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이정 박헌영 일대기
◎ 박헌영의 부재
◎ 박헌영의 두 혈육
◎ 오늘날 사회주의를 생각하는 것의 의미
◎ 박헌영의 부재
◎ 박헌영의 두 혈육
◎ 오늘날 사회주의를 생각하는 것의 의미
본문내용
이었다. 내가 보았을 때 현대에 가장 위협받고 있는 가치 가운데 하나가 바로 국제협력 또는 상호연대이다. 작금의 세계정세를 보면 영국의 브렉시트와 난민 등의 문제로 촉발된 EU의 존립 문제, 트럼프·두테르테·보우소나루 등의 극우 포퓰리스트의 대두와 함께 심화 된 자국 우선주의의 문제, UN · WTO와 같은 국제기구의 효용성과 신뢰성에 대한 의문 등이 제기되면서 많은 걱정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당연하게도 이 문제들로 인해 피해를 입는 것은 약소국과 약소민족들이다.
박헌영의 일대기를 보고 있으면 그가 소련과 중국을 오가는 국제적인 사회주의자였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그뿐만 아니라 당대 사회주의자들의 보편적인 특징이다. 레닌과 트로츠키 등으로 대표되는 사회주의 이론의 기본이 국제연대를 통한 세계 동시 혁명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언제나 국내의 정치적 사안들을 세계적인 시야에서 접근하였다. 모든 정치적 판단을 국내적 실익으로 치환해버리는 정치 상황 속에서, 현상의 원인을 국제적인 견지에서 찾고 이를 가치와 신념에 따른 연대를 통하여 해결하려는 사회주의적 방법론은 주목해 볼만 한 지점이라고 생각한다. 오늘날 우리가 사회주의를 연구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박헌영의 일대기를 보고 있으면 그가 소련과 중국을 오가는 국제적인 사회주의자였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그뿐만 아니라 당대 사회주의자들의 보편적인 특징이다. 레닌과 트로츠키 등으로 대표되는 사회주의 이론의 기본이 국제연대를 통한 세계 동시 혁명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언제나 국내의 정치적 사안들을 세계적인 시야에서 접근하였다. 모든 정치적 판단을 국내적 실익으로 치환해버리는 정치 상황 속에서, 현상의 원인을 국제적인 견지에서 찾고 이를 가치와 신념에 따른 연대를 통하여 해결하려는 사회주의적 방법론은 주목해 볼만 한 지점이라고 생각한다. 오늘날 우리가 사회주의를 연구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