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한국어 교육의 목표
(2) 문법적 교수요목
(3) 개념·기능적 교수요목
(4) 공통적 문제
(5) 개선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한국어 교육의 목표
(2) 문법적 교수요목
(3) 개념·기능적 교수요목
(4) 공통적 문제
(5) 개선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육내용이 구성되므로, 학습자의 의사소통 욕구를 내적으로 동기화하는 데 큰 도움을 주며, 실제적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에 부족한 부분들을 보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요목인 셈이다. 홍서연, 「다문화병사를 위한 생활중심 한국어 교수요목 개발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2018.
구체적인 개선안으로는 기존 교재의 구성을 번경하는 방법이 있다. 문법적 교수요목에 맞추어 구성된 교재는 각 문법, 어휘 등에 따라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에 맞추어 구성된 교재는 특정 개념, 기능에 맞추어 교재가 구성되어 있다. 이런 부분들이 현실적인 의사능력 향상에 장애물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과제 중심 교수요목에 해당하는 내용들로 구성하면, 보다 실제적인 한국어 학습 교재를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건을 사고파는 내용을 학습하는 과에서는 단순한 의사소통 개념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에서 물건을 사는 과제, 전화로 물건을 주문하는 과제 등의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다. 실제 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현과 언어로 이루어져 있어 현실적이며, 참여하는 학생들의 동기부여도 가능하니 적극적인 학습효과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3. 결론
지금까지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 및 문제점을 알아보고 구체적 해결방안도 고려해보았다. 과거와 달리 한국어 학습의 대상이 저연령 자국민 뿐 아니라 외국인, 다문화 어린이 등으로 확대되어 그에 맞는 교수요목이 필수적인 상황이 되었다. 단순히 교육과정의 일부로서의 교수요목이 아닌 문화와 생활까지 고려한 교수요목이 필요한 시점에서 한국어 교육에 있어 이번 과제가 유익했다고 생각한다. 특히 과제 중심적 교수요목은 실제로 한국어 학습을 지도할 때 유용하게 쓰일 것이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를 구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생각한다. 단순한 언어 학습의 의미를 넘어 문화 학습의 교수요목으로도 작용할 것으로 기대해본다.
4. 참고문헌
성기철, 「한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이중언어학회, 1998.
김정숙,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3.
홍서연, 「다문화병사를 위한 생활중심 한국어 교수요목 개발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2018.
김은정,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한국어 교수요목 개발 연구」, 한양대학교, 2010.
구체적인 개선안으로는 기존 교재의 구성을 번경하는 방법이 있다. 문법적 교수요목에 맞추어 구성된 교재는 각 문법, 어휘 등에 따라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에 맞추어 구성된 교재는 특정 개념, 기능에 맞추어 교재가 구성되어 있다. 이런 부분들이 현실적인 의사능력 향상에 장애물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과제 중심 교수요목에 해당하는 내용들로 구성하면, 보다 실제적인 한국어 학습 교재를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건을 사고파는 내용을 학습하는 과에서는 단순한 의사소통 개념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에서 물건을 사는 과제, 전화로 물건을 주문하는 과제 등의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다. 실제 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현과 언어로 이루어져 있어 현실적이며, 참여하는 학생들의 동기부여도 가능하니 적극적인 학습효과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3. 결론
지금까지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 및 문제점을 알아보고 구체적 해결방안도 고려해보았다. 과거와 달리 한국어 학습의 대상이 저연령 자국민 뿐 아니라 외국인, 다문화 어린이 등으로 확대되어 그에 맞는 교수요목이 필수적인 상황이 되었다. 단순히 교육과정의 일부로서의 교수요목이 아닌 문화와 생활까지 고려한 교수요목이 필요한 시점에서 한국어 교육에 있어 이번 과제가 유익했다고 생각한다. 특히 과제 중심적 교수요목은 실제로 한국어 학습을 지도할 때 유용하게 쓰일 것이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를 구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생각한다. 단순한 언어 학습의 의미를 넘어 문화 학습의 교수요목으로도 작용할 것으로 기대해본다.
4. 참고문헌
성기철, 「한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이중언어학회, 1998.
김정숙,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3.
홍서연, 「다문화병사를 위한 생활중심 한국어 교수요목 개발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2018.
김은정,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한국어 교수요목 개발 연구」, 한양대학교, 2010.
추천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바람직한 표준문법의 개발 방향
[외국어교육][학력관리][모국어][외국어교육 전망]외국어교육의 흐름, 외국어교육의 영향요인...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
한국어 교육 평가의 연구사와 변천사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 )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외국어로서의한국문법교육론 ) 다음 보기 중 하나의 문법 항목을 선택한 후 한국인을 대상으...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두 교수요목이 갖는 공통적...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문법적 교수 요목과 개념 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에 대해 서술...
소개글