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국민 담화문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실제 담화

3. 내용적 분석
3.1. 사회적 배경
3.2. 담화 분석
3.2.2. <담화2> 분석
3.2.3. <담화1>, <담화2> 비교

4. 형식적 분석
4.1. 화용의 구성요소별 분석
4.2. 화용통사론적 분석
4.2.1. <담화1> 분석
4.2.2. <담화2> 분석
4.3. 화용담화적 분석
4.3.1. <담화1> 분석
4.3.2. <담화2> 분석
4.4. 힘과 경어법

5. 결론과 느낀 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화2> 분석
어미
‘습니다’형.
어색한 문장
- 제가 오늘 이 자리에 선 것은, 그분들의 말씀대로, 국민들께, 저간의 사정을 솔직히 설명 드리고, 이해를 구하고, 또, 사과를, 드리고자 하는 것입니다.
→ 13분에 가까운 발화 동안 통사론적으로 특별히 어색한 문장은 그다지 존재하지 않았다. 4.1.1.의 기타란에 적은 이유를 참고.
어색한 반복
없음
기타
이 역시 ‘문어적이고 일방적인 담화’이기 때문에 특별히 어색한 문장이나 반복은 존재하지 않았다. 발화 속도가 매우 느리고 신중하여 더욱 그런 것 같다. 단지 <담화1>에 비해 말더듬이나 음운론적 실패가 많이 나타난 것이 두드러졌다.
말더듬은 총 5번 나타났다. <담화 1>에서 단 한 번 나타난 것에 비하면 자주 나타난 것이다. 또한 ‘육월 십일’, ‘바켜졌던(밝혀졌던)’, ‘이르케(이렇게)’, ‘저간의(그간의)’, ‘쏘리(소리)’ 등의 음운론적 실패가 상당히 많이 나타나고 있다.
4.3. 화용담화적 분석
여기서는 3장에서 주로 다루었던 화용 전략, 체면 유지 전략, 협력 원리에 대한 것은 다루지 않고 담화표지에 대한 것만을 다룬다.
담화에서 결속장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이것은 문장과 문장, 담화와 담화를 이어주어 결속시켜 주고, 또한 전체적인 응집력을 갖게 해주며 의미를 구성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속장치는 ‘담화표지’라고도 하는데, 이 담화표지는 매우 다양하다. 이것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외형적 결속(external binding)'과 ’내재적 결속(internal binding)'이 있는데, 먼저 외형적 결속이란 여러 가지 문법적어휘적 장치에 의한 결속을 말하고, 내재적 결속이란 결속 장치의 생략이나 의미론적 관련에 의한 결속으로서 청자나 독자의 분석과 종합, 그리고 추론으로만 밝혀낼 수 있는 결속을 말한다. 아래 표는 담화에 나타난 외형적 결속을 간략하게 정리한 것이다.
4.3.1. <담화1> 분석
문법적 결속장치
접속어
그리고 (10회), 그런데(도) (3회), 그러나(6회)
대용어지시어
이 (11회), 이것(1회) 이들(1회) 등
어휘적 결속장치
부사
물론 (3회), 참으로 (3회), 이미 (7회), 이제 (5회),
따라서 (1회), 다만(1회)
핵심어 반복
국민여러분, FTA, 협상, (정부의) 지원, 제도, 개방, 선진국,
결단, 반대, 근거 등
4.3.2. <담화2> 분석
문법적 결속장치
접속어
그리고 (1회), 그런데 (1회), 그러나(1회), 또(2회), 그래서(1회), 그러자 (1회)
대용어지시어
이 (8회), 이것(1회), 이런(1회) 등
어휘적 결속장치
부사
이미 (1회), 더욱이 (1회)
핵심어 반복
존경하는 국민여러분, FTA, 경제, 반성, 재협상, 대통령으로서,
서민 등
4.4. 힘과 경어법
힘(power)이라는 것은 ‘지위’를 말하는 것이다.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은 낮은 지위의 사람에게 ‘해라체’를 사용할 수 있고, 낮은 지위의 사람은 높은 지위의 사람에게 언제나 존댓말을 사용해야 하는 것이 한국어의 경어법이다. 그러나 위의 담화의 주체인 화자는 ‘대통령’이라는 특수한 지위를 가지고 있다. ‘대통령’이라는 지위는 한 나라에서 가장 높은 지위임과 동시에 국민을 존경하고 존중해야 하는 입장에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한국어 경어법 원칙과는 다르게 높은 지위임에도 불구하고 존댓말을 사용하고 있다. 거기에 더해 ‘존경하는 국민여러분’처럼 앞에 ‘존경하는’이라는 꾸밈말을 넣음으로써 존경의 의미를 더욱더 강화하고 있다.
5. 결론과 느낀 점
이 보고서에서 분석한 담화는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라는 특수하고 일방적인 발화이다. 욕심이 많아 음운론적 특성도 한 문장, 한 문장 분석하려고 숨 쉬는 곳과 띄어 읽는 곳까지 모두 전사하였는데 하지 못해 아쉽다. 그러나 내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한 만큼, 내용 면에서는 각 문단마다 충실하게 분석한 것 같아 뿌듯하다.
선택한 담화의 성격이 매우 딱딱하고 일방적이며 공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 외형상으로는 분석할 거리가 많지 않았다. 그러나 내면에 숨어 있는 함축적 의미를 생각하면서 전사본을 읽다 보니 한 사람의 이 짧은 발화 안에 얼마나 많은 화용의 전략들이 숨어 있는 지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구어임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문어체를 사용한 점은, 아무리 공적 자리라고 해도 친근함을 전혀 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것은 국민들의 담화 접근성을 막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몇 년 전부터 뉴스에서도 ‘해요’체를 종종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친밀감을 높이는 전략 중 하나이다. 대통령의 담화도 지금보다 좀 더 친근한 말투를 사용하고, 경직된 태도가 아닌 좀 더 부드럽고 유화적인 태도로 이루어진다면 기존보다 더욱 높은 발화 효과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6. 참고 문헌
박영순,『한국어 화용론』, 박이정, 2007
박영순, 『한국어 담화텍스트론』, 한국문화사, 2004
김길영外,『한국어 화용론』, 세종출판사, 2003
오주영, 『화용론과 의미해석』, 경성대학교출판부, 1998
강우원, 『화용과 텍스트』, 박이정, 2008
동영상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115§ion_id2=293&office_id=055&article_id=0000132089&menu_id=115
-http://search.pandora.tv/frame/outSearch.htm?ref=na&ch_userid=cwd1219&id=4408889&keyword=%B4%EB%B1%B9%B9%CE%B4%E3%C8%AD
*목차
1. 서론
2. 실제 담화
3. 내용적 분석
3.1. 사회적 배경
3.2. 담화 분석
3.2.2. <담화2> 분석
3.2.3. <담화1>, <담화2> 비교
4. 형식적 분석
4.1. 화용의 구성요소별 분석
4.2. 화용통사론적 분석
4.2.1. <담화1> 분석
4.2.2. <담화2> 분석
4.3. 화용담화적 분석
4.3.1. <담화1> 분석
4.3.2. <담화2> 분석
4.4. 힘과 경어법
5. 결론과 느낀 점
6. 참고 문헌
  • 가격2,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8.12.2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78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