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박카스 소개
2. 박카스 마케팅전략의 역사
3. 박카스 광고 및 마케팅전략 사례
(1) 광고전략 사례
(2) 마케팅전략 사례
4. 박카스 미래전략 제언
2. 박카스 마케팅전략의 역사
3. 박카스 광고 및 마케팅전략 사례
(1) 광고전략 사례
(2) 마케팅전략 사례
4. 박카스 미래전략 제언
본문내용
원 친·인척 등에게 과감한 샘플링을 통한 공세 전략 구사하는 직접마케팅법과 후발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과감한 도매처 확충 전략을 구사하며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힘썼다. 또한 기업내적 마케팅으로 공채를 통한 영업망을 강화하고 회사의 주력상품화로 PUSH 전략을 내세웠다.
1963년 박카스D는 대량 판매 및 촉진의 Total 마케팅을 시도 했는데, 청량 강장영양제의 포지션을 지니고서 “활력을 마시자”를 주요 소구 포인트로 설정하여 신문, 잡지, 옥외 등 전파매체를 중심으로 강력한 전략을 전개하였다. 당시 자금난에도 불구하고 동아 제약의 운명을 건 대중광고의 실시로, 광고의 위력으로 전성기를 맞이하는 초석이 되었다.
하지만 1976년 정부가 모든 약품 드링크제의 광고 규제 실시로 매스 미디어 광고를 중단해야 하면서 박카스는 업계 최초로 독립 대리점(DSC-Dong-A Sales Circle)를 운용하였다.
그 후 1993년, 문민정부의 출범으로 자양강장제 광고 규제가 풀리게 되면서 한국인의 정서를 파고들어 철저한 대중·서민 드링크로 포지셔닝하면서 변화된 광고 전략으로 브랜드 재활성화를 시도하게 되었다.
4. 박카스 미래전략 제언
오랜 인기 장수제품이다 보니 박카스는 변화에 수동적이고 시대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또한 가격과 제품(디자인, 성분, 외관 등), 광고 등을 변경하는 데에 제약이 크다. 그러나 위의 글에서도 분석해 놓았듯이 현재 비타500의 세력을 무시할 수 없는 시기에 놓였으니 만큼 조금 더 적극적인 마케팅정책이 필요하다.
현재 TV광고는 내가 봤을 때 대체적으로 만족할 만하다. 일단 지금까지의 공익성이 돋보이던 광고를 벗어나서 새로운 시도를 해 보았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에게 어느 정도 신선한 인식을 불러 일으켰다. 젊은 층과 중년 층을 동시에 공략하여 장수상품으로서의 박카스의 이미지를 굳히는 데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박카스의 주 성분인 타우린을 부각시키기 위해 지금 조기 기획 중에 있는 타우린 맨을 여러분야에 활성화하는 방안을 들 수 있다. 만화, 광고, SNS 등에서 타우린맨을 등장시킴으로써 박카스의 주성분을 소비자들에게 인식시켜 구매욕구를 불러들일 수 있다. 박카스를 단순히 피로회복제로만 인식하는 것에서 벗어나 타우린을 섭취하게 되면 여러 효능(지방 간, 숙취해소, 시력회복)이 있다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의약품’으로서의 박카스의 매출신장이 기대된다.
박카스의 대학생 국토대장정은 정말 획기적인 기획안이었다. 이로 인해서 얻어진 박카스의 매출신장은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대학생의 젊은과 도전이라는 이미지가 박카스에 투영됨으로써 젊은 층의 박카스에 대한 입지를 굳힐 수 있었다. 그러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박카스는 현재 고교생 환경캠프라는 또 다른 프로그램을 시행중에 있다. 이러한 공익적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경쟁 상품이 시도하는 여러 일시적인 이벤트 마케팅(한병 더 이벤트, 아이돌 스타를 기용한 TV광고 등)이 따라올 수 없강력한 상표 자산(Brand Equity)의 가치를 획득할 수 있다.
1963년 박카스D는 대량 판매 및 촉진의 Total 마케팅을 시도 했는데, 청량 강장영양제의 포지션을 지니고서 “활력을 마시자”를 주요 소구 포인트로 설정하여 신문, 잡지, 옥외 등 전파매체를 중심으로 강력한 전략을 전개하였다. 당시 자금난에도 불구하고 동아 제약의 운명을 건 대중광고의 실시로, 광고의 위력으로 전성기를 맞이하는 초석이 되었다.
하지만 1976년 정부가 모든 약품 드링크제의 광고 규제 실시로 매스 미디어 광고를 중단해야 하면서 박카스는 업계 최초로 독립 대리점(DSC-Dong-A Sales Circle)를 운용하였다.
그 후 1993년, 문민정부의 출범으로 자양강장제 광고 규제가 풀리게 되면서 한국인의 정서를 파고들어 철저한 대중·서민 드링크로 포지셔닝하면서 변화된 광고 전략으로 브랜드 재활성화를 시도하게 되었다.
4. 박카스 미래전략 제언
오랜 인기 장수제품이다 보니 박카스는 변화에 수동적이고 시대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또한 가격과 제품(디자인, 성분, 외관 등), 광고 등을 변경하는 데에 제약이 크다. 그러나 위의 글에서도 분석해 놓았듯이 현재 비타500의 세력을 무시할 수 없는 시기에 놓였으니 만큼 조금 더 적극적인 마케팅정책이 필요하다.
현재 TV광고는 내가 봤을 때 대체적으로 만족할 만하다. 일단 지금까지의 공익성이 돋보이던 광고를 벗어나서 새로운 시도를 해 보았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에게 어느 정도 신선한 인식을 불러 일으켰다. 젊은 층과 중년 층을 동시에 공략하여 장수상품으로서의 박카스의 이미지를 굳히는 데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박카스의 주 성분인 타우린을 부각시키기 위해 지금 조기 기획 중에 있는 타우린 맨을 여러분야에 활성화하는 방안을 들 수 있다. 만화, 광고, SNS 등에서 타우린맨을 등장시킴으로써 박카스의 주성분을 소비자들에게 인식시켜 구매욕구를 불러들일 수 있다. 박카스를 단순히 피로회복제로만 인식하는 것에서 벗어나 타우린을 섭취하게 되면 여러 효능(지방 간, 숙취해소, 시력회복)이 있다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의약품’으로서의 박카스의 매출신장이 기대된다.
박카스의 대학생 국토대장정은 정말 획기적인 기획안이었다. 이로 인해서 얻어진 박카스의 매출신장은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대학생의 젊은과 도전이라는 이미지가 박카스에 투영됨으로써 젊은 층의 박카스에 대한 입지를 굳힐 수 있었다. 그러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박카스는 현재 고교생 환경캠프라는 또 다른 프로그램을 시행중에 있다. 이러한 공익적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경쟁 상품이 시도하는 여러 일시적인 이벤트 마케팅(한병 더 이벤트, 아이돌 스타를 기용한 TV광고 등)이 따라올 수 없강력한 상표 자산(Brand Equity)의 가치를 획득할 수 있다.
추천자료
박카스의 마케팅 및 광고 전략 분석(A+레포트)
핫식스 Hot6ix 마케팅전략분석과 핫식스 마케팅 전략제안 - SWOT 분석, STP전략, 프로모션 전...
(레드불 마케팅사례) 레드불 제품분석과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레드불 미래방향제언
[박카스 마케팅,광고성고사례] 박카스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박카스 광고분석및 성공...
[박카스 광고,마케팅사례 PPT] 박카스 마케팅,광고전략분석및 박카스 광고전략 제언과 향후전...
[비타500 마케팅 PPT] 비타500 성공비결과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비타500 미래전략제언
박카스 광고분석및 박카스 제품 SWOT분석과 마케팅사례분석및 박카스 미래전략제언 PPT
감성마케팅 개념특징성공요소장단점분석과 감성마케팅 기업사례연구및 미래방향제언 -감성마...
박카스 마케팅 4P STP SWOT분석 및 박카스 미래전략수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