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시험대비 핵심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시험대비 핵심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④당질대사 결과 신체세포에서 형성된 CO2는 혈액으로 확산되어 물과 반응하여 탄산H2CO3형성
⑤탄산은 H+와 H2CO3- 로 분해. 이러한 가수분해반응은 가역적:
⑥CO2농도가 올라가면 산도오르고 pH는 떨어짐
⑦CO2농도가 내려가면 산도내리고 pH는 올라감
⑧이러한 활동 대부분 적혈구에서 일어남
⑨이렇게 형성된 H+는 혈색소와 다른 완충제와 결합하여 pH변화 최소화
⑩H+는 혈색소와 다른 완충제와 결합하여 pH의 변화 최소화
⑪적혈구 내에서 형성된 HCO3는 혈장으로 나오게 됨
⑫다른 음이온인 Cl-는 전기적 중립 유지위해 적혈구 내로 들어감
이러한 음이온의 역이동= 염소이동
⑬폐에서 CO2가 농도 기울기에 따라 혈장에서 폐포로 확산되어 배출
CO2가 제거되면 폐에서 역가수분해가 일어남
2)콩팥의 산과 중탄산 조절
-가스형태로 전환 할수 없는 산은 소변으로 배설되어야함
-콩팥은 소변으로 H+를 분비, 혈액에서 재흡수할수 있도록 HCO3- 재생해 혈청 pH 조절
- H+ 보다 많아서 여과된 HCO3-는 소변으로 배설. H+는 콩팥세뇨관에서 활발히 분비되는데 주로 근위세뇨관 세포에서 분비되나 원위세뇨관 세포와 집합관에서 분비되기도 함.
(1)요로계완충체계
콩팥세뇨관의 3가지 완충체계: 중탄산,암모니아,인산염 완충체계
A.중탄산완충체계에서 H+는 Na+와 역이동으로 세뇨관 세포에 의해 세뇨관강으로 분비
B. H+이 여과된 중탄산염과 가수분해작용의 반대과정으로 합쳐져서 C02 생성
C. 산을교정하기위해 HCO3-는 혈액으로 나트륨과 같이 재흡수됨.
∴ 혈장중탄산 완충체계의 요소를 회복하기 위해 분비되는 H+분자마다 HCO3-분자가 혈액으로 되돌아감
D. 이체계의 두 요소인 C02와 HCO3-는 호흡기계(C02)와 신장(HCO3-)에 의해 쉽게 조절될수있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세포의 완충제로 볼수있다. 호흡기계는 탄산의 분해과정에서 형성된 과다한 이산화탄소를 제거위해 1-3분이내에 빠르게 활동
반대로 강력한 조절기전인 콩팥은 수소이온 농도 변화위해 24-48시간정도 필요
-암모니아 완충체계는 콩팥세뇨관 세포에서 아미노산글루타민으로 생성되는 암모니아NH3에 달려있다. 암모니아는 세뇨관으로 확산되고 세뇨관 세포로 재흡수되는 크고 전기를 띤 입자인 암모니아NH4+ 를 형성하기위해 분비된 H+와 결합
-인산염완충체계도 이와 비슷하게 작용. 이체계는 적혈구와 다른세포들에서 중요, 특히 수소이온 배출하는 신장의 세뇨관세포에서 중요. 인산염완충체계의 작용은 중탄산 완충체계와 유사하나 Na2HPO4+ 와 NAH2PO4로 구성
강산(예:HCL)은 인완충염(Na2HPO4)에 의해 중성염(염화나트륨,NaCl)으로 전환
HCl + Na2HPO4 = NaCl + NAH2PO4
결과: 분비된 H+는 인산염과 결합하여 소변으로 배설되고 Na+와 중탄산염은 재흡수됨
(2)다른 전해질의 역할
H+과 HCO3-가 산-염기 균형에 중요한 결정인자이지만 어떤 체액구역에서도 총 양이온이 총 음이온가 같아야 한다는 전기적 중립의 원칙에 따라 다른 전해질도 중요한 역할을 함.
콩팥이 혈청pH조절하는 데 있어서 K+,Na+, Ca2+Cl-와 단백질 이온의 영향 크게 받음
(3)혈액완충체계에 의한 혈청pH의 조절
적혈구에 혈색소,인,중탄산이 있고 혈장에 중탄산,혈장단백,인이 있다. 완충체계는 강산이나 강염기를 약한 형태로 변화시켜 강산이나 강염기의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즉각적으로 작용. 혈액완충이 산-염기불균형의 첫 번째 방어선으로 작용.
완충체계: -강산의 완충:HCl +NaHCO3 -> NaCl+ H2CO3
-강염기의 완충:NaOH + H2C03 -> NaHCO3 + H2O
산-염기 조절체계의 상호작용
산-염기 보상기전 => 정상 염기:산= 20:1
8. 산-염기 불균형
분류: 호흡성산증, 호흡성 알칼리증, 대사성 산증, 대사성 알칼리증
산증은 신체내에 비교적 과다한산(휘발성,비휘발성)으로 인해 발생한 병리적 과정
산혈증은 혈액 내에 과다한산이 있는 상태이다. 알칼리증은 신체 내 염기의 과다 상태다.
1)호흡성산증
호흡저하로 발생. 만성호흡성산증은 만성폐쇄성 폐질환에 의해 가장 많이 발생. 환자에 호흡기 감염or 호흡 부담 증가시키는 심장질환이 같이있는 경우 급성호흡성산증. 치료과정에서 부적절한 인공호흡기사용 ,COPD 환자에게 과다하게 산소를 투여하여 생김.
2)호흡성 알칼리증
폐포의 환기과다로서 CO2 가 과다하게 배출되어 생길수있다. 가장 흔한원인은 저산소혈증이다. 동맥혈액 내의 산소분압PaO2이 낮은 경우 경동맥이나 대동맥에 있는 말초화학수용체가 자극되며 이 수용체는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호흡의 깊이와 횟수가 증가하게 된다.
3)대사성 산증
①비휘발성 산의축적 ②염기의 상실
음이온 격차는 나트륨농도에서 주요 음이온인 중탄산과염소의합의 차이로 계산
+ 음이온 격차가 큰 산증의 흔한 원인은 사구체 여과의 장애로 단백질 대사의 최종산물인 산이 효과적으로 배설되지 않는 질소혈증 콩팥기능상실, 인슐린이 없는 상태에서 과다한 지방대사로 케톤산이 축적되는 당뇨성 케톤산증,무산소 탄수화물대사의 결과로 생긴 젖산증등이 포함된다. 산성대사물질이 있는 독극물의 섭취로도 발생할 수 있다.
+과다한 중탄산은 콩팥이나 위장계를 통해 상실될 수 있다. 콩팥세뇨관 산증의 경우 콩팥세뇨관 세포가 중탄산을 재흡수할 수 없어 소변으로 상실된다. 중탄산이 많은 장액분비물이 장루(회장루환자)나 설사로 상실될 수 있다.
4)대사성 알칼리증
-발생단계의 불균형은 산의 손실, 염기의 축적 또는 HCO3-보다 cl-이 더 많이 포함되어있는 장액의 손실로 발생. 다른 형태의 알칼리증은 만성 호흡성 산증을 너무 급하게 교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탄산혈증 후 대사성 알칼리증
-비위관흡인 또는 구토로 위액손실시 HCl이 손실되어 대사성 알칼리증이생김.
-HCl 손실시 가수분해 작용을 통해 위세포에서 새로운 HCl이 생성되어야 함.
-산증을 치료하는 과정에NaHCO3 or 전혈 과다 투여 시 알칼리증이 생길 수 있음.
-링거젖산Ringer\'s lactate용액으로 저혈량증을 치료할 경우 젖산이 HCO3-로 변형되어 알칼리증에 기여할수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1.04.22
  • 저작시기202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87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