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개론 ) 참치캔을 따다가 다치면 조심하지, 애좀 잘 돌보지라는 반응을 보인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학개론 ) 참치캔을 따다가 다치면 조심하지, 애좀 잘 돌보지라는 반응을 보인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세월호와 가습기살균제 사건이란?
2) 두 사건의 사회적 책임과 진행 결과
3) 두 사건에 관한 필자의 평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볼 점은 피해자들이 정부의 사건 수습과 관련하여 주저하고, 겸허히 받아들이지 않고, 피해자연대를 결성하여 사건의 명확한 사실 확인과 대책 마련을 위해 적극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며 사회운동으로까지 펼쳐 나간 점이다. 그 결과 사건이 발생한 지 수년이 지났어도 그 사건과 관련하여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잊혀 지지 않고 회자하였으며 국회의원들 또한 이러한 문제임을 미해결된 과제로 보고 사건의 진상규명과 차후 재발 방지 및 피해자의 보상까지 상세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특별법을 제정하게 된 바탕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3. 결론
현대 사회에서는 자신들이 겪은 피해 사례들 가운데 많은 사람도 이와 같은 피해를 볼 수 있으리라 판단되거나 사회적으로도 문제가 될 수 있는 문제들과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사회의 책임을 요구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서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사회에서 일어나는 문제 현상 및 사건들에 대해 국민들이 관심을 가지고 심각성을 전달하기도 하고, 대책을 마련하여 알리기도 한다. 이러한 국민들의 활동은 마치 사회복지사의 역할 중 옹호자, 사회운동가와 닮아있기도 한데 국민들의 기본 권리를 찾고자 하는 의식 수준과 지적 수준이 향상되면서 생겨난 움직임이 아닐까 생각된다. 두 번 다시는 일어나지 말아야 할 사건 중 하나라 수 있는 ‘가습기살균제’와 ‘세월호’를 통하여 되돌아봐야 할 점은 사건이 발생한 당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법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적극적으로 상황을 수습해 나갈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사료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1) \"가습기살균제 쓰지마세요\"…\'폐손상 확인\' 6종 회수 명령, 김민현. SBSCNBC. 2011.11.11
2) 가습기살균제 사태, 5년 동안 무슨 일이?, 김은식. 베이비 뉴스. 2016.04.27.
3) “가습기 살균제 피해 지원 확대”, 이세중. KBS. 2017.08.01
4) 세월호에서 철근 더미 발견…‘과적’ 연관성 주목, 강나루. KBS. 2017.08.07
5) 세월호 이준석 선장, 무기징역 확정…나머지 선원은?, 박에슬. 2015.11.12. 동아일보
6) 세월호 실종자 수색 종료, 가족들 ‘통한의 결단’, 임주현. KBS. 2014.11.11
7) 세월호 \'마지막 수색\' 했지만…미수습자 5명 흔적 못 찾아, 김동규. 연합뉴스. 2018.10.19
8) 여야, 세월호 배보상 특별법 협상 최종 타결(상보), 김혜원. 아시아경제. 2015.01.06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4.22
  • 저작시기202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86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