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COPD 정의
2. COPD 증상
3. COPD 진단
4. COPD 예방법
5. COPD 치료법
(1) 약물치료
(2) 산소치료
(3) 재활치료
6. COPD 간호사정
2. COPD 증상
3. COPD 진단
4. COPD 예방법
5. COPD 치료법
(1) 약물치료
(2) 산소치료
(3) 재활치료
6. COPD 간호사정
본문내용
숨이 찰 때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교육을 할 뿐만 아니라 어떻게 하면 일상생활을 숨이 덜 차게 가장 효율적으로 해나갈 수 있고 병이 악화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 등에 대해서도 교육을 한다.
특히 폐기종 환자들은 대부분 체중이 정상에 미달되고 영양 상태가 좋지 않아서 운동능력이 더 저하될 수 있으므로 영양 문제에 대한 교육과 상담도 하고, 만성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므로 우울증 등에 빠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신과 전문의 교육이나 면담도 재활 치료의 일부가 된다.
6. COPD 간호사정
- 위험인자와 현재의 문제를 사정한다. 문진 시 나이, 성별, 체중, 직업력과 인종,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다.
- 사회활동의 감소 여부, 가정환경, 화학약품 및 미립자에 대한 노출 여부, 가정환경, 생활 양상을 사정한다.
- 호흡곤란에 따른 불안과 두려움이 직업, 가족, 사회적 역할, 성적 역할 등에 영향을 끼치므로 간호사는 지지집단과 관련 서비스에 대해 대상자가 인식하고 이용하는지 확인한다.
- 흡연이 주요 원인이므로 흡연기간, 매일 피운 담배 개수, 사용한 담배의 타르 함량과 니토킨 함량 등에 대해 알아본다.
- 대상자에게 호흡문제의 특징을 말하게 한다. 말하는 동안 호흡곤란이 있는지 관찰한다. 호흡양상(속도, 리듬, 깊이, 보조근육 사용 여부-COPD환자는 보조근육을 더 사용), 완전한 문장으로 말하는지, 한두 단어 사이에 매번 호흡 하는지 관찰한다.
- 천명음, 기침과 짧은 호흡, 기간, 악화에 관해 질문한다. 증상이 언제 나타나는지, 기침의 양상이 어떤지, 기침과 객담이 함께 나오면 객담이 깨끗한지, 색깔이 있는지, 양은 어떤지, 언제 가장 많이 나오는지 묻는다.
- 대상자에게 1개월 전과 1년 전의 활동수준과 호흡곤란을 비교하게 하고, 먹고 자는데 어려움이 있는지 조사한다. 매일 일상적인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 호흡수와 호흡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흉부를 시진하고 압통, 비정상적인 퇴축부위, 흉부 팽창의 대칭성을 사정하기 위해 촉진한다.
호흡곤란의 정도는 호흡곤란 척도(VADS)를 사용하여 사정한다. 이 척도는 호흡곤란을 사정하고 치료의 유효성을 측정하며, 대상자의 활동속도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 기도 감염이 있는지 사정한다.
대상자의 심박동수와 리듬을 측정, 발과 발목의 의존성부종이나 우심부전의 다른 증상과 징후가 있는지 사정한다. 손톱 기저부와 구강점막의 색깔을 조사한다.
특히 폐기종 환자들은 대부분 체중이 정상에 미달되고 영양 상태가 좋지 않아서 운동능력이 더 저하될 수 있으므로 영양 문제에 대한 교육과 상담도 하고, 만성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므로 우울증 등에 빠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신과 전문의 교육이나 면담도 재활 치료의 일부가 된다.
6. COPD 간호사정
- 위험인자와 현재의 문제를 사정한다. 문진 시 나이, 성별, 체중, 직업력과 인종,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다.
- 사회활동의 감소 여부, 가정환경, 화학약품 및 미립자에 대한 노출 여부, 가정환경, 생활 양상을 사정한다.
- 호흡곤란에 따른 불안과 두려움이 직업, 가족, 사회적 역할, 성적 역할 등에 영향을 끼치므로 간호사는 지지집단과 관련 서비스에 대해 대상자가 인식하고 이용하는지 확인한다.
- 흡연이 주요 원인이므로 흡연기간, 매일 피운 담배 개수, 사용한 담배의 타르 함량과 니토킨 함량 등에 대해 알아본다.
- 대상자에게 호흡문제의 특징을 말하게 한다. 말하는 동안 호흡곤란이 있는지 관찰한다. 호흡양상(속도, 리듬, 깊이, 보조근육 사용 여부-COPD환자는 보조근육을 더 사용), 완전한 문장으로 말하는지, 한두 단어 사이에 매번 호흡 하는지 관찰한다.
- 천명음, 기침과 짧은 호흡, 기간, 악화에 관해 질문한다. 증상이 언제 나타나는지, 기침의 양상이 어떤지, 기침과 객담이 함께 나오면 객담이 깨끗한지, 색깔이 있는지, 양은 어떤지, 언제 가장 많이 나오는지 묻는다.
- 대상자에게 1개월 전과 1년 전의 활동수준과 호흡곤란을 비교하게 하고, 먹고 자는데 어려움이 있는지 조사한다. 매일 일상적인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 호흡수와 호흡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흉부를 시진하고 압통, 비정상적인 퇴축부위, 흉부 팽창의 대칭성을 사정하기 위해 촉진한다.
호흡곤란의 정도는 호흡곤란 척도(VADS)를 사용하여 사정한다. 이 척도는 호흡곤란을 사정하고 치료의 유효성을 측정하며, 대상자의 활동속도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 기도 감염이 있는지 사정한다.
대상자의 심박동수와 리듬을 측정, 발과 발목의 의존성부종이나 우심부전의 다른 증상과 징후가 있는지 사정한다. 손톱 기저부와 구강점막의 색깔을 조사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