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글.
2. Synobsis
3. 다중인격
4. 마더 콤플렉스
5. 일탈과 훔쳐보기
6. 나가는 글.
2. Synobsis
3. 다중인격
4. 마더 콤플렉스
5. 일탈과 훔쳐보기
6. 나가는 글.
본문내용
러를 보는 새로운 눈을 주었다.
* 스릴러 [ thriller ] *
관객의 공포심리를 자극할 목적으로 제작한 드라마. 이 호칭은 영화에서 비롯되어 연극방송소설 등에서도 쓰인다. 넓은 의미에서의 서스펜스드라마의 일종으로 요괴괴기극, 범죄탐정극 등에 많으나 공포심리만 묘사된다면 구태여 이를 장르에 넣을 필요는 없다. 공포감을 주는 쪽보다도 공포감을 느끼는 쪽이 빠져 들어가는 과정 표현에 주체(主體) 가 있다. 미국의 히치콕 감독을 스릴러영화의 대표적 작가라고 하는 것은 평범하고 일상적인 일로 보이는 것에서 일어나는 공포심리를 적확하게 표현하기 때문이다. 보통 쇼커(shocker)와 같은 뜻으로 쓰이나 심리적으로 깊은 밑바닥에 뿌리 박혀 있지 않은 외적인 충격에 의한 공포물을 특히 그렇게 부르기도 한다.
* 스릴러 [ thriller ] *
관객의 공포심리를 자극할 목적으로 제작한 드라마. 이 호칭은 영화에서 비롯되어 연극방송소설 등에서도 쓰인다. 넓은 의미에서의 서스펜스드라마의 일종으로 요괴괴기극, 범죄탐정극 등에 많으나 공포심리만 묘사된다면 구태여 이를 장르에 넣을 필요는 없다. 공포감을 주는 쪽보다도 공포감을 느끼는 쪽이 빠져 들어가는 과정 표현에 주체(主體) 가 있다. 미국의 히치콕 감독을 스릴러영화의 대표적 작가라고 하는 것은 평범하고 일상적인 일로 보이는 것에서 일어나는 공포심리를 적확하게 표현하기 때문이다. 보통 쇼커(shocker)와 같은 뜻으로 쓰이나 심리적으로 깊은 밑바닥에 뿌리 박혀 있지 않은 외적인 충격에 의한 공포물을 특히 그렇게 부르기도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