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D( 만성 폐쇄성 폐질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OPD(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COPD의 정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2. 병태생리

3. 병인

4. 임상징후

5. 진단적 평가

6. COPD의 치료

7. 간호시 유의점

본문내용

이 중요하다.
i. 물리요법
호흡훈련과 조정으로 제한된 폐기능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도록 하여 증상을 경감시키고 환자의 기동력을 증대시켜주는 것이 물리요법의 목표다. 정상적인 호흡에서는 횡격막과 늑간근육이 호흡에 기여하는 정도가 각각 65 %와 35 %가 되지만 폐기종 환자에서는 횡격막의 운동이 억제되어 30 % 정도밖에 기여하지 못하므로 호흡이 힘들어지고 호흡운동에 대한 부담도 가중된다.
따라서 횡격막의 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횡격막호흡을 하도록 하며 입술 오므리고 숨쉬기(pursed - lip breathing)로 기도가 조기에 폐쇄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횡격막호흡법.
호기말에 환자가 배에 힘을 주어 의사나 간호사가 아래로 그리고 안쪽으로 누르는 손바닥을 위로 밀어 올리도록 요구한다. 이런 동작을 여러 차례 반복하면 나중에는 환자 스스로 횡격막호흡을 할 수 있게 된다.
7. 간호시 유의점
Theophylline은 전신적인 부작용으로 과거에 사용한 것만큼 사용하지 않는다. 현재는 스테로이드 흡입제의 사용이 강조되고 있다.
<합병증>
1. 호흡부전
2. 폐렴: 과도한 호흡기 감염
3. 우심부전, 부정맥(Dysrhythmias)
4. 우울
<간호사정>
1. 흡연력, 노출된 기간, 호흡계 질환에 대한 가족력, 호흡 곤란의 발생에 대해 조사한다.
2. 객담의 양, 색깔, 점도 등을 기록한다.
3. 호흡 보조근을 사용하는지 시진하고 흉곽 전후경의 증기를 기록한다.
4. 호흡음의 저하나 감소, 악설응을 청진하고 심음의 감소도 청진한다.
<간호진단>
A.기관지 수축, 점액생산 증가, 비효율적 기침, 기관지, 폐 감염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 불능
B. 만성적 공기 흐름의 제한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C. 폐기능 및 방어기전 저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D. 만성 폐폐색: 환기-관류의 비정상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E. 호흡 운동의 증가, 공기 삼킴, 약물효과와 관련된 영양부족
F. 호흡과 피로와 관련된 폐 기능의 저하와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G. 저산소혈증과 과탄산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H. 만성질환을 갖고 살아가는 스트레스와 관련된 개인의 비효율적 대응.
【참고문헌】
Sigma Theta Tau Lambda 외 1인. (1997). 최신임상간호매뉴얼. 현문사. p.p.327∼329
http://www.dreamedicine.com/COPD.html
http://nopain365.com/copd.html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2.18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7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