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뉴턴의 운동 법칙(Newton's law of motion)이란----------------------3
Ⅱ. 본론
1. 뉴턴의 제1법칙(Lex prima): 관성의 법칙(Law of inertia)----------------3
➀ 관성의 법칙이란
➁ 관성의 법칙의 예시
2. 뉴턴의 제2법칙(Lex secunda): 가속도의 법칙(Law of acceleration)--------5
➀ 가속도의 법칙이란
➁ 가속도 법칙의 예시
3. 뉴턴의 제3법칙(Lex tertia): 작용 반작용의 법칙(Law of action and reaction)-6
➀ 작용 반작용의 법칙이란
➂ 작용 반작용 법칙의 예시
Ⅲ. 결론-----------------------------------------------------6
Ⅳ. 참고문헌--------------------------------------------------6
1. 뉴턴의 운동 법칙(Newton's law of motion)이란----------------------3
Ⅱ. 본론
1. 뉴턴의 제1법칙(Lex prima): 관성의 법칙(Law of inertia)----------------3
➀ 관성의 법칙이란
➁ 관성의 법칙의 예시
2. 뉴턴의 제2법칙(Lex secunda): 가속도의 법칙(Law of acceleration)--------5
➀ 가속도의 법칙이란
➁ 가속도 법칙의 예시
3. 뉴턴의 제3법칙(Lex tertia): 작용 반작용의 법칙(Law of action and reaction)-6
➀ 작용 반작용의 법칙이란
➂ 작용 반작용 법칙의 예시
Ⅲ. 결론-----------------------------------------------------6
Ⅳ. 참고문헌--------------------------------------------------6
본문내용
.
3. 뉴턴의 제3법칙(Lex tertia): 작용 반작용의 법칙(Law of action and reaction)
제3법칙은 한 물체 A가 다른 물체 B에게 작용하는 힘이 있을 때, 그 다른 물체 B도 물체 A에게 같은 크기의 힘을 가한다는 법칙이다. A가 B에 작용하는 힘의 \'결과\'로 B가 A에 작용하는 반작용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그 두 힘은 원래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작용 반작용 법칙의 예시>
―사과가 떨어질 때
사과가 떨어질 때는 지구가 사과를 잡아당기는 중력이 존재하는데 이 중력을 작용이라고 하면, 사과가 지구를 잡아당기는 힘이 반작용이 된다. 즉, 지구와 사과는 서로를 향해 가속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지구가 사과를 잡아당기는 힘이나 사과가 지구를 잡아당기는 힘은 작용-반작용의 관계로 그 힘의 크기가 같다. 그런데, 지구의 질량이 사과와 비교해서 매우 대단히 크기 때문에 뉴턴의 운동 제2법칙인 가속도의 법칙에 따라 가속도 a는 a=F/m이므로 지구의 가속도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지만, 사과의 가속도는 아주 크게 나타난다. 그래서 사과의 운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로켓이 발사될 때
로켓은 일정한 힘으로 가스를 뒤로 분출한다. 이 가스를 분출하는 힘이 작용이라고 할 때, 반작용은 가스가 로켓을 미는 힘일 것이다. 이 힘으로 로켓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Ⅲ 결론
뉴턴의 법칙은 우리가 살면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법칙이다. 예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우리 생활과 매우 밀접한 곳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버스나 지하철이 멈출 때 몸이 앞으로 쏠리는 것은 정말 빈번하게 느낄 수 있다.
항공기에서는 작용 반작용의 법칙을 통해 엔진에서 발생한 추력을 뒤쪽으로 보내면서 그 힘과 방향이 반대인 앞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Ⅳ 참고문헌
인터넷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ongbbang2&logNo=90016227415&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
https://ko.wikipedia.org/wiki/%EB%89%B4%ED%84%B4_%EC%9A%B4%EB%8F%99_%EB%B2%95%EC%B9%99
https://namu.wiki/w/%EB%89%B4%ED%84%B4%EC%9D%98%20%EC%9A%B4%EB%8F%99%EB%B2%95%EC%B9%99#s-1
3. 뉴턴의 제3법칙(Lex tertia): 작용 반작용의 법칙(Law of action and reaction)
제3법칙은 한 물체 A가 다른 물체 B에게 작용하는 힘이 있을 때, 그 다른 물체 B도 물체 A에게 같은 크기의 힘을 가한다는 법칙이다. A가 B에 작용하는 힘의 \'결과\'로 B가 A에 작용하는 반작용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그 두 힘은 원래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작용 반작용 법칙의 예시>
―사과가 떨어질 때
사과가 떨어질 때는 지구가 사과를 잡아당기는 중력이 존재하는데 이 중력을 작용이라고 하면, 사과가 지구를 잡아당기는 힘이 반작용이 된다. 즉, 지구와 사과는 서로를 향해 가속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지구가 사과를 잡아당기는 힘이나 사과가 지구를 잡아당기는 힘은 작용-반작용의 관계로 그 힘의 크기가 같다. 그런데, 지구의 질량이 사과와 비교해서 매우 대단히 크기 때문에 뉴턴의 운동 제2법칙인 가속도의 법칙에 따라 가속도 a는 a=F/m이므로 지구의 가속도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지만, 사과의 가속도는 아주 크게 나타난다. 그래서 사과의 운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로켓이 발사될 때
로켓은 일정한 힘으로 가스를 뒤로 분출한다. 이 가스를 분출하는 힘이 작용이라고 할 때, 반작용은 가스가 로켓을 미는 힘일 것이다. 이 힘으로 로켓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Ⅲ 결론
뉴턴의 법칙은 우리가 살면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법칙이다. 예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우리 생활과 매우 밀접한 곳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버스나 지하철이 멈출 때 몸이 앞으로 쏠리는 것은 정말 빈번하게 느낄 수 있다.
항공기에서는 작용 반작용의 법칙을 통해 엔진에서 발생한 추력을 뒤쪽으로 보내면서 그 힘과 방향이 반대인 앞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Ⅳ 참고문헌
인터넷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ongbbang2&logNo=90016227415&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
https://ko.wikipedia.org/wiki/%EB%89%B4%ED%84%B4_%EC%9A%B4%EB%8F%99_%EB%B2%95%EC%B9%99
https://namu.wiki/w/%EB%89%B4%ED%84%B4%EC%9D%98%20%EC%9A%B4%EB%8F%99%EB%B2%95%EC%B9%99#s-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