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더라도’의 교수 방안
(2) ‘-을지라도’의 교수 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더라도’의 교수 방안
(2) ‘-을지라도’의 교수 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시하여 선행절과 후행절의 차이를 인식시킨다. 이를 통해 ‘-을지라도’는 가장 좋지 않은 최악의 상황이나 가장 좋은 최상의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된다는 점을 학습시킨다. 예를 들면 ‘천재일지라도 노력 없이는 성공할 수 없다.’는 예문으로 ‘-을지라도’의 의미를 학습시킨다. 이후 비사실명제를 활용하여 학습한다. ‘매일 굶을지라도 다른 사람의 물건을 훔치면 안 된다.’등의 예문을 확용하도록 한다.
화용정보의 경우 중요한 상황에서 가장 최상이나 최악의 조건을 설명할 때 활용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또한 극단적인 상황이나 완전히 실현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사용한다는 점, 선행절의 동작이나 사건을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하며 불가능을 전제로 한 상황에서는 일어날 가능성이 전혀 없다는 점을 학습시킬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예문, 학습참여를 유도하여 ‘-을지라도’의 특징을 충분히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더라도’와는 달리 아주 사소한 일에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도 인식시켜준다. 역시 예문을 제시하여 주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내가 신일지라도 그 환자를 살릴 수는 없다.’ 와 ‘내가 신이더라도 그 환자를 살릴 수는 없다.’의 예문을 동시에 제시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임삼미,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관계 연결어미 교수 방안」, 서울여자대학교, 2018.
3. 결론
한국어의 연결어미는 다양한 종류만큼이나 다양한 활용법을 가지고 있다. 모국어로 한국어를 학습한 사람들도 오류가 많을 정도로 복잡하고 학습이 어렵다. 이런 점에서 외국어로 한국어 연결어미를 학습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 될 것이다. 때문에 교수방안을 구성할 때 최대한 쉽고, 현실적인 활용을 배울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생각한다. 물론 이론적인 부분과 문법적인 부분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나, 언어의 가장 큰 목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 이론과 문법이 최우선적인 과제는 아닐 것이다. 때문에 연결어미의 학습에서도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수업을 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4. 참고문헌
임삼미,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관계 연결어미 교수 방안」, 서울여자대학교, 2018.
김상철,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연결 어미 사용 실태 분석 및 교육 방안」, 인하대학교, 2017.
최은실, 「양보 연결어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16.
정유라, 「양보의 연결어미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한림대학교, 2016.
화용정보의 경우 중요한 상황에서 가장 최상이나 최악의 조건을 설명할 때 활용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또한 극단적인 상황이나 완전히 실현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사용한다는 점, 선행절의 동작이나 사건을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하며 불가능을 전제로 한 상황에서는 일어날 가능성이 전혀 없다는 점을 학습시킬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예문, 학습참여를 유도하여 ‘-을지라도’의 특징을 충분히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더라도’와는 달리 아주 사소한 일에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도 인식시켜준다. 역시 예문을 제시하여 주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내가 신일지라도 그 환자를 살릴 수는 없다.’ 와 ‘내가 신이더라도 그 환자를 살릴 수는 없다.’의 예문을 동시에 제시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임삼미,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관계 연결어미 교수 방안」, 서울여자대학교, 2018.
3. 결론
한국어의 연결어미는 다양한 종류만큼이나 다양한 활용법을 가지고 있다. 모국어로 한국어를 학습한 사람들도 오류가 많을 정도로 복잡하고 학습이 어렵다. 이런 점에서 외국어로 한국어 연결어미를 학습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 될 것이다. 때문에 교수방안을 구성할 때 최대한 쉽고, 현실적인 활용을 배울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생각한다. 물론 이론적인 부분과 문법적인 부분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나, 언어의 가장 큰 목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 이론과 문법이 최우선적인 과제는 아닐 것이다. 때문에 연결어미의 학습에서도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수업을 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4. 참고문헌
임삼미,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관계 연결어미 교수 방안」, 서울여자대학교, 2018.
김상철,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연결 어미 사용 실태 분석 및 교육 방안」, 인하대학교, 2017.
최은실, 「양보 연결어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16.
정유라, 「양보의 연결어미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한림대학교, 2016.
추천자료
국어학에 대한 정리
청각활용과 구어의사소통 교육 발달과 전망
대국민 담화문 분석
[굴절, 굴절 정의, 굴절 핵이동가설, 굴절과 굴절법, 굴절과 형태소, 단어형성, 영어, 독일어...
한국어 개별 문법 항목에 대한 교육은 그것의 의미, 형태 통사적 정보, 담화화용적인 기능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교육 방안 연구 - 연결어...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교수방안 연구 ‘-고’와 ‘-아서-어서’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