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셔레이드 기법의 효과
(2) 영화 ‘사이코’의 셔레이드 기법
결론
출처 및 참고 문헌
본론
(1) 셔레이드 기법의 효과
(2) 영화 ‘사이코’의 셔레이드 기법
결론
출처 및 참고 문헌
본문내용
벗은 몸, 높게 쳐든 칼, 수채 구멍의 핏물 등 짤막한 장면들이 빠른 속도로 교차 편집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여인의 눈동자, 나체의 배꼽, 젖은 머리가 관능적으로 표현되면서 관객에게 비극적 심상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샤워 커튼이 하나 둘 뜯기거나 수채 구멍으로 핏물이 빠져나가는 장면은 샤워실에서 살인의 행위가 끝나고 여인이 고통을 느낀다는 것을 보여주며, 수채 구멍과 초점 잃은 눈동자가 겹치며 여인이 사망했음을 나타낸다.
결론
히치콕의 ‘사이코’의 샤워 장면은 밝음과 어두움과 같은 조명의 대비, 긴장과 안도와 다시 두려움 등의 아이러니, 여인의 눈동자와 수채 구멍의 겹침 등을 통한 상황의 묘사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관객에게 서스펜스를 전달한다. 이처럼 짧은 장면의 빠른 전환을 통해서 한 마디 대사 없이 비명 소리만으로 상황을 관객에게 인지시키고 강렬하며 인상에 남는 장면을 창조하는 셔레이드 기법의 힘은 강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소름끼치며 탐미적인 연출로 예술성을 극대화시킨 히치콕 감독의 역량도 바로 이 장면에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및 참고 문헌
백민제. (2018). 연출기법으로서의 셔레이드에 관한 연구. 연기예술연구, 12, 115-128.
김성훈. (2012). 셔레이드 기법이 인물의 성격구축 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2), 127-141.
‘관음증·죄의식·공포…히치콕의 세계 극장에서 만난다’, 한겨레, 2016.08.03. 접속일자 2020.04.02.
앨프리드 히치콕 (Alfred Hitchcock), 씨네21, 접속일자 2020.04.02.
결론
히치콕의 ‘사이코’의 샤워 장면은 밝음과 어두움과 같은 조명의 대비, 긴장과 안도와 다시 두려움 등의 아이러니, 여인의 눈동자와 수채 구멍의 겹침 등을 통한 상황의 묘사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관객에게 서스펜스를 전달한다. 이처럼 짧은 장면의 빠른 전환을 통해서 한 마디 대사 없이 비명 소리만으로 상황을 관객에게 인지시키고 강렬하며 인상에 남는 장면을 창조하는 셔레이드 기법의 힘은 강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소름끼치며 탐미적인 연출로 예술성을 극대화시킨 히치콕 감독의 역량도 바로 이 장면에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및 참고 문헌
백민제. (2018). 연출기법으로서의 셔레이드에 관한 연구. 연기예술연구, 12, 115-128.
김성훈. (2012). 셔레이드 기법이 인물의 성격구축 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2), 127-141.
‘관음증·죄의식·공포…히치콕의 세계 극장에서 만난다’, 한겨레, 2016.08.03. 접속일자 2020.04.02.
앨프리드 히치콕 (Alfred Hitchcock), 씨네21, 접속일자 2020.04.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