수 확인.
<객관적 자료>
coccyx 욕창 2단계
0.7-1.0cm
육아조직 (red)
장액성 삼출액 약간
잠식 누공없음
주위피부 부종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장기목표>
2주 이내에 피부통합성을 다시 획득한다.
<단기목표>
5일 이내에 욕창의 크기가 감소할 것이다.
- 욕창위험도 사정
- 항문주위 피부상태 관찰
- 압력과 마찰의 원인 확인
- 적절한 체위 유지하고 2시간마다 체위변경 시행
- 치료용 매트리스 적용하고 환의, 침구류가 건조하고 주름 없도록 유지
- 피부손상 위험 부위에 보호제 적용
- 정확한 상태와 원인 파악을 위해 피부손상의 크기, 깊이, 발적, 감염의 징후 및 위치를 파악해야 함
- 부종은 압력, 마찰, 응전에 약함
- 체위 변경을 통해 피부 조직층에 혈액을 공급
- 보호제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칸막이를 제공하며 피부가 촉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
<목표의 부분적 달성>
- 욕창크기 0.5-0.7cm
<간호계획 유지>
- 욕창있는 상태로 지속적 관찰 요함
3. 참고문헌
① 이향련외 (2007). 성인간호학(여섯째판). 서울 : 수문사
② 임난영외 (2002). 기본간호중재와 수기. 서울 : 수문사
③ 최순희외 (2003).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분류. 서울 : 정문각
④ 최순희외 (2004). 표준화된 간호진단 결과 중재의 연계. 서울 : 현문사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5.14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76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