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 및 관리 레포트, 건축폐기물 법령 및 재활용사례, 과제레폿시공 및 관리 레포트, 건축폐기물 법령 및 재활용사례, 과제레폿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시공 및 관리 레포트, 건축폐기물 법령 및 재활용사례, 과제레폿시공 및 관리 레포트, 건축폐기물 법령 및 재활용사례, 과제레폿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건설 폐기물 관련 법령의 필요성

- 우리나라 건설 폐기물 관련 법령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법제처(2015년) :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 건설 폐기물 관련 적용 사례
서론(연구의목적)

본론(2.1 건축폐기물 정의 및 분류, 2.2 건축폐기물 중 폐목재의 현황 및 재활용 현황, 2.3 폐목재(목재순환자원)의 분류2.4 폐목재에서 나오는 발생원 종류)

결론

참고사항(문헌)

본문내용

리는 일본의 폐목재 재활용 시스템을 확인하고, 국내 시스템과의 비교를 통하여 국내 시스템과의 개선방안도 모색하는 것이 원하는 방향을 축출할 가능성도 있다.
그림 10. 일본과 한국의 재활용 시장 분석
일본과 한국은 폐목재 재활용 구조 자체가 나라마다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영향력도 일본과 한국의 재활용 측면에서 큰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겠다.
그래서 한 예를 들어서 일본의 동경보드 회사에서 건축 폐목재를 이용한 PB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동경보드는 ‘도쿄도 강동구 싱키바 니쵸메 12번 5호’에 위치하는 업체로 2004년을 기준으로 44억엔을 매출(특히, 주목 할 만한 점은 44억엔 안의 12억엔은 배출자로부터 폐목재 처리비로 받은 금액이다)로 끌어 들였다. 그리고 동경보드 회사는 중간처리(파쇄)방법과 PB생산을 처리 방법으로 구동해왔으며 파쇄처리는 100% 재활용 목재로 제조하는 작업인 것이다. 그래서 처리능력은 파쇄기 4기 352톤/일의 능력을 가지며 하루 엄청난 양의 작업을 통하여 활동하는 것을 알 수 있겠다. 이회사의 처리 공정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폐목재 저장에서부터 목재칩 제조하는 과정까지 7개의 처리로 구성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0.1. 동경보드의 PB제작 공정 과정
2.4.1.3 폐목재 재활용 현황 ③ 각양각국의 폐목재 디자인적 활용방안
현재 전 세계는 건축 폐목재 중 등급이 높은 잔재들을 가지고 디자인적 요소로 작용하는 예술작품 혹은 생활용품 등으로 탄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을 통하여 건축 폐목재의 수치를 감소시키거나 환경에 영향을 주기에는 적은 영향이겠지만 이러한 방법 또한 널릴 알린다면 더욱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의 가구 디자이너 피트헤인 이크를 만나기 전까지, 폐목재들은 재활용센터에서조차 많이 받아주지 않는 한낱 쓰레기 일뿐이었다. 그러나 한 디자인의 천재가 ‘저지른’ 발상의 전환 덕분에 버려진 나무는 예술이 되었다. 이야 말로 빈티지 정크 인테리어의 대작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대작들을 통해 디자이너의 명성뿐만 아니라 폐목재의 활용구성방안들도 계속해서 연구될 것이다.
그림 9. 폐목재 발생원 및 재활용 용도
그림 11-1. 인상적인 폐목재의 색
과 패턴의 캐비닛
그림 11-2. 어느 공간에 두어도
어색하지 않을 3단 서랍장
그림 11-3. 작은 서랍장과 문을
조합한 클래식 컵보드
2.4.1.4 폐목재 재활용 현황 ④ 폐목재를 통한 시민참여로 관심 유도하기
우리는 폐목재 재활용을 통하여 시민들의 조그만한 관심을 얻는 것도 중요한 현황이다. 이를 통하여 폐목재 활용방안들을 우리나라에 널리 알리며 지금보다 재활용 방안을 늘릴수 있거나 만들어질 수 있는 여부를 만들어 보는 것이다.
좌측의 사진은 ‘한평의 행복’이라는 작품으로 환경특별전에 작품으로 출시한 건축 폐자재를 통하여 한평 남짓 되는 공간을 직접 만들어서 전시한 곳이다. 이러한 전시회나 혹은 갤러리에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면서 작품을 만들기도 하며 관람하기도 하여 건축 폐자재의 활용성을 각인 시켜주는 것 또한 중요한 실정이다.
그림 12. 한평의 행복
2.4.1.5 폐목재 재활용 현황 ⑤ 폐목재를 통한 리모델링 사무실
대한민국의 대부분의 광역도시에는 사무공간들이 많이 위치한다. 그러나, 오래된 건물도 대게 존재하는게 현재 모습들이다. 그러한 공간을 리모델링하거나 그 건축물을 다시 해체하고 신축한다고 한다면 건축 폐자재 또한 많이 나올 것이다. 이러한 방면에서 건축 폐자재를 이용하여 사무실을 리모델링한 스튜디오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미국의 디자인 스튜디오인 abeo design사를 들 수 있겠습니다.
그림 13. abeo design사 내부모습
좌측의 그림과 같이 참신한 디자인의 오피스 가구로 탄생한 소재가 바로 건축 폐자재 중 폐목재가 되겠습니다. 미국의 자인 스튜디오인 abeo design사는 새롭게 사무실을 리모델링 하면서 동시에 매우 실험적인 시도
를 했습니다. 바로 사무실을 꾸미기 위한 가구들의 목재를 모두 버려진 폐목을 활용한 것입니다. 버려진 목재라고 해서 지저분하고 칙칙할 것이라는 편견을 깨주는 인테리어가 인상적입니다. 폐목이라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정돈되고 세련된 느낌을 줍니다. abeo design사는 주로 재해지역에서 버려진 폐가구들이나 주인이 없는 폐허의 헌집들에서 폐목재들을 수집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수집된 폐목의 때를 벗기고 깨끗하게 다듬고 코팅해서 새로운 목재와 같은 느낌으로 1차 공정을 거쳤고, 새로운 디자인을 통해 훌륭한 오피스 가구로 재탄생되었습니다.
3. 결 론
우리나라에서는 건축 폐기물로써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콘크리트, 폐벽돌, 폐블록, 폐기와 , 폐목재, 폐합성수지, 폐섬유, 폐벽지 등을 배출해 낸다. 하지만 이중에서도 폐목재의 경우는 1996년 이 후 계속해서 증가 추세에 이르고 있다. 한시기적으로 건설경기에 이르며 폐목재의 배출량은 적어졌지만 이로 인하여 재활용 방안도 같이 줄어들며 독일이나 일본과는 다르게 갈 길을 잃어버리고 말았다. 그래서 시민들에게도 관심이 줄며 환경문제나 사회적 문제에 비중이 있는데 반해서 그에 맞는 제도나 현실 방안들은 적은 실황이다. 그래서 이 보고서에서는 독일이나 일본의 적정 사례와 디자인적 활용 방안, 시민참여를 위한 폐목재 사용방안, 폐목재를 통한 리모델링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적용이 드믄 경우를 많이 참고하도록 하였다. 특히, 이 보고서에서 대부분의 표를 직접 그려가 보며 수치를 계산해 볼 때 마다 우리나라의 재생방안이 조금은 영향력이 약하다는 것이 느껴졌다. 그래서 우리는 다양한 적정사례를 바라보며 건축 폐목재를 통한 적절한 재활용 방안을 찾도록 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생각한다.
4. 참 고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법제처(2015년)
폐목재 물질재활용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환경공학과,
최장옥(2014년 2월)
건설현장 폐목재의 발생원인 분류를 통한 재활용 요인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정찬영, 김재준, 정영기(2007년)
  • 가격5,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1.04.09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78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