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환경 - 지속가능한 건축에 대해서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 환경 - 지속가능한 건축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지속가능한 건축(ESSD)의 배경

II. 본론

1. 자연형 시스템 (passive system)
2. 친환경 건축 자재
3. 지속가능한 건축의 대표적 인증과 그 기준들
4. 지속가능한 건축물을 위한 각 나라들의 방안
5. 그린빌딩
6. 지속가능건축 사례


III. 결론

본문내용

개념으로 ‘자연 건축(natural building)’이 있는데, 이는 소규모로 지역적으로 활용가능한 자연 자원의 사용에 중점을 두는 것을 말한다. 또한 지속 가능한 설계와 녹색 설계라는 용어도 사용한다.
그린 빌딩은 건축된 환경이 인간의 건강과 자연 환경에 전체적으로 주는 영향을 줄이도록 다음과 같이 설계된다.
에너지를 비롯한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주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종업원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폐기물과 공해, 환경적인 퇴보를 줄인다.
지속가능한 개발과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개념은 그린 빌딩에는 없어서는 안될 요소이다. 효율적인 그린 빌딩은 보다 적은 에너지와 물을 사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운용 비용을 절감하여야 하고, 실내의 공기의 질을 개선하여 공중과 주민의 건강을 개선하여야 하며, 환경에의 영향을 줄여야 한다. 이는 예를 들자면, 빗물의 유출과 열섬효과를 줄이는 것이다. 그린 빌딩을 실천하는 이들은, 지속가능한 건물의 외관과 풍채가 반드시 일반적인 건물들과 구별될 필요가 없음에도 종종 생태적일 뿐만 아니라 건물 구조와 주변의 자연 경관, 인공으로 조성된 환경과의 심미적인 조화를 이루기도 한다.
그린빌딩은 건축된 환경이 인간의 건강과 자연환경에 전체적으로 주는 영향을 줄이도록 에너지를 비롯한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주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종업원의 생산성을 향상, 폐기물과 공해, 환경적인 퇴보를 줄 일수 있도록 설계된다.
건물의 냉난방, 조명 등 건물의 유지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에너지 사용은 변환과정에서 환경오염 물질의 발생이 동반되므로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를 줄이는 기술은 그린빌딩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기술요소이다. 아울러 에너지소비를 줄이기 위한 설비의 효율향상이 필수적이다. 또한 건물로부터 유발되는 각종 오염원의 발생을 줄이고 발생된 오염원에 대해 주위환경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환경공해 저감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건물로부터 나오는 폐자원을 재사용하거나 재생이 불가능한 자원의 경우에도 환경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처리하는 기술 등이 중요한 기술로 되어있다.
효율적인 그린빌딩은 보다 적은 에너지와 물을 사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운용비용을 절감하여야 하고, 실내의 공기의 질을 개선하여 공중과 주민의 건강을 개선하여야 하며, 환경에 영향을 줄여야 한다.
그린빌딩 기술은 에너지 효율에 관한 기술과 지속가능성에 관한 기술로 대별할 수 있으며, 이를 다시 세분하면 에너지 부하저감기술, 설비효율향상기술, 공해저감기술 및 자원재활용 기술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관련 환경의 요소별로 보면 부지, 조경, 에너지, 물, 공기, 폐기물, 재활용 및 재료 등으로 구분되며 이외에도 쾌적한 위생환경 및 LCA 등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선진각국은 이러한 그린빌딩 건축을 장려하기 위하여 갖가지 정책을 발표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활발한 유인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곳은 영국, 캐나다, 미국 등이다. 또한 이들 3국은 각자의 나라에 맞는 그린빌딩 기준을 마련하여서 그린빌딩 기술의 건물에의 채용정도에 따라 적절한 등급을 부여하고 이를 그 기업의 홍보에 활용케 하거나 금융, 세제 지원 등에 활용한다. 우리나라는 2000년부터 환경부에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그린빌딩 인증제를 시범 적용하고 있고, 현재 저탄소 녹생성장의 선도사업으로 전국 16개 시도가 각기 연구과제 선정을 통한 사업 연구용역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종래의 건축개념과는 상당히 다른 그린빌딩 건축의 보급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그린빌딩 개념에 걸 맞는 별도의 설계, 시공 지침이 주어져야 할 것이며 강제적으로 시행하는 에너지 및 환경기준과는 별도로, 또한 이러한 기준보다 훨씬 강화된 인증기준을 제정함과 아울러 그린빌딩의 건축을 유인, 장려하는 보너스 지급, 인센티브 제공 등 금융, 세제상의 혜택을 포함하는 지원제도의 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
지속가능건축 사례
자이언 국립공원 안내센터
[그림 12] 자이언 국립공원 안내 & 내부공간
미국 Utah 주 Zion 국립공원에 위치해있는 이 건물은 안내소, 상점, 회의실, 사무실 등의 용도로 쓰이고 있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건축자재를 사용하였으며, 자연형 태양열 축열벽 시스템, 태양광발전, 자연냉방을 위한 Cool Tower, 자연 채광 및 자연 환기 등의 지속가능한 건축설계 요소를 사용하였다.
BedZED 주거단지
영국 런던 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공동주택들과 업무시설 등이 있다. 재활용 건축자재를 활용했으며 이 지역에서 생산된 건축자재를 사용하였다. 인근 목재소에서 버려지는 조각, 톱밥과 주변 잡초를 이용한 Bio-Mass 에너지, 삼중창 및 자연형 태양열 시스템, 태양광 발전, 수초를 이용한 자연정화 오수처리 등 여러 자연친화적인 시스템들이 가동되고 있다.
Mont-Cenis Academy
독일 Essen 지방 Herne 지역에 위치해 있는 건물로 평생학습 아카데미이다. 태양광 발전에 우수재활용시스템, 자연채광 및 자연환기, 지역에서 생산된 건축 자재들을 사용한다.
[그림 14] Mont-Cenis Academy 외부 & Mont-Cenis Academy 내부
Freedom Tower
뉴욕 WTC Ground Zero 에 위치해 있는 이 건물은 2010년에 완공되었다. 최상의 IAQ를 확보하고 있으며, 수자원 절약, 자원 절약(재활용 건축자재 활용, 건축 폐기물 최소화)을 하였으며, 건설 기간 중에도 주변 환경오염을 최소화 하였다.
참고문헌
www.auric.or.kr
http://www.e-architect.co.uk
naver blog & 백과사전 & 지식in
임만택, 건축환경계획, 보문당, 1991.3.10.발행.
장현춘, 인간 생활과 자연환경 이야기, 백양출판사, 2006
허광, 인간과 자연, 환경 그리고 생태, 동일출판사, 2000.8.14.발행
이종석, 건축환경, 성안당
이민석, 자연광과 건축환경, 건설도서
지속가능한 건축과 미래건축의 방향
미국의 친환경 사례, 논문
친환경 건축물 사례, 친환경 에너지팀 전임연구원, 류승호
건물에너지 효율향상과 지속가능 개발방안 , 논문
건축 환경계획, 세진사, 이철구
  • 가격3,3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3.07.08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62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